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려와 수도사설화의 비교 연구 = A Comparative Study on Buddhist Monk and Catholic Friar Narratives - Focusing on Korea and Poland -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7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49(49쪽)
제공처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승려설화와 폴란드 수도사설화의 비교를 통해 동서양의 종교문화에 관한 이해의 지평을 확대하고자 하는 것이다. 승려설화는 불교를 배경으로, 수도사 설화는 가톨릭을 배경으로 각각 생겨났다. 종교는 당대의 사회적・윤리적 의식세계를 대변하나 종교설화는 결코 그 종교가 갖는 교리를 바탕으로 이야기되는 것이 아니다. 설화의 내용은 각 종교가 그 시대의 민중에게 어떤 모습으로 비춰졌느냐 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들을 유형화하고 비교 분석하는 일은 그 시대의 종교와 사회의 관계를 밝히는 일이기도 하다.
우리는 설화를 통해 승려와 수도사들의 모습을 긍정적인 모습과 부정적인 모습으로 분류할 수 있다. 그들이 가진 신이한 능력과 구제의 행위를 묘사한 이야기를 통해 긍정적인 모습을, 그들의 타락한 행위와 어리석음을 희화화한 이야기를 통해 부정적인 모습으로 각각 유형화 할 수 있다.
긍정적인 설화들은 정의를 지향하고자 하는 인간의 염원이 투사된 이야기들이고, 부정적인 설화들은 인간이 가진 도덕적 가치가 어디까지 유지될 수 있는지에 대한 윤리적 한계의 투사라고 할 수 있다. 이를 두 설화의 유사성이라고 한다면, 지리적・문화적 상이성은 설화의 내용 형성에 별다른 영향을 끼치지 않는 셈이다. 설화 속의 승려와 수도사의 모습은 주로 민중들의 종교에 대한 의식과 초월적인 것에 대한 기대를 바탕으로 형성되었기 때문이다.
다만, 설화의 모티프가 다양하게 나타나도록 하는 변인은 폴란드 가톨릭의 오랜 유일신교적 전통 혹은 종교적 절대주의, 한국 불교의 오랜 포용주의적 전통 혹은 다종교 공존을 지향하는 관용주의로 말미암은 것이라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Korean monk and Polish friar narratives and foster a deeper understanding of Eastern and Western religious culture by means of this comparison. Monk narratives were formed against a background of Buddhism, while friar narratives were formed against a background of Catholicism.
Religion reflects the system of social and ethical consciousness of each era. However, religious narratives are not composed against a background of the doctrine of each religion. The content of the narratives, regardless of whether it is positive or negative, is based on the way the religion is perceived by the masses in each historical period. Therefore, by a typological process and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se narratives, the correlation between religion and society in each historical period may be clearly revealed.
Throughout these narratives, the image of the monk and friar can be classified as being either positive or negative. Narratives in which monks or friars are depicted as people who possess mysterious divine powers and stories which depict their acts of helping others demonstrate their positive aspects, while stories which show their depravation and caricatures in which their stupidity is depicted demonstrate their negative aspects.
Ultimately, the positive narratives are stories tracing human desires, while the negative narratives trace the ethical limits of how long a human being can preserve his moral values. If it can be said that these two points are similar for both Korean and Polish narratives, consideration must be made that geographical and cultural features have little impact on the content of the narratives. It is because of the image of monks and friars, whether positive or negative, is based on the people"s expectations towards religion, especially on people"s faith in the efficacy of religious miracles.
It can only be said that the various differences in the narrative motifs are caused by variable origins - Polish Catholicism"s long monotheistic tradition or religious absolutism, and Korean Buddhism"s long tradition of embracing other religions or orientation towards multi-religious coexistence and tolerance.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