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 앨리스』에 나타난 현상과 실재의 양상 = Aspects of Appearance and Reality in Tiny Alice
에드워드 올비(Edward Albee. 1928- )는 유럽 부조리극의 영향과 미국의 고유한 표현 전통 아래서 극작 활동을 해왔다. 그의 중요성은 삶, 죽음, 고독, 환상과 같은 주된 부조리극의 주제를 미국의 현실에 맞게 표현해내기 위해 다양한 극적 실험을 했다는데 있다.
『작은 앨리스』 (Tiny Alice, 1964)에서 올비는 환상을 극복하고 실재에 맞설 필요성을 제시하기 위해 안티 플라톤적인 결말을 이루어내는, 현상과 실재에 관한 플라톤적 논의와 유사한 틀을 사용하고 있다.
이 극의 주인공은 일찍이 어린 시절의 곤경으로부터 부조리한 현상 세계를 체험하고 그것을 초월한 궁극적인 실재 개념을 상정하게 된다. 그에게 신은 현상과 실재를 구분하는 척도로서 복무한다. 그리고 그는 현상을 초월하는 실재를 추구하기 위해서 평생을 지적인 추상화에 바친다. 역설적이게도 이러한 추상 개념의 추구는 그가 현실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못하게 하는 환상으로 작용한다. 왜냐하면 그의 추상 개념 추구는 현실의 가혹함으로부터 도피하기 위해 요청된 것이기 때문이다.
주인공 쥴리안은 스스로를 현상보다 실재에 전념한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이 말은 그가 현상 속에서는 실재성을 기대하지 않는다는 의미인 동시에 현상으로부터 독립된 어떤 실재 세계의 존재를 믿는다는 의미로 볼 수 있다. 쥴리안의 이러한 인식은 서양 철학의 존재론적 이원론의 효시가 되는 플라톤의 사상을 반영 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특히 플라톤(Plato)의 『국가』에 나오는 '동굴의 비유'는 현상과 실재에 대한 플라톤의 사상을 집약적으로 나타내 주고 있다. 동굴 안에는 태어날 때부터 사물의 그림자만을 보고 살아 온 사람이 있는데, 그림자의 원형이 있는 동굴 밖의 세계를 먼저 경험한 철인들에 의해 실재 세계로 인도된 다는 것이다. 플라톤의 사상은 현상과 실재의 대립, 물질적인 것과 정신적인 것의 대립, 환상과 현실의 대립이라는 이원론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의 사상에 의하면 전자는 본질적으로 후자로부터 유래한 변형물이거나 반영물에 불과하다. 이 극의 구조는 함축적으로 주인공 쥴리안을 동굴에 갇힌 사람으로, 그 상대편 인물들인 변호사, 집사, 미스 앨리스를 철인들로 보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 쥴리안은 구체적인 현상 속에서 추상적인 실재 개념을 추출 해내기 위해 평생을 지적인 추상화에 바쳐왔다. 그는 인식 판단의 준거로서의 신에 대한 철저한 개념을 가지 고 있다. 하지만 그의 약점은 신에 대한 자신의 개념과 다른 사람들이 신에게 부여한 이미지의 간극을 조화할 수 없다는 것이다.
표면적으로 이 극은 미스 앨리스라는 거부가 교회에 거액을 기부하는 문제를 처리하기 위해, 추기경의 비서인 쥴리안 수사가 그녀의 저택으로 파견되면서 경험하는 이상한 사건들을 다루고 있다. 하지만 실질적으로 이 극은 작가 자신이 '형이상학적 몽환극'이라고 언급한 것처럼 쥴리안의 정신 세계에서 벌어지는 갈등을 다루고 있다. 따라서 그의 정신 세계에서 벌어지는 몽환적인 사건들이 표현주의적으로 시각화되고 있다. 특히 인형의 집 같이 생긴 커다란 모형 저택은 이 극에서 등장 인물들이 벌이는 현상과 실재에 대한 논의를 두드러지게 시각화하는 표현주의적인 무대 장치로서 극의 전반에 걸쳐 등장한다. 그리고 홍관조 새장, 가면, 가발, 두개골 흉상 같은 무대 소도구들이 쥴리안의 현상과 실재에 관한 관점의 변화 과정을 표현주의적으로 극화하고 있다.
쥴리안의 인식변화를 이끄는 상대편 인물들은 두 가지 차원에서 존재한다. 하나는 엄청난 부자인 미스 앨리스, 유능한 변호사, 집사라는 사회적 위치를 점유하고 있는 현상적인 차원이다. 다른 하나는 쥴리안을 전향시키는 특수한 과업을 이루어내기 위해 자신에게 맡겨진 기능을 수행하는 배우로서의 본질적인 차원이다. 쥴리안은 미스 앨리스와 육체적으로 결합하고 결혼하기까지 이른다. 그러나 결국 이 극의 3막에서 이루어지는 앨리스 제의를 통해 이것은 단지 현상적인 결혼에 불과한 것으로 모형 속의 실재적인 앨리스와 결합하기 위해 미스 앨리스라는 도구를 통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판명된다. 변호사, 집사, 미스 앨리스가 의도하는 바는 쥴라안으로 하여금 사물의 다원적인 현상을 경험하게 함으로써 그가 기존에 가지고 있던 엄격한 실재 개념을 의심하게 만드는 것이다. 그리하여 그들이 믿고 있는 기존의 실재관에 비해 전복적인 진리로 그를 전향시키는 것이다.
쥴리안이 추구하는 추상화는 재현의 한 방법으로, 보이지 않는 개념을 구체적인 이미지로 육화시키는 것이다. 재현 체계 속에서의 이미지는 원래의 실재를 반영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원래의 실재를 가장 잘 반영하는 이미지가 가장 완벽한 이미지이므로 결국은 원래의 실재가 가장 훌륭한 자기 자신의 재현 이미지가 될 것이다. 앨리스 제의에서 3인은 모형 속의 앨리스를 실재와 이미지가 동일해지는 완벽한 실재로 제시하고 그것과 결합하라고 강요한다. 쥴리안은 기존의 개념을 고수하면서 새로운 실재 개념을 받아들이기를 거부하다가 변호사의 총탄에 쓰러진다. 결국에 쥴리안은 죽음에 이르러 현상과 실재에 대한 통찰을 이룬다. 즉 그의 관념 속에서 지금까지 추상적인 것을 실재적인 것으로 물질적인 것은 비실재적인 것으로 만들어왔음을 깨닫게된다. 따라서 이 극은 실재의 존재나 진위 여부가 아니라 삶의 과정에 수반되는 선택에 따른 책임감, 성실성이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Edward Albee(1928-) has written his plays by incoporating two traditions, the American and the Absurd. His focus wants to make experiments of these dramatic forms in order to adjust the major absurdist themes of life, death, isolation and illusion to an American landscape. To suggest the necessity of overcoming illusion and facing reality, Albee uses what are close to being Platonic arguments to endorse an anti-Platonic conclusion in his play Tiny Alice.
The protagonist of this play, Julian, goes through the absurdity of a superficial world and predicates a concept of ultimate reality to transcend the absurdity of that superficiality. For him, God serves as measure to sort out reality from appearance. So he has dedicates his life to intellectual abstraction. Ironically, his abstraction functions as another illusion that prevents him from participating in actual life. He doesn't expect any reality from the appearance of things. In addition, he believes the real world is detached from this apparent world. Julian's cognition seems to reflect Plato's idea of ontological dualism (the beginning of western philosophy). Specifically, the allegory of the cave in Plato's Republic emblematically represents the difference between reality and illusion. Plato's idea consists of dualistic confrontation between appearance and reality of things, the physical world and spiritual world, illusion, and reality. According to his idea, the former is essentially nothing more than variation and reflection derived from the latter. By implication, the structure of this play takes a form which regards protagonist, Julian, as a man in the cave, and antagonists, Lawyer, Butler, Miss Alice as philosophers.
Superficially this play deals with Julian's unusual events which he experiences in Alice's mansion. Cardinal sends his secretary, Brother Julian, there to tie up business matters between the church and a very rich women: a multi-billion dollar donation. In fact, this play, which is referred as something like a metaphysical dream play by Albee, is about the conflicts occurring in Julian's mind. Therefore the playwright visualizes theses dream-like events occurring in his mind with expressionistic technics. The most salient expressionistic device is a dollhouse-like model mansion used as stage property throughout most of the play and the model symbolically represents the characters' arguments about reality and appearance. Also, expressionistic stage properties such as Cardinal's birdcage, Miss Alice's mask and wig, and phrenological head on the table embody Julian's shift of perspective in terms of reality and the appearance of things.
To induce Julian's change, the antagonists exist in two dimensions. One is related to the apparent phase of the antagonists who occupies social status, a lady of great wealth, a competent lawyer and butler. The other is concerned with the more essential quality as actors who accomplish their functions for a special kind of enterprise: Julian's subversion. After Julian's sexual intercourse with Miss Alice, he marries her. However, in the ceremony of Alice in act 3, the marriage proves itself not to be a real thing, but a ceremonial passage using Miss Alice as a vessel uniting reality with abstraction : Alice, in the model; is the epitome of reality and truth. At the ceremony, three antagonists define Alice, in the model, as the perfect reality to Julian which is identical to its image and insists upon his union with Alice. Julian holds on to his ready-made concept of reality and refuses to accept the new one. Facing his resistance, Lawyer finally shoots him. In the denouement of the play, he gains an insight into the appearance and reality of things facing his real death. He realises that his clinging to abstraction had always been to make the abstract real and the rest unreal. Albee suggests that the most important thing in one's life is his responsibility the choices and faithfulness accompanied by one's life, regardless of the authenticity and the being or non-being of reality.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