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음악의 ‘고향’ 의식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7
작성언어
-주제어
KDC
910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73-99(27쪽)
제공처
고향이란 무엇인가? 우리 존재의 근원적 공간이 바로 고향이다. 누구나 태어나서 삶을 영위하는 공간이 있다.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고향은 향수를 불러일으키기도 한다. 본고는 한국적 고향에 대한 정서를 대중음악, 문학작품 등의 콘텐츠 요소를 통해 조명해 보고자 한 것이다.
고향으로의 복귀(復歸) 혹은 회귀(回歸)의 주체는 바로 자신이다. 즉, ‘나의 의지’가 요구된다. 고향으로 회귀하려는 사람들이 품는 공통적인 의식에는 ‘되돌아갈 수 있는 곳’, ‘나를 반겨주는 곳’ 등의 이미지가 담겨져 있다. 그리고 그곳에는 반드시 자신과 가장 친숙한 사람들이 머물고 있다. 그 대표적인 존재가 바로 ‘어머니’이다. 따라서 어머니는 ‘고향’의 다른 표현이 된다. 그리고 고향의 ‘향기’가 바로 ‘母性(Maternity)’이 된다. 본고에서는 고향의식을 존재의 보편적 속성으로서의 회귀의식과 고향의식, 노스텔지아의 자극이라는 측면에서 살펴보고, 고향의 상징적 의미를 근본으로의 복귀와 어머니에 대한 동경 의식으로 구분하여 볼 것이다. 그리고 나서 고향 이미지의 한국적 특징을 제시하고자 한다.
무엇보다도 어머니가 주는 범세계적 정서는 ‘고향’이나 ‘향수(Nostalgia)’에 있을 것이다. 인간은 자신이 처한 현실 속에서, 보다 나은 삶을 동경하게 된다. 그리고 그 속에서 현실의 고난을 극복하는 힘을 얻기도 하고, 때로는 현실과 이상의 괴리감으로 좌절하기도 한다. 추상적이기는 하지만, 현실을 극복하려는 삶의 의지의 원동력은 바로 ‘고향’이라는 공간이 있기 때문이다. 어머니는 자식의 영원한 위안자이다. 자식의 고뇌를 어루만져주는 의사와 같은 손을 가지신 분이다. 그러기에 어머니를 떠올리면 자식은 언제나 마음의 위안을 가질 수 있다. 마음에 위안을 주기 때문에 평안을 얻을 수 있는 것은 당연하다.
언젠가는 돌아가야 하지만 지금 당장은 그럴 수 없는 현실을 인내하여 잠깐의 ‘멈춤’이 바로 현실의 고향에 대한 동사형일 것이다. 이러한 정서를 대중음악에서도 잘 표현해 내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비단 대중음악뿐만이 아니라 시나 소설, 영화, 뮤지컬 등의 대중문화에서도 고향에 대한 풍부한 콘텐츠가 발견된다. 그렇다면 한국적 정서 속에서 ‘고향’은 근본을 찾는 기본작업이라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What is the Hometown? The original space of our existence is directly the hometown. There is someone which is born and manages the life. The hometown arouses the Nostalgia in the most of men. This Study is trying to illuminate the emotion for the Korean hometown through the contents element including the popular music, literary work, and etc.
The subject of the return of the hometown or the recurrence is directly the oneself. That is, 'my will' is required. 'the place where it can go back' and image of 'the place welcoming me' back are put in the common ceremony which the men that it returns to the hometown have. And certainly I and most familiar men are staying in that place. This representative existence is directly 'Mother'.
Therefore, the other expression of 'Hometown' comes to the mother. And 'the motherhood(Maternity)' comes directly to 'fragrance' of the hometown. The hometown consciousness is examined in the side that it is the recurrence consciousness as the universal attribute of the existence and hometown consciousness and magnetic pole of the Nostalgia in this manuscript. The symbolic meaning of the hometown will be divided into the east longitude consciousness about the return to and mother. And the Korean feature of the hometown image is trying to be presented.
First of all, the world-wide emotion which the mother awards will be in 'the hometown' or 'Nostalgia'. The human gets to yearn for the better life in the reality when I punish. And the strength overcome the hardship of the reality in this inside is gotten. It is discouraged with the reality and alienation described in the above sometimes. However the motive power of the will of the life that the abstract self interest overcomes the reality is due to have the room that it is directly 'Hometown'. The mother is the eternal comfort child of the child. It is the person having the hand like the doctor soothing the suffering of the guy. So, the child can have the comfort of the mind always if the mother is recalled. Because of inspiring the consolation to the mind, it is natural to get the peace.
The reality which has to go back some time but which it cannot be like that right now is endured and 'Stop' of the short time will have directly, the verb form about the hometown of the reality. It was expressing well, this emotion was examined in the popular music. Merely the abundant contents about the hometown is found out in the popular culture including not only popular music but also city or novel, movie, musical, and etc. Then, even if it can be said to be the elemental operation finding the basis before, 'Hometown' will be not exaggeration in the Korean sentiment.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