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모 섬유를 이용한 스케이팅 선수복의 소재 개발 : 착용자의 생리적 반응 및 착용감을 중심으로 = Development of Fabric Materials Blending with Wool for Sportswear of Skating Players : Wearer's Physiological Responses and Comfort Sensation
저자
발행사항
광주 :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2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전남대학교 대학원: 가정학과 2003. 2
발행연도
2002
작성언어
한국어
주제어
KDC
592 판사항(4)
DDC
646.47 판사항(20)
발행국(도시)
광주
형태사항
93p. : 삽도 ; 30cm.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 신윤숙
소장기관
본 연구는 스케이팅 선수들을 위한 쾌적한 운동복 소재 개발을 목적으로 기존의 스케이팅 선수복 소재(A)와 보온성과 흡습/발수성이 뛰어난 양모섬유의 혼방 비율과 조직에 변화를 주어서 개발 제작한 선수복 소재(B,C,D)를 이용하여 스케이팅 선수복 총 4종류를 제작하였다. 총 4종류의 실험복을 피험자들에게 착용시킨 후 실험실(피복 환경실험실) 및 현장(국제빙상경기장)에서 인체생리반응 및 착용감을 평가하였다.
실험실 착용평가(온도13±0.5℃, 습도 38±15%RH)에서 피험자의 평균연령은 21세, 신장은 평균 170cm, 체중은 평균 64.6kg, 체표면적 평균은 1.77㎡인 마라톤 남자 선수 5명이었다. 현장 착용평가(온도11±0.5℃, 습도 65±15%RH)에서 피험자의 연령은 13∼17세, 신장은 152∼160cm, 체중은 41∼55kg, 체표면적은 1.33∼1.65㎡로 선수경력이 4∼5년의 범주에 속하는 스케이팅 현역 선수들이었다.
실험실 착용평가(안정 15분, 운동22분, 회복 20분)는 피험자들이 자전거를 이용하여 운동을 하였다. 현장 착용평가(안정 10분, 운동 15분, 회복 10분)는 피험자들이 스케이팅을 하였다. 인체생리 반응 및 착용감 평가 항목으로는 피부온(7부위), 평균피부온, 의복내 온도와 습도(4부위), 총발한량, 주관적 감각(쾌적감, 습윤감, 촉감, 온냉감) 등이었다.
실험의 결과의 자료는 SPSS 통계패키지를 이용하여 분석함으로서 기존섬유의 단점을 보완한 쾌적한 운동복 설계를 위한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실험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소재의 물성실험결과 기존소재 A는 건조속도, 신장회복률 등에서 우수성을 보였고 공기투과도, 투습도, 보온률 등은 낮았다. 실험복 소재 B는 흡수율, 신장회복률, 보온률 등에서 우수하였으나 건조속도, 공기투과도, 투습도, 열전도률 등은 낮았다. 실험복 소재 C는 건조속도, 공기투과도, 투습도 등에서 비교적 우수하였고 흡수율, 신장회복률, 보온률 등에서 비교적 낮았다. 실험복 소재 D는 흡수율, 신장회복률, 투습도, 보온율 등이 우수하였으며 건조속도, 공기투과도 등이 낮았다.
2. 실험실 착용평가에서 인체 생리 반응에 대한 전체적인 경향은 운동 전 휴식하는 동안은 이마온, 가슴온, 대퇴온 등은 상승하지만 전완온, 손등온, 발등온 등은 하강하였다. 운동 중에는 이마온, 가슴온, 대퇴온, 하퇴온 등은 상승하였으나 전완온, 손등온, 발등온 등은 감소하였다. 운동 후 휴식하는 동안에는 이마온, 가슴온 등은 하강하나 전완온, 손등온, 대퇴온 등은 상승하였다. 이런 경향으로 운동에 의한 체온조절은 체간부 보다는 외부 온도의 영향을 받기 쉬운 사지부를 통하여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3. 등부위는 가슴부위보다 피부온, 의복내 온도 및 습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이로써 운동으로 인한 열과 땀이 가슴부위보다는 등부위가 더 많이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가슴 부위보다는 등부위에 열과 습도를 조절할 수 있는 소재의 조합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4. 현장착용평가에서 운동 중의 피부온의 차이는 상완온>가슴온>대퇴온>하퇴온 순으로 나타났다. 운동 중의 실험복별 변화폭은 가슴온은 A>C>B>D, 상완온은 A>D>C>B, 대퇴온은 D>A>C>B, 하퇴온은 운동에 의해 오히려 상승하였는데 B>C>A>D로 나타났다. 평균피부온은 A>C>D>B 순으로 나타났으며 평균피부온의 변화의 폭이 컸다. 실험복 D는 가슴온의 변화의 폭이 적고 사지부의 변화의 폭은 커서 사지부를 이용한 체온조절에 용이한 소재로 사료된다.
5. 실험실 및 현장 평가에서의 착용감 평가는 습윤감이 실험복 D가 운동중, 운동후 가장 우수하였고 쾌적감은 실험복 D>A≥C>B순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한랭환경에서의 쾌적한 운동복은 가벼우면서도 매끄러운 촉감을 가지고 있고 열·수분 이동특성이 우수하면서도 보온성이 좋은 물성 특성을 가진 소재로 만들어진 것이라는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쾌적한 소재를 만들기 위해서는 실 사이의 공기투과율이 큰 싱글조직보다는 소수성(폴리에스테르)과 친수성(양모)섬유를 이용하여 이중조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운동중 발생한 땀에 의해 소재가 피부에 달라붙지 않는 특성이 있는 양모 섬유를 피부에 닿는 면에 사용하면 더욱 쾌적한 운동복을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스케이팅 선수들을 위한 쾌적한 운동복 소재 개발을 목적으로 기존의 스케이팅 선수복 소재(A)와 보온성과 흡습/발수성이 뛰어난 양모섬유의 혼방 비율과 조직에 변화를 주어서 개발 제작한 선수복 소재(B,C,D)를 이용하여 스케이팅 선수복 총 4종류를 제작하였다. 총 4종류의 실험복을 피험자들에게 착용시킨 후 실험실(피복 환경실험실) 및 현장(국제빙상경기장)에서 인체생리반응 및 착용감을 평가하였다.
실험실 착용평가(온도13±0.5℃, 습도 38±15%RH)에서 피험자의 평균연령은 21세, 신장은 평균 170cm, 체중은 평균 64.6kg, 체표면적 평균은 1.77㎡인 마라톤 남자 선수 5명이었다. 현장 착용평가(온도11±0.5℃, 습도 65±15%RH)에서 피험자의 연령은 13∼17세, 신장은 152∼160cm, 체중은 41∼55kg, 체표면적은 1.33∼1.65㎡로 선수경력이 4∼5년의 범주에 속하는 스케이팅 현역 선수들이었다.
실험실 착용평가(안정 15분, 운동22분, 회복 20분)는 피험자들이 자전거를 이용하여 운동을 하였다. 현장 착용평가(안정 10분, 운동 15분, 회복 10분)는 피험자들이 스케이팅을 하였다. 인체생리 반응 및 착용감 평가 항목으로는 피부온(7부위), 평균피부온, 의복내 온도와 습도(4부위), 총발한량, 주관적 감각(쾌적감, 습윤감, 촉감, 온냉감) 등이었다.
실험의 결과의 자료는 SPSS 통계패키지를 이용하여 분석함으로서 기존섬유의 단점을 보완한 쾌적한 운동복 설계를 위한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실험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소재의 물성실험결과 기존소재 A는 건조속도, 신장회복률 등에서 우수성을 보였고 공기투과도, 투습도, 보온률 등은 낮았다. 실험복 소재 B는 흡수율, 신장회복률, 보온률 등에서 우수하였으나 건조속도, 공기투과도, 투습도, 열전도률 등은 낮았다. 실험복 소재 C는 건조속도, 공기투과도, 투습도 등에서 비교적 우수하였고 흡수율, 신장회복률, 보온률 등에서 비교적 낮았다. 실험복 소재 D는 흡수율, 신장회복률, 투습도, 보온율 등이 우수하였으며 건조속도, 공기투과도 등이 낮았다.
2. 실험실 착용평가에서 인체 생리 반응에 대한 전체적인 경향은 운동 전 휴식하는 동안은 이마온, 가슴온, 대퇴온 등은 상승하지만 전완온, 손등온, 발등온 등은 하강하였다. 운동 중에는 이마온, 가슴온, 대퇴온, 하퇴온 등은 상승하였으나 전완온, 손등온, 발등온 등은 감소하였다. 운동 후 휴식하는 동안에는 이마온, 가슴온 등은 하강하나 전완온, 손등온, 대퇴온 등은 상승하였다. 이런 경향으로 운동에 의한 체온조절은 체간부 보다는 외부 온도의 영향을 받기 쉬운 사지부를 통하여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3. 등부위는 가슴부위보다 피부온, 의복내 온도 및 습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이로써 운동으로 인한 열과 땀이 가슴부위보다는 등부위가 더 많이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가슴 부위보다는 등부위에 열과 습도를 조절할 수 있는 소재의 조합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4. 현장착용평가에서 운동 중의 피부온의 차이는 상완온>가슴온>대퇴온>하퇴온 순으로 나타났다. 운동 중의 실험복별 변화폭은 가슴온은 A>C>B>D, 상완온은 A>D>C>B, 대퇴온은 D>A>C>B, 하퇴온은 운동에 의해 오히려 상승하였는데 B>C>A>D로 나타났다. 평균피부온은 A>C>D>B 순으로 나타났으며 평균피부온의 변화의 폭이 컸다. 실험복 D는 가슴온의 변화의 폭이 적고 사지부의 변화의 폭은 커서 사지부를 이용한 체온조절에 용이한 소재로 사료된다.
5. 실험실 및 현장 평가에서의 착용감 평가는 습윤감이 실험복 D가 운동중, 운동후 가장 우수하였고 쾌적감은 실험복 D>A≥C>B순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한랭환경에서의 쾌적한 운동복은 가벼우면서도 매끄러운 촉감을 가지고 있고 열·수분 이동특성이 우수하면서도 보온성이 좋은 물성 특성을 가진 소재로 만들어진 것이라는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쾌적한 소재를 만들기 위해서는 실 사이의 공기투과율이 큰 싱글조직보다는 소수성(폴리에스테르)과 친수성(양모)섬유를 이용하여 이중조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운동중 발생한 땀에 의해 소재가 피부에 달라붙지 않는 특성이 있는 양모 섬유를 피부에 닿는 면에 사용하면 더욱 쾌적한 운동복을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