陰囊水腫 診斷에 있어서의 水腫造影術의 利用 = Hydrocelography in Diagnosis of Hydrocele
저자
朴東春 (慶北大學校 醫科大學 泌尿器學敎室)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1979
작성언어
Korean
KDC
510.000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422-429(8쪽)
제공처
一側性 陰襄水腫 患者 42例를 對象으로 選定하여 그들의 水腫을 直接 經皮 穿剌한 다음 造影劑를 注入하여 撮影한 X-線所見 ?? 水腫造影像과 手術所見을 比較 觀察하였다.
水腫造影上 造影劑가 腹腔內로 流入됨을 볼 수 있는 境遇를 交通性 水腫, 볼 수 없는 境遇를 非交通性 水腫으로 判讀하였던 바 交通性과 非交通性 水腫과의 鑑別診斷率은 95%였다.
陰襄水腫 42例 中 交通性 水腫이 34例로 非交通性 水腫보다 4倍 程度 많았다. 靑年期의 水腫은 大部分이 交通性 精系水腫이었고, 激烈한 運動으로 因한 腹壓 抗進에 依해 느슨하게 閉??되어 있던 초상돌기가 再開放되어 發生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水腫造影術은 交通性 水腫과 非交通性 水腫과의 鑑別診斷에 利用할 수 있는 簡單하고 安全한 方法이며, 이로써 陰襄水腫 患者의 術前 術式 決定에 도움을 얻을 수 있다고 思料된다.
Hydrocelography, an X-ray examination following the percutaneous injection of contrast medium into the hydrocele cavity. was carried out on 42 partients with unilateral hydrocele, and comparative results between the hydrocelographic findings and operative findings were evaluated. In reading the hydrocelograms, the hydroceles were classified as communicating when the contrast medium enters into the peritoneal cavity, and as noncommunicating when it does not. The accuracy of hydrocelography in the differential diagnosis of communicating from noncommunicating hydroceles in young adults were communicating cord tyes which might be caused by recanalization of the loosely obliterated funicular process due to the increased intraabdominal pressure from strenuous physical activity. Hydrocelography was considered to be safe and easy to perform, and useful in determining preoperative surgical approaches.
더보기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