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가족 양립 현실과 출산 선택 : 서울시 성인남녀 대상 설문조사 결과를 중심으로 = Work-family imbalance and low fertility among Seoul citizen
저자
공선희 (서울특별시여성가족재단)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8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330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65-86(22쪽)
제공처
The social policies among OECD countries coping with the decline of fertility and advanced old-age society focus on support to the balance of work-family or work-life in societies. This paper is aimed at understanding the environment of childbirth-caring and proposing to improve a real situation of the marriage, the sense of family, the sustenance in work-family, based on the survey of Seoul citizen. The data used in this analysis is available in the interview of 2,500 persons conducted during 26th July to 21th Aug. in 2008, for female and male adults from 25 to 44 age in full.
These are following arguments. First, although a sense and value of family in the interviewees seem to be high on the whole, however, younger group , the level of agreement to the alternative family come to be stronger, instead the family-oriented attitude becomes weaker. Second, the value of family is more precious rather than that of marriage, Willingness of male to the marriage is more intensive than female, one-third of them think a marriage of a 'choice'. However, the 70 percent of single interviewees are answered to want to be married in future, one-forth of single women are appeared to have a reservation to marriage. These deferred and delayed marriages are mainly caused by the interest of self-improvement, rather than marriage. Third, the evaluation of the balance of work-family among Seoul citizen is not high point. But the single women and men, especially twenties are more balance of work-life than married couples.
Therefore, in this sense, these issues have some policy implication. Above all, for dealing with the decline of birthrate, it is very important to protect a work-family balance of male and female worker, especially needs for a institutional aid that is able to hold on to married women's jobs, when they give birth to their first child. At last, it will be realized that the high quality of childcare facilities or services have to be offered by an involvement of the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authorities so citizens of Seoul can have children as they want to(mean 1.96).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