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장애인방송 공익성 제고를 위한 전문가 및 이용자 인식 연구
저자
진승현(Seunghyun Jin) ; 이영희(Young Hee Lee) ; 박성순(Sung Soon Park) ; 이재진(Jae Jin Lee) 연구자관계분석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7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33-174(42쪽)
KCI 피인용횟수
2
DOI식별코드
제공처
소장기관
본 연구는 장애인방송을 통한 방송의 공익성 실현을 위해서는 기존 양적인 제한만을 두고 있는 고시에서 나아가 질적인 부분에 대한 제고가 필요하다고 보고 장애인방송 전문가와 이용자의 인식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분석을 위하여 장애인방송 연구를 지속적으로 해온 전문가들과 실제 장애인방송을 이용하는 시청각장애인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장애인 방송 서비스 이용에 대하여 화면해설방송 이용자들은 낮 시간과 심야시간대에 집중된 방송 편성과, 미흡한 편성정보 제공, 그리고 수신기 문제를 불편한 점으로 지적했다. 폐쇄자막방송의 경우 가독성이 떨어지는 점과 느린 속도에 대한 부분이, 수화방송은 적은 편성비율과 작은 화면크기, 이해하기 힘든 수화표현이 지적되었다. 또한 장애인방송 질적 수준 제고를 위해 반드시 개선되어야 할 사항은 화면해설방송의 경우, 편성표 안내와 다시보기 서비스의 통합 시스템 구축, 이용자들의 의견과 전문가 자문 등을 수렴할 수 있는 창구의 마련, 주시청 시간대 편성 및 충실한 화면해설의 제공, 질적 수준을 담보할 수 있는 기준이 마련된 제작가이드라인과 전문성 제고를 위한 작가교육 등이 제기되었다. 폐쇄 자막방송은 가독성을 저하시키는 오탈자와 자막 속도의 문제, 한국수어방송은 5% 편성비율의 한계, 수화화면의 확대 필요성 등이 우선적으로 지적되어있으며, 폐쇄자막방송과 한국수어방송의 질적 수준 제고를 위하여 이용자와 전문가는 공통적으로 장애인방송 이용자 의견 반영시스템 구축, 질적 수준 담보와 평가를 위한 제작 가이드라인 마련, 지속적인 모니터링, 제작인력의 전문교육 및 보수교육 필요 등을 제기하였다.
더보기To realize public interest in the broadcasting service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PWDs), this paper examines the recognition of such service for PWDs by relevant broadcasting experts and users who consider the need for the improvement of existing notifications in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spects. As a means to analyze the levels of recognition,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both experts who have continued to carry out research on broadcasting services for PWDs and users with visual and hearing impairments who follow broadcasting services for PWDs. According to this paper’s analysis of the use of broadcasting services for PWDs, persons who use the descriptive video service pointed out that most programs are heavily aired during the day and late at night, programming information is not sufficiently provided, and receivers do not work well. In the case of closed captioning, people stated issues with regard to poor legibility and the slow speed of captioning. With respect to the sign language broadcasting service, the people indicated drawbacks such as the low percentage of programming, the small size of the allotted screen, and signs that are difficult to understand. In addition, things to be considered to enhance the quality of the descriptive video service for PWDs include building systems that integrate programming schedule information with the replay service, creating a window to listen to users’ opinions and experts’ advice, placing programs with sufficient explanations in the prime time, establishing guidelines on the criteria for the quality of broadcasting services, and educating screenwriters to improve their expertise. In the case of closed captioning, priorities to be resolved involve preventing misspelled words and improving the low speed of captioning, which may deteriorate legibility, increasing the current percentage of programming with sign language of 5%, and expanding the sign language service screen. Lastly, to increase the qualitative level of Korea’s closed captioning and sign language broadcasting service, the users and experts emphasize in common the needs for developing systems to reflect users’ comments and establishing guidelines to secure and evaluate the quality of broadcasting services for PWDs, in conjunction with continuously monitoring and educating the personnel in charge of producing and maintaining programs for PWDs.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37 | 1.37 | 1.3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27 | 1.21 | 1.673 | 0.05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