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구술로 본 강원도 원주의 도시기억 ― 군사문화를 중심으로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0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17-155(39쪽)
KCI 피인용횟수
1
DOI식별코드
제공처
이 연구는 강원도 원주의 지역 정체성 확립에 기여했던 군사문화를 기반으로 군사문화의 도시 원주를 구술을 통해 기억하는 데 있다.
한국전쟁 이후 원주는 분단국가의 특수성을 반영하듯 군사문화의 도시로서 모습을 갖추었다. 그러나 2000년대의 원주는 새로운 변화를 맞이하게 된다. 강원도 원주가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군사문화의 도시였다는 사실은 원주지역 토박이거나 원주민들의 구술기록으로만 확인된다. 따라서 군사문화의 도시 원주 에 거주한 지역 원주민들의 기억과 구술기록을 통해서 과거 원주의 사라져 가는 기억에 대해 정리하고자 한다.
미군부대 식당종업원 박명한 씨, 1960~70년대 미군부대 구호물자를 사용한 박은희 씨, 1980년대 미군부대에서 막사철거 용역을 한 심재근 씨의 구술을 통해 ‘미군부대와 관련된 기억’을, 1960년대 어린 시절 군부대와 군인 밖에 없던 마을을 회상한 박은희, 심재근 씨, 미군으로부터 원조 받은 물자로 학교를 설립했다는 박종수, 서교하 씨, 교내 부대문화행사를 기획한 간의웅 씨, 군인들과 조기청소회를 한 이강록 씨, 군인전용 법당 법웅사 법회에 참여한 이승윤 씨를 통해 ‘군사문화의 정서를 느꼈던 기억’을 채록하였다. 또한 군인 아버지의 계급을 이야기 한 이강록 씨, 군인가족을 가정방문한 간의웅 씨, 군인간부 부인 꽃꽂이 선생님이었던 이승윤 씨, 군인 아파트에 거주한 유태준 씨의 구술로 ‘군인가족들과의 기억’을, 마지막으로 군인 회식의 유태준 씨, 군인월급날을 기억하는 이강록 씨, 부대 근처 식당을 운영하는 박은희, 이복순 씨의 구술기록을 통해 ‘군 관련 상업시설과 운영자의 기억’을 채록할 수 있었다.
This study is based on the military culture that contributed to the establishment of the regional identity in Wonju, Gangwon-do and is remembered as "Wonju, the city of military culture" through orality. Since the Korean War, Wonju has been shaped like a city of military culture, reflecting the uniqueness of the divided nation. However, Wonju faced new changes in the 2000s. The fact that Wonju, Gangwon-do was the representative city of military culture in Korea is confirmed only by native peoples or oral records of the natives. Therefore, this study would like to summarize the disappearance of Wonju through interviews, where the indigenous people, who lived in Wonju, share their memories.
The following people dictated their stories on ‘The Memory related to the U.S.’, Park Myung-han, a former employee of the U.S. Army Corps Restaurant, Park Eun-hee, who used relief supplies during the 1960s and 1970s, and Shim Jae-geun, who worked as a demolition service for barracks in the United States Army in the 1980s. Also, Park Eun-hee and Shim Jae-geun recalled a village where only military troops and soldiers existed in the 1960s, and Park Jong-soo and Seo Kyo-ha remembered the establishment of the school with the aid of the U.S. military. Furthermore, ‘The Memory of military culture’ was recorded from Mr. Gan Woong. who organized a military event in the school, Lee Kang-rok. who worked with the soldiers for early cleaning, and Lee Seung-yoon, who participated in the Buddhism Court for the Soldiers. Additionally, Mr. Kang Rok talks about the ranks of military fathers, Mr. Gwan-woong used to visit the military family and tell them stories, Lee Seung-yun was the flower design instructor of the military officer"s wife, and Yoo Tae-jun lived in a military apartment, and these memories comprise the recordings about "The Memory with military families". Finally, ‘The Memory as an operator of military-related commercial facilities" were dictated by Yoo Tae-jun, who told the story of the soldiers" dinner, Lee Kang-rok, who told the story of the soldier"s payday, and Park Eun-hee and Lee Bok-soon, who ran a restaurant near the unit.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5-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 KCI후보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4 | 0.74 | 0.6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2 | 0.6 | 1.173 | 0.15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