KCI등재
歷史小說, 歷史드라마에 나타난 古代史像 고찰 : 최인호, 이문열 소설을 중심으로 = Study on the Ancient Historical Image Expressed in Historical Novels and Dramas -Focused on the Novels of Choi, In-ho and Lee, Mun-yul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3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802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89-214(26쪽)
제공처
本考에서는 古代史와 관련된 최인호와 이문열의 저작들을 중심으로 하여 이들 작품에 나타나고 있는 歷史像을 기존 역사학계의 인식과 비교, 고찰해보았다. 또한 이들 역사소설을 바탕으로 한 역사드라마의 흐름도 함께 살펴보았다.
최인호의 저작인『잃어버린 왕국』은 고대 한일관계를 배경으로 하고 있는데, 문제의 초점이 되고 있는 것은 고대 한일관계의 歷史像이다. 즉, 廣開土王碑文과 七支刀의 銘文을 일본인에 의해 훼손되었던 것으로 그리고 있으며, 백제와 왜의 왕실이 혈연적으로 동일하다고 서술하고 있는 등 고대 한일관계 설정에 있어서 국수주의적인 편견이 자리하고 있다. 고대 한반도와 왜 왕실이 혈연적으로 동일하다고 하는 인식은 최인호의 『제4의 제국』에서 다시 재현되고 있다. 반면 최인호의『해신』의 경우는 최근의 역사 연구성과를 문학적 상상력과 결부시켜 소설로 승화시켰다고 평가하고 있다. 하지만, 2004 년 KBS에서 드라마화된 ‘해신’은 소설 『해신』과 달리 내용을 대폭 改變하여 흥미위주의 스토리에 치중하여 역사성을 결여한 작품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문열의『대륙의 한』은 그동안 역사학계에서 끊임없이 논란이 되었던 ‘백제의 요서 진출설’을 긍정적인 입장에서 서술한 것이 특징이다. 일단 이문열은 가공의 인물이 요서를 진출했다고 그림으로써 역사성에 있어서 문제점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1980년대의 국수주의적인 사회적 분위기를 감안한다면 상대적으로 절제된 인식으로 바라보았던 것으로 보인다. 한편 이문열의『대륙의 한』을 토대로 하여 2011년 KBS에서 제작된 드라마 ‘근초고왕’은 원작과 다르게 많은 면에 있어서 古代史像에 대한 심각한 인식의 오류를 보이고 있다.
역사소설, 역사드라마의 허구적 요소는 어디까지 허용되어야 할 것인가? 일단 역사소설에서 총체적인 歷史像을 제대로 묘사하고 있다면 추가적인 문학적 상상력이나 허구적 요소는 풍부하면 풍부할수록 좋다고 생각된다. 하지만 전체적인 歷史像이 역사적 사실과 어긋날 때는 일반대중의 그릇된 歷史認識 등 여러 가지 부작용을 낳게 된다. 따라서 문학적 허구는 그 시대의 역사상을 더욱 풍부하게 그려내기 위해 동원되어야지 역사상 자체를 왜곡해서는 안될 것이다.
The objective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the ancient historical novels of Choi, In-ho and Lee, Mun-yul, compare historical images expressed in the historical novels with perspectives of current history circles, and investigate historical dramas based on the historical novels.
The background of a Choi, In-ho’s novel, ‘The lost Kingdom’, is set in ancient Korea and Japan, but it has problems in historical image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ncient Korea and Japan. This novel claimed that Japanese damaged an epitaph on King Kwanggaeto and an inscription on chiljido on purpose and that royal families of Baekje and Wa are related by blood. This came from nationalistic prejudice. The recognition of the latter is also shown in his other historical novel, ‘the Fourth Empire’.
On the other hand, ‘the god of the sea’, one of his historical novels, is being evaluated highly in a perspective of the historical truth while a historical drama aired on KBS TV, which was based on the novel and same titled with the ‘the god of the sea’, receives a low evaluation because of its lack of historical truth.
Meanwhile, one of Lee, Mun-yul’s novels, ‘Regret of the continent’, features positive description about a theory of Baekje’s advancement into the west area of Liaohe.
This novel has the fallacy of historical truth that a fictional character advanced into the west area of Liaohe, but considering nationalistic atmosphere in the 1980s, it is evaluated that it was described in a relatively abstained historical perspective.
On the other hand, ‘King Geunchogo’, a historical drama aired on KBS TV in 2011, which was based on the same novel, showed severe mistakes in recognition of ancient historical images.
Now, we have an important question; to what degree should the fictional factors of historical novels and dramas be allowed?
My opinion is that if historical novels describe comprehensive historical images well, many literary imaginations and fictional factors are allowed.
However, different holistic historical images from historical truth in historical novels would cause side effects such as giving a wrong historical cognition to the public.
Therefore, fictional factors should be used to describe comprehensive historical images abundantly without distortion of history.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