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애니메이션 플랫폼의 기술적 진화와 정책적 관점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Technological Evolution and Policy Perspective of Animation Platform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0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212-228(17쪽)
KCI 피인용횟수
0
제공처
소장기관
It is time to shift the policy perspective to promote the production of domestic animation and strengthen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based on the process of platform evolution, which is diversifying into technology convergence. With the exclusive TV series animation zone of terrestrial broadcasters' platforms shrinking, and cable broadcasting and IPTV's animation channels are also weakening from target consumers, OTT platform's animation channels are expanding in large numbers. The newly-emerged OTT platform's animation-specialized channel is an innovation in artificial intelligence recommendation algorithms that will solidify animation target consumers as subscription economies within the platform and make certain fandom groups into areas. These business models repeatedly and periodically integrate the content subscription form of the OTT platform into big data, and try to transform the efficiency of the data economy into a profit model. It analyzes the thresholds of specific data generated by the consumption patterns of animation contents, such as the time and spread of consumption appearing in the form of content subscription, differentiated and relative VOD purchase areas, and intensive consumption expansion linked to the plot of storytelling, and is utilized as a big data resource for the next animation planning and creation. This paper historically analyzes the evolution process of existing domestic animation major platforms, and analyzes the market maintenance and converted status of such platforms from what structural causes, and with what mechanism the evolution paradigm of competitive major platforms is currently being conducted. The existing animation industry promotion policy was carried out with the aim of creative storytelling, the implementation of unique characters, the effective connection with the character business, and the soft landing of the global market, but it is time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nd status of the animation platform, which is rapidly evolving and changing, and the policy goals and detailed action plans should also be based on the new direction. This paper presents the new normality of the ecosystem of the animation industry, and analyzes the main trend and its impact of the innovative animation platform, proposes a turning point of the government policy for revitalizing domestic animation and supporting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더보기국산 애니메이션의 제작활성화와 국제적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정책적 관점이 기술융합형으로 다양화되어가는 플랫폼 진화과정에 근거하여 전환될 시점이다. 지상파방송사 플랫폼의 TV시리즈 애니메이션독점지대가 축소되고, 케이블방송 및 IPTV의 애니메이션 전문채널 또한 기존의 장르추종기능이 목표소비자로부터 약화되는 상황에서 OTT 플랫폼의 애니메이션 전문채널이 대량으로 확대되고 있다. 새롭게 등장한 OTT플랫폼의 애니메이션 전문채널은 인공지능 추천 알고리즘의 혁신으로 애니메이션 목표소비자들을 플랫폼 내에 구독경제로 고착화하며 일정한 팬덤그룹을 영역화한다. 이러한 비즈니스모델은 반복적이고 주기적으로 OTT 플랫폼의 콘텐츠 구독형태를 빅데이터로 집적화하며, 데이터경제의 효율을 수익모형으로 전환하려고 한다. 이는곧 콘텐츠 구독형태에 나타나는 소비집중시간 및 확산일시, 차별적이며 상대적인 VOD 구매지역, 스토리텔링의플롯과 연계된 집중적 소비확대 등 애니메이션 콘텐츠의 소비형태에서 발생하는 특정 데이터의 임계치를 분석하여, 차기 애니메이션 기획창작의 빅데이터 자원으로 활용한다. 본 논문은 기존 국내 애니메이션 주요 플랫폼의 진화과정을 역사적으로 분석하고, 그러한 플랫폼의 시장유지와 전환된 위상이 어떠한 구조적 원인에서 진행되었으며, 현재 경쟁력 있는 주요 플랫폼의 진화패러다임은 어떠한 메커니즘으로 진행되고 있는지를 연구문제로 분석한다. 기존 애니메이션산업의 진흥정책은 창의적인 스토리텔링과 독특한 캐릭터의 구현, 캐릭터비즈니스와의 효과적인 연계 및 글로벌시장의 연착륙을 목표로 진행되었으나, 실제 현재 급격하게 진화하고 전환되는애니메이션 플랫폼의 특성과 현황을 분석하면, 정책의 목표와 구체적인 실행계획 또한 새로운 방향설정을 전제해야 할 시점이다. 본 논문은 애니메이션산업 생태계의 뉴노멀을 제시하며, 혁신하는 애니메이션 플랫폼의 주요경향과 그 영향을 분석하여 국산 애니메이션 활성화 및 국제경쟁력 지원을 위한 정부정책의 전환점을 제안한다.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계속평가 신청대상 (계속평가) | |
2021-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재인증) | KCI후보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92 | 0.92 | 0.8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76 | 0.69 | 1.33 | 0.12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