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 재개발 법제에 관한 비교 연구 = A Comparative Study on the System of Redevelopment on Habitation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0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305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51-76(26쪽)
제공처
소장기관
최근 주택재개발 사업에 관한 논의가 활발해 지고 있다. 법 개정과 함께 기존의 추진 주체의 변화가 있었다. 재개발시장에서 건설사의 문제점도 많이 거론되고 있다. 재개발과정에서 건설사는 본연의 건설업을 해야지 시행을 하려고 하면 곤란하다는 지적이다. 건설사는 공개경쟁으로 수주하고 발주처가 요구하는 품질의 시공을 하면 된다. 그런데 지금까지 브랜드 파워에다 로비력으로 조합과 관계를 형성해 사전에 정해진 가격으로 일을 처리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요즘 재개발 제도개선에 ‘공공관리자 제도’의 도입 방안이 이슈가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주택재개발이 지니는 공공성이 어떠한 것이고, 또 이것이 공법영역에서 공공성과 어떠한 점이 다른가를 살펴보았다. 이는 필연적으로 개인의 기본권과 공익간의 충돌이 발생하기 때문에 실제로도 이러한 충돌의 문제는 중요한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주택재개발의 공공성이 가지는 의미를 파악하여 법적문제의 충돌을 해결하는 단서를 찾았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주택재개발의 공공성이 가지는 의미를 파악하여 법적문제의 충돌을 해결하는 단서를 찾고 주택재개발과 관련된 분쟁의 유형과 그에 따른 해결방법을 분석하려고 하였다. 주민(조합)과 건설사, 주민(조합원)과 주민(조합원) 등 여러 곳에서 사업차질이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이 많이 있다. 영국과 일본은 재개발 사업 때 여러 부처가 함께 정비본부를 운영하면서 경제적·사회적 환경적 영향을 종합하여 사업을 한다. 우리도 여러 다양한 부서의 주관과 다양한 주민의 의견을 반영하여 민·관이 함께 호흡하고 나아가는 친환경적 주거문화를 갖춘 주택재개발 사업을 하여야 할 것이다.
더보기Nowadays discussions about redevelopment on habitation are in vogue. After the revision of the law there was the change of subject. During the process of redevelopment on habitation construction companies should indulge in construction, rather than marketing. To improve the system of redevelopment on habitation the introduction of the system of public management is in issue. This article deals the redevelopment on habitation in the viewpoint of publicity. For the better redevelopment on habitation we should listen to the various opinion of habitant.
더보기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