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후보
영상 이미지의 시각적 구조와 몰입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Visual Structure and Flow of Multimedia Image
저자
강현옥 (인천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8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후보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12(12쪽)
KCI 피인용횟수
6
제공처
Changes in the cultural realm based on advancing scientific technology have greatly affected the way people perceive and experience time and space greatly. Especially in particular, various attempts at for artistic expression have been made to magnify peoples’ ability for perceptive ability on, and to enable actual experiences with the aid of digital technology. Artistic expressions have shown a tendency toward constant change through disintegration, divergence and fusion following the digitalization of media, and these expressions allow various interpretations depending upon who adopts them. Newly formed perceptions enables people to experience the reality of new media by modifying meaning of the existing multimedia images ' meaning, and can even change individual media users' the aesthetic experiences and attitudes of individual media users. Moreover, an interactive narrative method, the so‐called 'digital narrative' based on digital media, creates a continuing narrative, and enables the expression of diverse multimedia images .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production of video images through digital media, and the absorption that enables actual experience due to the composition of reconstructed images' composition. We regard the following aspects as absorption based on the structure of video images' structure reproduction of video images, interpretation of images following the change in visual perception, and the intermediate function of time, that which is granted role of narrative by media. Then, we analyze these elements from the perspective of communication with the users.
The core of visual experience is an actual object and a viewer. If we assume that an object's the significance of an object can be provided only through a viewer’s optimal experience, it indicates that the daily substantiality of a visual perception itself is meaningless. Actual visual optimal experience through media involves a space into time when’re the aforementioned two elements blend to create a visual experience. That is, the optimal experience is based on an open structure that erases the boundary between visual experience in terms of time and space, and the daily substantiality of visual perception, as the object and the viewer confront each other. Inducing a viewer’s absorption using structure of multimedia images' structure for its narrative is a way to communication based on an open structure for the encounter between media and image.
미디어의 디지털화에 의해서 예술적 표현은 해체와 분화, 또는 융합 등을 통해 끊임없이 변화해 가고, 이것을 수용하는 사람에 따라 다양한 해석이 가능해지는 양상을 나타내 보이고 있다. 디지털 미디어에 의한 예술 표현은 대상과의 연관 관계 파괴, 공간과 시간의 연결의 해체 등에 의한 이미지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현상이 더욱 두드러졌다.
인간이 사물을 볼 때 시각 경험의 중심은 실재의 대상과 그리고 그 대상을 바라보는 경험자 자신이다. 바라보는 대상의 의미가 단지 바라보는 사람의 경험에 의해서만 그 의미가 주어진다면 시각 경험 자체가 지니고 있는 일상적인 실재성이 아무런 의미가 없게 된다. 이것은 미디어에 의한 영상과 만남의 열린 구조에 의한 커뮤니케이션의 중요성을 의미하고, 궁극적으로 영상 이미지 시각적 구조를 결정하게 되어 미디어 사용자의 몰입을 유도하게 된다. 미디어 사용자는 이러한 몰입의 과정을 거치면서 어떤 감정적 즐거움을 느끼게 되면서 실재 경험을 하게 된다.
본 연구는 디지털 미디어의 영상 이미지 구조에 의한 실재 경험인식을 위한 몰입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이다. 본 논문에서의 몰입은 칙센트미하이의 ‘몰입’, ‘최적 경험’의 이론을 근거로 하여 수용자의 인지 변화에 따른 영상 이미지의 해석, 그리고 이야기 형태의 서사구조가 지니는 매개적 기능이 영상 이미지의 시각적 구조에 의하여 수용자의 몰입을 유도하는 측면을 제시하였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3 | 0.33 | 0.3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29 | 0.32 | 0.52 | 0.06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