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기초애니메이션 교과목연구 = A Study on Subject “Introduce to Animation”
저자
서계숙 (대전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0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68-92(25쪽)
KCI 피인용횟수
0
제공처
소장기관
The discussion that a new curriculum is needed in the digital age animation field has already reached consensus. Now the concrete method should be discussed. In this paper, we considered that the general attributes of animation are not characters and narratives. Animation is ‘the art of movement’ and ‘event that occurs between frames and frames’. As a basic curriculum in college, the basic goal of education should be to expand the two-dimensional thinking of new students into space and time and explore new possibilities of animation in the digital age. In the educational content, creative experimental animation materials should be dealt with centrally, and the basic principles and production techniques of animation should be improved to suit digital technologies. In this paper, we revisited the basic elements of basic anim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this era and proposed a practical project that can apply these elements. <Digital Zoetrope>, <Tempo>, <Colorful Rhythm>, <Character, Walking and Dance>, <Collage Animation>. Through this, the core of the educational method derived from the research results is as follows. 1. Animation is the art of movement. Move away from narrative to learn the basic principles of movement and use it in various ways. 2. Timing and spacing can be learned through sense of rhythm and beat. 3. It is necessary to newly improve interest in basic elements such as shape, texture, light, and space, which are currently neglected because they are limitedly expressed in cell animation and cartoons. 4. Research on various visual storytelling is necessary. You can try symbolic storytelling, constructive storytelling, poetic storytelling, and audiovisual storytelling. 5. In the planning stage, audio-visual thinking that thinks of images and sounds together is a necessary expression ability in this era. Computers, which are digital audio-visual media, have opened up the possibility that sound can be another expression in animation. The basic animation education program should be continuously developed and shared.
더보기디지털 시대 애니메이션 분야에 새로운 교육과정이 필요하다는 논의는 이미 공감대를 이루었다. 이제 그구체적인 방법이 거론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애니메이션의 일반적인 속성이 캐릭터와 서사는 아니라고 보았다. 애니메이션은 ‘움직임의 예술’ ‘프레임과 프레임 사이에 일어나는 사건’이며 움직임을 의도적으로기획 조절할 수 있는 창조력에 그 핵심이 있다. 대학 기초교육과정으로서 기초애니메이션은 신입생들의 2차원적인 사고를 시공간으로 확장하고 디지털 시대에 애니메이션의 새로운 가능성을 탐구하는 것이 교육목표가 되어야 한다. 교육내용에서는 창의적인 실험애니메이션 자료들이 중심적으로 다루어져야 하며, 애니메이션의 기초 원리와 제작기술은 디지털 기술에 맞게 개선되어야 한다. 본 논문은 기초애니메이션의 구성요소들을 이 시대의관점으로 다시 살펴보고 이 요소들을 적용할 수 있는 실습프로젝트를 제안하였다. <디지털 조트로프>, <속도>, <색채 리듬>, <캐릭터, 걷기와 춤>, <콜라주애니메이션> 등이다. 이를 통해 연구결과로 도출한 교육방법의 핵심은 다음과 같다. 1. 애니메이션은 움직임의 예술이다. 기초애니메이션과정에서는 서사에서 벗어나 움직임의기본원리를 익히고 다양하게 활용하도록 한다. 2. 타이밍과 스페이싱은 리듬감각, 박자감각을 통해 학습할 수있다. 3. 셀 애니메이션, 만화 등에서 제한적으로 표현되어서 현재 소홀하게 다루어지는 형태, 질감, 빛, 공간 등요소를 기초과정에 적극 적용할 필요가 있다. 4. 다양한 시각적 스토리텔링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상징적 스토리텔링, 구성적 스토리텔링, 시적 스토리텔링, 시청각적 스토리텔링 등을 시도해 볼 수 있다. 5. 기획단계에서이미지와 사운드를 함께 생각하는 시청각적인 사고는 이 시대에 필요한 표현 능력이다. 디지털 시청각 매체인컴퓨터는 애니메이션에서 사운드가 또 하나의 표현요소가 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 주었다. 기초애니메이션 교육프로그램은 계속 개발되고 공유되어야 한다.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계속평가 신청대상 (계속평가) | |
2021-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재인증) | KCI후보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92 | 0.92 | 0.8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76 | 0.69 | 1.33 | 0.12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