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한국영화산업 발전을 위한 DMX Lighting 상용화를 위한 연구 = Commercialization of DMX Lighting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Film Industry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영상기술연구(journal of the moving image technology associon of korea)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9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29-144(16쪽)
KCI 피인용횟수
1
DOI식별코드
제공처
DMX Lighting, which has been used for a long time in stage performances, events, etc., is changing the shooting environment at an alarming speed around large studios in foreign countries. In Korea, it has not been introduced yet in film and broadcasting field. Local studios are just now being introduced to the concept.
Scenarios standard format and advanced visualization are being introduced to upgrade the Korean video industry. DMX Lighting is a challenge that needs to be introduced swiftly. In particular, it is time to review the increased size of film budgets, and the need for reasonable shooting timeframes. DMX Lighting can control and program multiple lights in real time using a controller.
Assuming 10 to 30 lights are used at a shooting site, it is necessary to carefully control the brightness and color according to the matt cut and the mood. Such work is done by 5-6 lighting team members who work on solar radiation, but if they are larger than 50-100 units, or if the installed light is installed at a high or far distance.
To operate DMX Lighting, one needs to understand a working vocabulary. Included is an understanding of the technology, and the equipment to which it applies. Additionally, LED lights, smog machines, and wind turbines have recently been introduced. In the case of LED lights, there are many local products of various manufacturers.
한국영상 산업의 고도화를 위해서 DMX Lighting는 시나리오 표준 포맷 도입과 사 전시각화 연계와 함께 시급히 도입되어야 한다. 한국 영화는 이제 촬영 규모와 예산이 커졌고, 그로 인해 합리적인 촬영시간 운용이 불가피 하므로 앞서 나열한 방식들을 검 토 할 시기가 왔다. DMX Lighting이란 여러 대의 라이트를 DMX 콘트럴러(패널)을 통해 프로그래밍 하여 실시간으로 라이트들을 동시에 제어 할 수 있는 방법이다.
영상 촬영현장에서 보통 10대 – 30대 정도의 라이트를 사용한다고 가정하면 매 커트와 신 분위기에 따라 밝기와 컬러를 세심하게 조절 할 필요가 있다. 그런 작업 은 5-6명 정도의 조명 팀원들이 일사분란하게 작업 하는데 그 이상 50-100대 정도 의 규모로 커지거나, 설치된 라이트의 위치가 높거나, 멀리 각각 설치되어 있다면 단 순히 인원을 많이 배치한다고 해결하기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규모가 큰 현 장일수록 DMX Lighting을 활용도는 높아질 것이다.
영화 속의 어는 장면을 다양한 톤으로 보여주고 싶을 때 각 장면의 밝기와 컬러의 콘트롤을 위해 리깅 되어 있는 라이트를 올리고, 내리고, 조절하면서 촬영 한다는 게 가능할까? “52시간 촬영현장”에서 불가능 할 것이다. 이 런 작업을 주먹구구식으로 진행 한다는 것도 불가능하다. 인력과 돈으로 해결될 수 없는 문제인 것이다.
그 대안은 표준화 된 시나리오 포맷 도입과 사전시각화5)를 통한 치밀한 준비 그 리고 DMX Lighting을 이용한 촬영 현장이라고 필자는 생각한다. 현장 모니터는 최 종 스크리닝을 검토하고, 확인할 수 있는 ON SET“ 환경 구축이다.
2019년부터 단계적으로 모든 촬영현장 및 노동 현장에 52시간제가 시행된다. 단 계적으로 법적 강제가 진행될 것이다. 이로 인해 제작예산의 증가가 예상되는 지금 이 제작환경 전반의 사전 점검 및 철저한 준비가 필요한 시점이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5-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 KCI후보 |
2013-05-28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영상기술학회 -> 한국영상제작기술학회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1 | 0.1 | 0.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11 | 0.12 | 0.369 | 0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