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중국 백과전서류의 유입과 문학적 수용과 變奏 - 코끼리 談論과 辨證을 중심으로 - = A study of the accept and change to literature after China's Encylopedia import to Chosun(朝鮮) - As a focal point with a discussion and demonstration on an record elephant -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6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93-146(54쪽)
KCI 피인용횟수
2
DOI식별코드
제공처
소장기관
본고는 코끼리 談論과 辨證을 중심으로 중국 百科全書類의 유입과 문학적 수용과 변주를 살펴보았다. 코끼리 견문과 담론은 조선후기 연행록에 집중적으로 나타나고, 『日下舊聞』과 『淵鑑類函』 등 백과전서류에 기반을 둔다. 또한 코끼리 기록과 변증은 李圭景의 「象辨證說」이 대표적인데, 3종의 연행록과 『日下舊聞』․『淵鑑類函』․『物理小識』 등 각종 백과전서류를 적극 활용한다.
연행록에는 코끼리에 대한 견문뿐 아니라 轉言의 형태로 다양한 정보가 드러나는데, 『日下舊聞』․『淵鑑類函』․『物理小識』 등에서 근거가 찾아진다. 따라서 연행록의 코끼리 견문과 담론이 중국 백과전서류의 유입과 관련이 깊다.
朴趾源의 「象房」과 「象記」는 코끼리에 대한 견문뿐 아니라, 이전의 연행록과 『日下舊聞』․『淵鑑類函』․『物理小識』 등 중국 백과전서류에 근거를 둔다. 특히 자신의 견문과 『日下舊聞』을 바탕으로 논의를 전개한다. 金箕性의 「象駝說」은 『淵鑑類函』과 『日下舊聞』을 전적으로 수용한다. 이는 주관적 견해를 가능한 배제하고 객관성을 최대한 확보하려는 의도이며, 코끼리 견문과 담론에서 『日下舊聞』뿐 아니라 『淵鑑類函』도 적극 수용하는 단계에 접어든다. 金景善의 「象房記」는 『日下舊聞』․『淵鑑類函』 등 중국 백과전서류를 수용할 뿐 아니라 3대 연행록을 비롯한 이전 연행록의 집대성과 관련이 깊다. 또한 기존 연행록을 수용 또는 變奏하거나 새로운 견문을 추가한다. 따라서 코끼리 견문과 담론도 연행록과 마찬가지로 다양한 형태로 수용과 변주가 일어남을 의미한다.
19세기 중반에는 코끼리에 대한 지식과 정보가 포화상태에 이른다. 따라서 코끼리 견문과 담론을 포함한 다양한 기록[연행록]과 각종 문헌들을 대상으로 논리적․체계적으로 분석․연구하는 토대가 마련된다. 코끼리 기록과 변증은 李圭景의 「象辨證說」이 참고할 만하다. 「象辨證說」은 3종 연행록의 코끼리 견문과 담론뿐 아니라 20여종이 넘는 다양한 문헌을 토대로 코끼리에 대한 지식과 정보를 논리적․체계적으로 변증한다. 또한 『日下舊聞』과 『淵鑑類函』에 의존하던 기존 방식을 탈피하고 가능한 다양한 문헌을 바탕으로 코끼리에 대한 지식과 정보를 제공한다. 이는 코끼리에 대한 지식과 정보의 폭발적 증가를 의미하며, 지식과 정보의 재배치 및 재생산과도 연관이 깊다.
This paper is discussion as a focal point with a discussion and demonstration on an record elephant, how to accept and change to its literature after import China's Encylopedia to Chosun society. The discussion and record about elephant is reflected in the several of books of “yeonhaengnok(燕行錄:A record official travel road to Beijing)” on late Chosun, and some of discussion based on some encyclodpia like a 『ilhagumun(日下舊聞)』, 『yeongamnyuham(淵鑑類函)』. Lee Gyugyeong(李圭景) wrote ‘sangbyeonjeungseol(象辨證說)’ is represent among like this record, this works is discussion make full use three kind of “yeonhaengnok(燕行錄)” and some kind of encyclopedia note like 『ilhagumun(日下舊聞)』, 『yeongamnyuham(淵鑑類函)』, 『mullisosik(物理小識)』.
The other view, a number of yeonhaengnok(燕行錄)’s record show the record of view and hear elephant, and also written some of other information deliverd from 『ilhagumun(日下舊聞)』, 『yeongamnyuham(淵鑑類函)』, 『mullisosik(物理小識)』. So, We can be assure very deep relation between a record of yeonhaengnok(燕行錄) and import and use china’s encyclopedia to chosun.
Also, Bak Jiwon(朴趾源) wrote 「sangbang(象房)」 and 「sanggi(象記)」 is record his experience, add use other yeonhaengnok(燕行錄)’s record and china’s encyclopedia like 『ilhagumun(日下舊聞)』, 『yeongamnyuham(淵鑑類函)』․『mulli- sosik(物理小識)』. His works point to his own experience and 『yeongamnyuham(淵鑑類函)』, 『mullisosik(物理小識)』. Kim Giseong(金箕性) wrote 「sangtaseol(象駝說)」 is fully accepted 『yeongamnyuham(淵鑑類函)』 and 『ilhagumun(日下舊聞)』. This is one of thinking that exclude the subjective views as possible and to secure objectivity to the fullest discussion, he accept just not 『ilhagumun(日下舊聞)』 spread out to 『yeongamnyuham(淵鑑類函)』. Kim Gyeongseon(金景善) wrote 「sang -banggi(象房記)」 is accepted china’s encyclopedia 『ilhagumun(日下舊聞)』, 『yeong -amnyuham(淵鑑類函)』, also totally summary all of a record of yeonhaengnok(燕行錄). Also he is accepted or changes, or add new records. This mean is discussion and record about elephant also accepted or changes like the yeonhaengnok(燕行錄)’.
In the 19th century, information about elephant is reached saturation, change to start a logical and systematic analysis and research using all of record, like review, discussion, yeonhaengnok(燕行錄), and some of china’s encyclopedia etc. Among this research, Lee Gyugyeong(李圭景) wrote ‘sangbyeonjeungseol(象辨證說)’is most worth seeing. This work is logical and systematic analysis, using a record of 3 kind of yeonhaengnok(燕行錄), collect many inoformation from a number of 20 books.
Try out from the existing system, They depend on using china’s encyclopedia ilhagumun(日下舊聞)』, 『yeongamnyuham(淵鑑類函)』, and this is can possibly a variety of literature.
This is prove the realignment of the knowledge and information and reproduction associated with deep.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2-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6 | 0.36 | 0.3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7 | 0.36 | 0.746 | 0.11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