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사회적 경제 비즈니스 모델을 활용한 지역 사회 활성화 방안 - 카페 및 커피를 중심으로 - = A Study on the Local Community Revitalization Plan using Social Economy Business Model - Focusing on cafes and coffee -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미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89-235(47쪽)
제공처
본 연구는 사회적 경제비즈니스 모델을 활용한 지역 사회 및 지역경제 활성화 방안을 카페를 중심으로 분석하고, 대안을 제시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했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지역에 뿌리내려 지역사회 및 지역경제를 활성화할 수 있는 사회적 경제비즈니스 모델을 카페에 적용하였다. 이를 위해, 사회적 경제의 개념, 유형, 중요성과 함께 지역 사회 활성화 관련 선행연구까지 고찰하고 카페 및 커피 중심 사회적 경제비즈니스 모델 개발방안 논의의 영역을 확장하여 본 연구의 학술적, 실무적 기여도를 높였다.
또한,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으로 첫째, 사회적 경제를 구성하는 사회적기업, 협동조합, 마을기업과 자활기업, 소셜 벤처 등 사회적 경제비즈니스 영역의 개념을 고찰하였다. 둘째, 사회적 경제비즈니스 모델과 관련한 카페에 관한 선행연구를 분석하였다. 셋째, 향후 카페 및 커피 중심 사회적 경제비즈니스 모델 개발과 관련한 커피산업의 새로운 사업영역을 확대하고자 하였다. 넷째, 카페 및 커피 중심 사회적 경제비즈니스 모델 개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공공재로서의 카페 및 커피 중심 사회적 경제비즈니스 모델의 의미를 재정의하였다. 둘째, 카페 및 커피 중심 사회적 경제비즈니스 모델을 재인식할 수 있는 단서를 제공하였다. 셋째, 도시재생 등 사회문제 해결을 위해 카페 및 커피 중심 사회적기업이 적극적으로 참여할 방안을 제시하였다.
카페 및 커피 중심 사회적 경제비즈니스 모델을 개발하려는 방안으로는 첫째, 카페 및 커피 중심 사회적 경제비즈니스 모델의 이익과 목적의 결합을 추진해야 한다. 둘째, 카페 및 커피 중심 사회적 경제비즈니스 모델링에 있어서 사회적 경제 주요 원칙의 준수이다. 셋째, 카페 및 커피 중심의 사회적 경제비즈니스에 대한 원활한 자금조달 및 투자유치이다. 넷째, 카페 및 커피 중심의 사회적 경제비즈니스의 영향 확장에서 사회적기업의 역할 강화이다. 다섯째, 카페 및 커피 중심의 사회적 경제비즈니스에서 사회적 기업가정신의 진화하는 환경에의 적응이다.
This study primarily analyzed plans for activating the local community and regional economy using the social economy business model, with a focus on cafes, and proposed alternatives. Through this analysis, the study applied a social economy business model that can take root in the region and stimulate both the local community and the regional economy through cafes. To achieve this, the study reviewed the concept, types, and importance of the social economy, as well as previous studies related to community activation. It also broadened the scope of discussion on the development of the social economy business model centered around cafes and coffee, thereby enhancing the academic and practical contributions of the study.
In addition, the specific objective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o examine the concept of the social economy business areas, such as social enterprises, cooperatives, village enterprises, self-reliance enterprises, and social ventures that constitute the social economy. Second, to analyze previous studies on cafes related to the social economy business model. Third, to expand the new business areas of the coffee industry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the social economy business model centered on cafes and coffee in the future. Fourth,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the social economy business model centered on cafes and coffee.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following findings were obtained: First, the meaning of the social economy business model centered on cafes and coffee as a public good was redefined. Second, the study provided insights for recognizing the social economy business model centered on cafes and coffee. Third, it suggested ways for cafes and coffee-centered social enterprises to actively participate in addressing social issues such as urban regeneration.
To develop a social economy business model centered on cafes and coffee, the study proposed the following strategies: First, the integration of the benefits and purposes of the social economy business model centered on cafes and coffee should be promoted. Second, adherence to the core principles of the social economy when modeling a social economy business centered on cafes and coffee is essential. Third, smooth financing and investment attraction for social economy businesses centered on cafes and coffee should be facilitated. Fourth, the role of social enterprises in expanding the influence of social economy businesses centered on cafes and coffee should be strengthened. Fifth, adaptation to the evolving environment of social entrepreneurship in social economy businesses centered on cafes and coffee is necessary.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