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1920-1930년대 체코와 한국의 프롤레타리아 문학의 이론가들 = A Comparative Study on the Theorists and their Theories of Czech and Korean Proletarian Literatures in the 1920-1930s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5
작성언어
-주제어
KDC
920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22(22쪽)
제공처
체코와 한국의 프롤레타리아 문학 이론가들의 이론과 비평, 그리고 이들의 이론이 적용된 문학작품들을
기준으로 살펴본 두 나라의 프롤레타리아 문학은 공통성을 바탕으로 하면서도 부분적인 차이를 보이고 있다.
우선 두 나라의 프롤레타리아 문학이 그때까지의 부르주아 문화를 청산하고 새로운 예술을 지향하며, 프롤레
타리아의 해방과 공산주의 이데올로기의 실현을 위한 투쟁예술을 주창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리고 제1차 세계
대전의 종식과 러시아 혁명 이후의 1920년대를 시간적 배경으로 하여 탄생하였다는 점에서 공통적이다. 그리
고 두 나라의 프롤레타리아 문학의 이론가들이 작품의 형식보다는 내용에, 문학성보다는 이데올로기에 치중
하고 있고, 프롤레타리아트가 이해하기 쉬운 평이한 문체를 요구하고 있다는 점도 같다. 또한 투쟁일변도와
지나치게 이데올로기 편향적인 프로 문학의 이론과 실제에 대한 시정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있었다는 점도 같
은 점이다.
반면에 두 나라 프롤레타리아 문학의 가장 두드러진 차이는 한국 프롤레타리아 문학이 체코에 비해 존속
기간이 훨씬 길고, 프로 문학에 종사한 이론가들과 문학가들, 그리고 산출된 작품들이 월등하게 많다는 점이
다. 따라서 체코 프롤레타리아 문학의 경우에는 이론의 노이만, 이론과 실제의 호라와 볼케르 등 그 수가 손에
꼽을 정도인데 비해, 한국의 경우는 김기진, 박영희, 백철, 조중곤, 안막과 같은 뛰어난 이론가들, 임화, 김남
천, 이기영, 한설야, 조명희 등과 같은 이론과 실제를 겸비한 걸출한 작가와 시인들이 있고, 또한 이상화, 신석
초, 김동환, 심훈, 최정희 등, 곧 프로 문학을 포기하게 되지만 자신들의 문학활동의 시작을 프롤레타리아 문
학으로 장식한 시인과 소설가들이 있다. 반면에 체코의 경우 프롤레타리아 문학으로 자신의 문학 활동을 시작
한, 정상급 시인으로는 후에 노벨 문학상을 수상하게 되는 사이페르트 정도를 꼽을 수 있을 뿐이다.
1920년대 전반까지를 전성기로 하는 체코 프롤레타리아 문학과 1920년대 중반에서 1930년대 중반에 이르
기까지를 활동기간으로 하는 한국의 프롤레타리아 문학은 이데올로기 편향적이라는 태생적인 한계에도 불구
하고 현실과 사실에 입각한 문학 이론을 역동적으로 전개하였고, 활발한 문학논쟁을 유도하였으며, 유익하고
가치 있는 문학작품을 상당수 산출하였다는 점에서 두 나라의 국민문학에 미친 영향과 공헌은 결코 작은 것이
아니었다.
Both Czech and Korean proletarian literatures were common in that they started in the 1920s, under
the influences of the ending of the first World War as well as the successful Russian Revolution, and
they oriented themselves to the new art movement having broken up with the existing bourgeois culture,
and also they aimed at the militant art for the liberation of the proletariat and the realization of the
communist ideology. Both Czech and Korean theorists of proletarian literature shared in their emphasis
on content over the form of a literary work, in their concentration on the ideology rather than the artistic
quality, and in their stress on the lower and simple style. It was same as well that among the theorists
of two literatures there were voices against the too much ideology oriented theories and literary works
based on them.
On the other hand, the main differences between two proletarian literatures were that the existing
time period of Korean proletarian literature was much longer than the Czech one, and the number of
Korean proletarian theorists and the literary works was much greater than the Czech one. Therefore, in
Czech proletarian literature we can count only a small number of prominent theorists and poets like Josef
Hora, JIří Wolker, and Stanislav Kostka Neumann, while in Korean proletarian literature there were many
of theorists and poets or novelists like Kichin Kim, Younghee Park, Wha Leem, Namcheon Kim,
Keeyoung Lee, Sulya Han, Myunghee Cho, Choonggon Cho, Mark Ahan, and others. Also in Korean
proletarian literature there were many prominent writers like Sangwha Lee, Sukcho Shin, Dongwhan Kim,
Hoon Shim, Chunghee Choi and others who started their literary career as a proletarian writers but soon
gave it up for non-ideological literature, while in Czech proletarian literature only Jaroslav Seifert, later
Nobel prize winner, can be counted as such a writer.
Both Czech proletarian literature having its main phase in the first half of the 1920s and Korean
proletarian literature having its time period from the middle of the 1920s till the middle of the 1930s, in
spite of its intrinsic limitations, made a considerable contribution to the two national literatures with its
development of the literary theory based on the realities of life, with its introduction of the active
literary debates and controversies, and with its production of a number of valuable literary works.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