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19세기 조러 수교 시기 사례를 통해 본 한러 협력의 대안적 모색 = A Study on the alternatives to Korea-Russia cooperation through cases of the 19th century diplomatic relations period
저자
황성우 (한국외국어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1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65-194(30쪽)
KCI 피인용횟수
0
제공처
소장기관
Year 2020 marks the 30th anniversary of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Korea and Russia.
In this article, we have considered what kind of cooperation cases between Korea and Russia occurred through historical events in the past, and whether there are some methods that can be applied to today’s cooperation between the two countries. In 1884, Korea and Russia signed the Trade Treaty. Before and after diplomatic relations, Korea and Russia had a lot of information about each other. As a result, diplomatic relations were established with mutual understanding of national interests. The justification and reasonable consideration for how to define national interests is also necessary, but the concreteness and practical interest of how to promote mutual national interests must also be clear. In this article, we analyzed the positive cases accumulated between the history of Korea and Russia, and evaluated the new aspects of the Korea-Russia relations to be pursued in the fourth period of Putin, the Moon Jae-in administration, and the 30 years of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Korea and Russia. The four examples suggested for the study were firstly, the migration of Koreans to the Primorskij kraj and the immigration policy of Russia, secondly, the agreement to inform of infectious diseases (sharing mutual health policies), thirdly, the border trade through the marketplace of Kyungheung and Usurisk region, and fourthly the establishment of Korean-Russia Bank. It is necessary to create a new success story suitable for a new era through the past cases of cooperation between Korea and Russia. This is the lesson we will learn from history.
2020년은 한국과 러시아가 수교한 지 30년이 되는 해이다. 본 글에서는 과거의 역사적 사례를 통해 한국과 러시아 사이에 어떤 협력 사례들이 있었는지, 그리고 그 사례들을 통해 오늘날 양국의 교류에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은 없는지 고민해봤다. 한국과 러시아는 조선과 제정러시아라는 국호 아래 1884년 ‘조러수호통상조약’을 체결했다. 수교를 전후해 한국과 러시아는 서로에 대해 적지 않은 정보를 가지고 있었고, 당시 상호 국가이익에 대한 이해가 맞물리면서 국교를 수립했다. 국가이익을 어떻게 정의해야 하는가의 당위성과 명분도 필요하지만, 상호 간 국익을 어떻게 추진해야 하는가의 구체성과 실리도 명확해야 한다. 본 글에서는 한국과 러시아의 역사 사이에 축적된 긍정적인 사례를 분석해 푸틴 4기와 문재인 정부, 더 나가한러 수교 30년과 그 이후에 추진할 한러 관계의 새로운 모습을 가늠해봤다. 연구대상으로 상정한 네 가지 사례는 한국인의 연해주 이주와 러시아의 이민정책, 전염병 공동 대처 협정(상호 보건 정책 공유), 경흥과 우수리스크의 장터를 통한 국경무역, 한러은행 설립 등이다. 한국과 러시아가 협력한 과거의 사례를 통해 새로운 시대에 맞는 새로운 성공스토리를 만들어가야 한다. 이점이 우리가 역사에서 배울 교훈이다.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4-01-09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International Area Studies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3-24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국제지역학센터 -> 국제지역연구센터 | KCI등재 |
2009-03-23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외국학종합연구센터 -> 국제지역학센터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6 | 0.66 | 0.6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3 | 0.62 | 0.861 | 0.24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