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사회과 교육과정 개정의 쟁점과 대안: 교육과정 문서의 체제와 진술 방식 및 용어를 중심으로 = Issues and Improvements of Social Studies Curriculum Revision - Focusing on the format, statement method and terminology in curriculum documents
이 연구의 목적은 사회과 교육과정 문서의 체제, 진술 방식 및 용어 관련 쟁점과 개선 방안을 일반사
회 영역을 중심으로 제시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 다루는 사회과 교육과정 문서의 쟁점 및 개선 방안의
내용은 크게 과목 체제와 성격 및 목표, 교과 및 과목 내용 체계표의 구성, 성취기준과 교수학습방법 및
평가 유의점으로 구분할 수 있다. 우선 ‘과목 체제와 성격 및 목표’와 관련해서 중학교 사회를 중학교 지
리와 일반사회로 분리하고, 교과 역량도 사회과 전체 역량과 더불어 일반사회 영역 역량을 재설정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초·중·고 사회과 목표도 사회과 전체 목표 하에 통합적 성격의 목표, 영역별 목표,
과목별 목표를 각각 제시하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다음으로 ‘교과 및 과목 내용 체계표 구성’과 관련해
서, 용어를 명확히 하고 별도의 기능 체계표를 구성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교과 및 과목 내용
체계표의 분리와 더불어, 주제 및 학습요소, 성취기준, 교과 역량 및 기능을 결합한 대안적인 내용 체계
표 양식을 제안하였다. 끝으로 ‘성취기준과 교수학습방법 및 평가 유의점’과 관련하여, 성취기준에서 사
회과 역량 및 기능을 좀 더 분명하게 드러낼 수 있도록 목적어와 서술어를 조합하여 진술하거나, 내용
요소와 역량 및 기능을 다양하게 조합하는 새로운 형태의 성취기준 진술 방식을 제안하였다. 또한 교과
서 개발이나 검정 과정에서 교과서의 다양성을 저해할 수 있는 교수학습방법 및 평가 유의점은 교육과
정 문서에서 삭제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결론적으로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의 과목 체제, 성격,
목표, 역량, 내용 체계표, 기능, 성취기준, 성취기준 해설, 교수학습방법 및 평가 유의점 등과 관련한 쟁
점을 살펴보고 개선 방안을 모색하여 2022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 개발에 대비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issues and improvements related to the format,
ways of describing achievement standards, and terminology in social studies curriculum
documents, focusing on the social science domain. The issues and improvements of
social studies curriculum documents covered in this study are largely divided into those
on: 1) subject system and nature & goals, 2) the composition of subject content structure,
3) achievement standards and the things to note in teaching & learning methods and
evaluation. First, in relation to the subject system and nature & goals, it is suggested to
divide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into middle school geography and social science, and
to establish social science competency as well as overall social studies competency.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ocial studies goals should be presented as
integrated goals, goals for each area, and goals for each subject respectively, based on
the overall goals of social studies. Second, when it comes to the subject content
structure, more clarified terms and a separate function structure are required. In
addition to separating general subject and specific subject content structure, an
alternative content structure is proposed that combines themes & learning elements,
achievement standards, subject competencies & functions. Third, in the achievement
standards and the things to note in teaching & learning methods and evaluation, new
ways of describing achievement standards should be considered to specify the related
competencies and to use appropriate verbs for the objects to articulate social studies
교육과정평가연구 제25권 제1호 (2022)
24
competencies and functions. In addition, it is suggested that the things to note in
teaching & learning methods and evaluation should be deleted from the curriculum
document because they could decrease the diversity of textbooks . In conclusion,
examining issues related to the subject system, nature & goals, competency, content
structure, functions, achievement standards, the explanation of achievement standards,
the precauions of teaching & learning methods and evaluation in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s of the 2022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12-26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 Evaluation ->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5-05-19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교육과정평가연구외국어명 : The Journal of Curriculum & Evaluation | KCI등재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87 | 0.87 | 1.0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82 | 0.77 | 1.353 | 0.81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