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童蒙須知』의 庭訓的 성격과 조선조의 수용 = Children’s Textbook, 『Dongmongsuji(童蒙須知)』 for Home Education and Acceptance of Literates (文人) in the Joseon Dynasty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9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7-34(28쪽)
KCI 피인용횟수
0
DOI식별코드
제공처
소장기관
This study is a reinterpretation of the book, 『Dongmongsuji(童蒙須知)』 by Zhu-xi(朱熹; 1130~1200), who compiled Neo-Confucianism(新儒學). Zhu-xi deliberately used the vocabulary, “Dongmong(童蒙)” as he compiled this book by putting together the things that children must know. It can be seen from this that Zhu-xi perceived children as ignorant and innocent beings without cognitive abilities.
The system of 『Dongmongsuji』 consists of three parts including the preface to writing motives of the book, the main content of five examples of children's lifestyles and manners for others, and the conclusive remark to exemplify the effect when practicing book contents well habitually.
The content characteristic of 『Dongmongsuji』 is that it only describes the habits and manners that children should have in their daily lives, and didn't explain why. In other words, Zhu-xi only told children “Sodangyeon(所當然)” of the Code of Conduct, and omitted the description of ‘Soyiyeon(所以然)’.
The literates of the Joseon dynasty understood that after Zhu-xi completed 『Sohak(小學)』, he wrote 『Dongmongsuji』 for home education of children at home. This understanding was then universal recognition of literates at the time. In the late Joseon, children's education textbooks such as 『Dongmongseonseup(童蒙先習)』 and 『Gyeokmongyogyeol(擊蒙要訣)』 compiled independently in Joseon were popular, replacing 『Dongmongsuji』.
Thus, needless to say, the study of 『Dongmongsuji』 may find the fact that the most important thing in children's education is that home education is not about injecting objective knowledge but is to guide them to carrying manners to respect for others in their body.
본고는 朱熹의 저술 『童蒙須知』를 오늘날 아동에게 새롭게 요구되는 정신을 담고 있는 고전으로 재조명한 것이다. 주희는 ‘아동이 모름지기 알아야 할 내용’을 엮어 책을 편찬하면서 제목을 ‘童蒙’이라 하였다. 여기에는 그가 아동을 인지 능력이 개발되어 있지 않은 無知蒙昧한 상태의 존재로 보았던 인식의 일단이 배어 있다고 할 수 있다.
『童蒙須知』의 체제는, 저술 동기를 밝히는 머리말, 아동들이 지녀야 할 생활 습관 및 웃어른을 대하는 예절을 분류하여 나열한 5편의 본편, 주의 사항을 준수하여 습관화했을 때의 효과를 들어 재차 권면하는 맺음말의 세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동몽수지』의 내용적 특징을 지적한다면, 아동들이 일상생활에서 모름지기 지녀야 할 습관과 예절에 한정하여 기술하였을 뿐, 왜 그렇게 해야만 하는 것인가의 이치에 대해서는 설명하지 않았다는 점이다. 다시 말해 주자는 아동들에게 ‘所當然’만을 말하였고, 그 ‘所以然’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면서 이 점은 후일에 아동들이 성장하여 성현들의 다른 책을 읽으면 절로 알게 될 것이고 하였다.
조선조 문인들은 주희가 『소학』 편찬을 완성한 이후 가정에 있는 아동의 庭訓用으로 『동몽수지』를 저술했다고 이해하였다. 이러한 이해는 조선조 문인들의 보편적 인식이었다. 하지만 조선 후기에는 『동몽선습』과 『격몽요결』 등이 아동 교육교재로 크게 환영을 받아 널리 유행함으로써 『동몽수지』를 대체하였다.
아동 교육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객관적인 지식을 습득하도록 가르치는 일이 아니라, 바른 습관을 몸에 배도록 하고 상대를 존중하는 예절을 지니도록 경계하는 庭訓이라는 사실을 『동몽수지』는 오늘날 여전히 대변해주고 있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2-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6 | 0.36 | 0.3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7 | 0.36 | 0.746 | 0.11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