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SCOPUS
SCIE
백서 피질 신경원 혼합배양 모델에서 Propofol 투여 시점이 허혈-재관류 손상에 미치는 영향: N-Methyl-D-Aspartate 수용체 중심으로 = The influence of propofol administration time on oxygen-glucose deprivation-reperfusion injury in rat mixed cortical cultures focused on N-Methyl-D-Aspartate (NMDA) receptors
Background: Propofol has been shown to have neuroprotective properties. However, the effect of propofol administration time on neuroprotection is not well understoo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if propofol administration time would influence its neuroprotective effects on an in vitro ischemia-reperfusion model, with special attention directed toward NMDA-induced calcium influx.
Methods: Primary mixed cortical cultures of thirteen-day-old rats were exposed to 5 min of oxygen-glucose deprivation (OGD), followed by 2 hr of reperfusion. Propofol (1−100μM) was administered before OGD or administered from the time of OGD to the end of the reperfusion period. In the blank and full kill groups, no drug or NMDA 500μM treatment was given. The surviving cells were counted using trypan-blue staining, and cell death rate (CDR) was determined. To measure the maximum Ca2+ influx, 50μM propofol was pre-treated or co-treated with 100μM NMDA. In the control and NMDA 100μM groups, no drug or NMDA 100μM was given. A P < 0.05 was consider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Cells pre-treated with propofol (10−100μM) or co-treated (50−100μM) at the time of OGD injury had a decreased CDR compared to the blank group. Cells pre-treated (2,713 nA) or co-treated (3,626 nA) with propofol had a decreased maximum Ca2+ influx compared to the 100μM NMDA group (4,075 nA). Cells pre-treated with propofol had a decreased maximum Ca2+ influx compared to co-treated rats.
Conclusions: Propofol demonstrated neuroprotective effects at lower concentrations when administered prior to OGD injury. This may be partially attributable to the reduction of Ca2+ influx against NMDA receptor activation.
Background: Propofol has been shown to have neuroprotective properties. However, the effect of propofol administration time on neuroprotection is not well understoo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if propofol administration time would influence its neuroprotective effects on an in vitro ischemia-reperfusion model, with special attention directed toward NMDA-induced calcium influx.
Methods: Primary mixed cortical cultures of thirteen-day-old rats were exposed to 5 min of oxygen-glucose deprivation (OGD), followed by 2 hr of reperfusion. Propofol (1−100μM) was administered before OGD or administered from the time of OGD to the end of the reperfusion period. In the blank and full kill groups, no drug or NMDA 500μM treatment was given. The surviving cells were counted using trypan-blue staining, and cell death rate (CDR) was determined. To measure the maximum Ca2+ influx, 50μM propofol was pre-treated or co-treated with 100μM NMDA. In the control and NMDA 100μM groups, no drug or NMDA 100μM was given. A P < 0.05 was consider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Cells pre-treated with propofol (10−100μM) or co-treated (50−100μM) at the time of OGD injury had a decreased CDR compared to the blank group. Cells pre-treated (2,713 nA) or co-treated (3,626 nA) with propofol had a decreased maximum Ca2+ influx compared to the 100μM NMDA group (4,075 nA). Cells pre-treated with propofol had a decreased maximum Ca2+ influx compared to co-treated rats.
Conclusions: Propofol demonstrated neuroprotective effects at lower concentrations when administered prior to OGD injury. This may be partially attributable to the reduction of Ca2+ influx against NMDA receptor activation.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3 | 평가예정 |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 KCI등재 |
2013-11-27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대한마취과학회 -> 대한마취통증의학회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7-20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대한마취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nesthesiology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7-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KCI등재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1-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09 | 0.09 | 0.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09 | 0.09 | 0.27 | 0.01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