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목격자 진술에 대한 SCAN(Scientific Content Analysis, 과학적 내용 분석) 기법의 타당성 연구 = Empirical Validation of SCAN(Scientific Content Analysis) with Experimentally Derived Eyewitness Statements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The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0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51-167(17쪽)
KCI 피인용횟수
5
DOI식별코드
제공처
소장기관
SCAN(Scientific Content Analysis) is one of the most popular statement analysis techniques being used by investigators in many countries. SCAN analyzes the content and structure of statements of suspects, victims, or witnesses and evaluates their credibility. The principles of SCAN are incorporated into several criteria. The presence of each criterion is assumed to be an indication of deception and is more likely to be observed in deceptive statements rather than truthful ones. This study attempts to test the validity of SCAN in analyzing witness statements written in Korean language. Three experimental groups were manipulated. Truthful group saw a real car theft video clip and truthfully wrote about what they actually saw. False group 1 saw the same car theft video clip but intentionally described the theft scene incorrectly. False group 2, saw a non-criminal neutral video clip and wrote as if they saw a car theft crime. Two raters scored SCAN total for each subject's statement applying Smith's(2001) 13 SCAN criteria. The resul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SCAN total scores between the truthful group and false groups, in which two false groups obtained significantly higher SCAN scores than the truthful group and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the two false groups. Four of 13 criteria significantly differentiated between the truthful and false group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SCAN could be applied to witness statements written in Korean language although the statements were experimentally derived. But some limitations of the current study are discussed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suggested.
더보기SCAN(Scientific Content Analysis; 과학적 내용분석)은 미국 등 여러 나라의 형사사법기관에서 사용되고 있는 알려진 진술 분석 기법 중의 하나로서 자발적인 진술의 내용과 구조를 분석하여 진술의 신빙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SCAN을 우리나라에 처음으로 소개하고 목격자 진술의 신빙성 평가에 적용 가능한지를 탐색하고자 하는 실험연구로서 SCAN을 통해 진실한 목격 진술과 거짓 목격 진술을 구분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 90명(남녀 각각 45명)을 대상으로 ‘목격한 것을 사실 그대로 진술하기'(진실집단), ‘목격한 것을 허위로 진술하기'(거짓집단1), ‘목격하지 않은 것을 목격한 것처럼 진술하기'(거짓집단2)의 조건으로 나누어 Smith(2001)가 사용한 13개의 SCAN 준거를 사용하여 각각의 진술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거짓집단1과 거짓집단2의 SCAN 준거의 총점이 진실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13개의 준거 중 4개의 준거가 집단을 신뢰롭게 구별해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진술서의 내용을 분석한 결과 실험조건에 따라 개별 준거에 해당하는 내용의 차이가 발견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영어권 나라에서 개발되고 사용되고 있는 SCAN을 우리나라에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과 수사실무에서 SCAN을 활용하는 문제를 논의하였다.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0 | 평가예정 |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 |
2015-01-01 | 평가 |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16 | 1.16 | 0.9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96 | 1.58 | 1.54 | 0.4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