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을 찾고 계세요?

인기검색어

    東洋思想과 現代社會 : 由堂金東炫先生古稀紀念論叢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URL 복사
    • 오류접수
    • 목차
    • 祝辭 / 鄭範錫(栗谷思想硏究院長, 前國民大總長)
    • 賀辭 / 金敬洙(前成均館大學校總長, 前成均館長)
    • 祝詩 / 錦雲 安南燮·雲坡 徐廷杓
    • 제1부 由堂先生의 삶과 글
    • 履歷 및 業績事項
    • 由堂 金東炫先生 略歷 = 33
    • 1. 學歷事項 = 33
    • 2. 經歷事項 = 33
    • 3. 宗事事項 = 34
    • 4. 儒敎事項 = 34
    • 5. 硏究事業實績事項 = 35
    • 『韓國現代生活倫理叢書』 總目次 = 38
    • 第1卷 「韓國人의 倫理思想(史)」 = 38
    • 第2卷 「韓國人의 家庭倫理」 = 45
    • 第3卷 「韓國人의 靑少年倫理」 = 51
    • 第4卷 「韓國人의 社會倫理」 = 63
    • 新年辭, 大會辭 및 人事의 말
    • 倫理道德의 確立으로 民主化 大和合의 길로 나아가자 = 71
    • 東邦大賢學術大會 = 74
    • 栗谷學國際學術大會 = 77
    • 汎國民새生活倫理學術講演大會 = 79
    • 栗谷學 國際講演大會 = 82
    • 大老祠 秋陽齋 竣工 및 落成記念 漢詩白日場 = 84
    • 忠賢書院 丙子春季祭後 總會 = 87
    • 創刊辭 및 刊行辭
    • 『栗谷學』을 創刊하면서 = 91
    • 『栗谷學』 第2輯을 발간하면서 = 93
    • 『栗谷學界』 第2輯을 發刊하면서 = 96
    • 『栗谷學界』 第3輯을 發刊하면서 = 99
    • 『栗谷學』 第3輯 發刊을 축하하며 = 101
    • 『栗谷學』 第4輯 栗谷倫理思想의 現代的 再照明을 발간하며 = 104
    • 『栗谷聖學의 硏究』의 學術書를 펴내면서…… = 106
    • 『韓國傳統倫理思想(史)』를 펴내면서…… = 108
    • 『栗谷學』 第7輯 栗谷의 哲學과 現代的 意義를 발간하며 = 111
    • 『栗谷學』 第8輯 栗谷의 道德敎育思想硏究를 발간하면서 = 113
    • 『栗谷學』 第9輯 栗谷의 經世思想을 발간하면서 = 115
    • 『票谷의 改幸思想(上)』을 發刊하면서 = 117
    • 『栗谷의 改革思想(下)』을 發刊하면서 = 119
    • 『韓國人의 家庭倫理』를 發刊하면서 = 120
    • 『韓國人의 靑少年倫理』를 펴내면서 = 123
    • 講演文 및 論文
    • 儒學의 現代的 意義 = 127
    • 栗谷의 生涯와 敎育思想 = 130
    • 1. 序言 = 130
    • 2. 氣質之性과 本然之性 = 131
    • 3. 人心과 道心 = 132
    • 4. 氣의 修爲와 矯氣質 = 133
    • 5. 結論 = 133
    • 申師任堂과 栗谷의 生涯 = 135
    • 1. 첫머리 = 135
    • 2. 申師任堂의 生涯와 家庭敎育 = 137
    • 1) 師任堂의 家系와 生涯 = 137
    • 2) 申師任堂의 家庭敎育 = 138
    • 3. 栗谷의 生涯와 敎育者的 人間像 = 140
    • 1) 栗谷의 家系 = 140
    • 2) 栗谷의 生涯 = 141
    • 4. 맺는 말 = 162
    • 第2部 東洋思想과 現代社會
    • 第1篇 栗谷思想
    • 栗谷思想에 나타난 德行과 蓄財의 관계 / 趙南國 = 169
    • 1. 머리말 = 169
    • 2. 栗谷 鄕約에 있어서 制度와 그 實行의 관계 = 171
    • 3. 德行과 蓄財의 관계와 그 調和를 지향한 율곡의 향약 = 175
    • 1) 德行과 蓄財의 관계 = 176
    • 2) 율곡의 향약에 있어서 德行과 蓄財의 調和 = 180
    • 4. 맺는 말 = 184
    • 栗谷의 理氣之妙에 관하여 / 주칠성 = 186
    • 1. 序論 = 186
    • 2. 理氣之妙의 含義 = 187
    • 3. 理氣之妙의 철학적 위치와 그 理論意識 = 192
    • 栗谷哲學의 養生思想에 관한 硏究 / 陳潤洙 = 195
    • 1. 緖論 = 195
    • 2. 養生의 개념 = 198
    • 3. 『栗谷全書』에 보이는 栗谷의 疾患 = 203
    • 1) 栗谷의 질환 = 203
    • 2) 「年譜」에 보이는 栗谷의 疾患 = 206
    • 3) 疏箚·啓·書에 보이는 栗谷의 疾患 = 208
    • 4. 栗谷의 疾病觀 = 210
    • 1) 疾病의 원인 = 211
    • 2) 疾病의 치료 = 212
    • 5. 栗谷의 養生思想 = 216
    • 1) 志氣의 保養 = 216
    • 2) 血氣의 保養 = 218
    • 3) 浩然之氣 = 220
    • 6. 結論 = 221
    • 栗谷의 自然觀과 人間觀 / 黃義東 = 224
    • 1. 序言 = 224
    • 2. 自然觀 = 226
    • 1) 自然의 개념 = 226
    • 2) 自然界의 生成과 功能 = 233
    • 3) 自然의 存在構造 = 236
    • 3. 人間觀 = 239
    • 1) 人間의 存在構造 = 239
    • 2) 人間의 可能性과 限界 = 243
    • 3) 萬人平等의 人間觀 = 247
    • 4. 人間과 自然의 관계 = 249
    • 1) 天·人一體의 존재관 = 249
    • 2) 人間과 自然의 相應關係 = 252
    • 3) 天·人合一로서의 誠·聖人 = 256
    • 5. 結語 = 258
    • 栗谷의 道學的 方法論 / 리기용 = 262
    • 1. 序論 = 262
    • 2. 道學의 淵源과 그 의미 = 263
    • 3. 惟精惟一과 居敬·窮理·力行의 방법론 = 267
    • 4. 結論 = 284
    • 栗谷의 認識體系에 관한 硏究 / 洪順甲 = 286
    • 1. 序論 = 286
    • 2. 栗谷 認識體系의 哲學的 基礎 = 288
    • 3. 人間의 認識能力 = 294
    • 1) 心 = 294
    • 2) 心氣와 身氣 = 305
    • 4. 認識의 過程 = 309
    • 1) 格物致知論 = 309
    • 2) 物格과 知至 = 325
    • 5. 眞知의 實現 = 329
    • 1) 認識의 목표- 眞知 = 329
    • 2) 眞知 실현의 방법 = 334
    • 3) 眞知의 실현 = 358
    • 6. 結論 = 362
    • 栗谷의 行政改革論 = 371
    • 1. 序言 = 371
    • 2. 栗谷 行政改革의 철학적 토대 = 374
    • 1) 存在論的 接近으로서의 社會本質 규명 = 375
    • 2) 價値論的 接近으로서의 人間規定 = 383
    • 3) 理想價値로서의 誠 = 389
    • 3. 栗谷 行政改革의 지도이념과 접근전략 = 392
    • 1) 行政改革의 의의 = 393
    • 2) 행정개혁의 지도이념 = 403
    • 3) 행정개혁의 접근전략 = 412
    • 4. 栗谷 行政改革의 전개 = 438
    • 1) 行政改革의 體系 = 438
    • (1) 諫院陳時事疏 = 438
    • (2) 玉堂陳時弊疏 = 442
    • (3) 陳미災五策箚 = 443
    • (4) 擬陳時弊疏 = 444
    • (5) 萬言封事 = 446
    • (6) 陳時弊疏 = 449
    • (7) 陳時事疏 = 451
    • (8) 東湖問答 = 453
    • (9) 聖學輯要 = 455
    • (10) 六條啓 = 456
    • (11) 疏·箚·啓의 體系分析 = 459
    • 2) 行政改革의 戰略 = 460
    • (1) 言路開放을 통한 民意收斂政策 = 460
    • (2) 紀綱確立을 통한 효율적 人事管理政策 = 468
    • (3) 循環補職을 통한 地方行政 활성화정책 = 477
    • (4) 兵農一致를 통한 文武合一의 국방정책 = 481
    • (5) 勤儉節約을 통한 財源確保政策 = 490
    • 5. 結言 = 496
    • 「金時習傳」 분석을 통해 살펴본 栗谷文學과 栗谷哲學의 현대적 의의 / 최준하 = 500
    • 1. 序論 = 500
    • 2. 栗谷의 「金時習傳」 考察 및 比較分析 = 502
    • 1) 栗谷의 生涯와 文學觀 = 502
    • 2) 栗谷의 「金時習傳」 分析 = 505
    • 3) 尹春年의 「梅月堂先生傳」과의 비교분석 = 519
    • 3. 「金時習傳」의 文學的 價値 = 524
    • 4. 朝鮮朝의 儒敎思想과 栗谷思想의 현대적 의의 = 526
    • 5. 結論 = 528
    • 第2篇 韓國思想
    • 韓國性理學의 根幹 / 성교진 = 535
    • 1. 緖論 = 535
    • 2. 本論 = 536
    • 1) 原始儒學과 新儒學 = 536
    • 2) 性理學의 5대개념: 理와 氣, 性과 理, 理學과 道學, 四七人道, 氣質之性·本然之性 = 539
    • 3) 退溪의 理氣互發 相須 = 546
    • 4) 高峰의 理氣共發說 = 548
    • 5) 栗谷의 理氣觀 = 551
    • 3. 結論 = 555
    • 『小學』의 그 朝鮮에서의 體現過程 / 배상현 = 558
    • 1. 『小學』의 內容과 思想 = 558
    • 1) 『小學』의 내용 = 562
    • 2) 『小學』의 사상 = 566
    • 孝思想의 本質과 現代社會에서의 役割 / 김문준 = 575
    • 1. 머리말 = 575
    • 2. 韓國의 文化傳統과 孝 = 577
    • 3. 孝의 본뜻 = 578
    • 4. 孝의 現代的 意義 = 587
    • 5. 맺는 말 = 591
    • 李退溪易學思想の 要綱 / 金益洙 = 594
    • 1. 序言 = 594
    • 2. 朱子易學思想の 形成 = 595
    • 3. 退溪學思想の 要綱 = 597
    • 1) 退溪の 易學思想成立 = 597
    • 2) 退溪易學思想の 要綱 = 600
    • 4. 結論 = 606
    • 沙溪先生의 道學精神 / 柳承國 = 610
    • 1. 序言 = 610
    • 2. 禮學의 大宗으로서의 沙溪 = 612
    • 3. 沙溪道學의 哲學的 理解 = 614
    • 4. 沙溪道學의 社會的 具現 = 617
    • 5. 結語 = 620
    • 禮의 根本精神과 沙溪先生의 位置 / 류칠노 = 621
    • 1. 導言 = 621
    • 2. 禮의 문화적 배경 = 622
    • 3. 禮의 성립과 綱常 = 623
    • 4. 仁과 禮 = 624
    • 5. 禮와 通變 = 627
    • 6. 沙溪禮學의 뿌리 = 628
    • 7. 沙溪의 禮學과 「家禮」 = 630
    • 8. 沙溪의 禮學史的 位置 = 632
    • 沙溪 金長生의 評傳 / 金容傑 = 634
    • 1. 머리말 = 634
    • 2. 沙溪先生의 家系와 連山 = 637
    • 3. 沙溪先生의 品性과 受學 = 639
    • 4. 沙溪先生의 역경과 고뇌 = 645
    • 5. 沙溪先生의 仕宦과 學德 = 648
    • 愼獨齋 詩의 特質 考究 / 宋寯鎬 = 652
    • 1. 導言 = 652
    • 2. 作品의 創作態度와 手法 = 653
    • 3. 作品의 구체적 검토 = 655
    • 1) 挽詩作品들의 構想的 性格 = 655
    • 2) 一般作品들의 題材的 性格과 그 構成上 特質 = 661
    • 4. 結言 = 672
    • 韓國 周易解釋史에서의 旅軒先生의 位置 / 金弼洙 = 674
    • 1. 緖論 = 674
    • 2. 生涯와 思想 槪觀 = 677
    • 3. 旅軒易學의 易學史的 位置 = 685
    • 4. 考證的 業績 = 689
    • 5. 適用法으로서의 互體法과 變易法의 辯 = 694
    • 6. 義理論의 정립 = 698
    • 7. 結論 = 703
    • 尤庵先生의 文論硏究 / 李香培 = 706
    • 1. 序論 = 706
    • 2. 文論의 形成背景 = 708
    • 3. 文論의 實際 = 710
    • 1) 時代相關論 = 710
    • 2) 文의 義理論 = 714
    • 3) 碑誌論 = 718
    • 4) 其他文體의 本質論 = 728
    • 4. 文論의 특징 = 736
    • 5. 結論 = 737
    • 尤庵先生의 箴銘類 硏究 = 740
    • 1. 序論 = 740
    • 2. 箴銘類의 形式과 內容 = 742
    • 1) 箴 = 742
    • 2) 銘 = 745
    • 3) 讚 = 748
    • 3. 尤庵 箴銘類 分析 = 750
    • 1) 韻散 交構的 性格 = 750
    • 2) 敎訓의 文學的 受容 = 755
    • 3) 自我省察의 文學化 = 759
    • 4) 尤庵 箴銘類의 效用性 = 764
    • 4. 結論 = 766
    • 同春堂의 修養論 / 徐遠和 = 768
    • 1. 緖言 = 768
    • 2. 君德修養은 '太平之道에 토대'를 두고 있다 = 769
    • 1) 人主의 一心은 모든 변화의 근원이다 = 770
    • 2) 天道는 끊임없고 聖人의 도덕은 나날이 새롭다 = 774
    • 3) 應天(하늘의 뜻에 맞추어 撫時하는 것)은 一心에 달려 있다 = 775
    • 4) 蒙以養正, 作聖之功(易을 찾아봄) = 776
    • 3. 君德의 輔養은 다만 經筵에서 이루어질 뿐이다 = 777
    • 1) 君德의 성취는 그 책임이 經筵에 있다 = 778
    • 2) 人君께서 가장 힘써야 할 곳은 經筵뿐입니다 = 779
    • 3) 經筵을 열어 새로운 開發이 있기를 기대해야 한다 = 780
    • 4. 君德修養의 綱目 = 781
    • 1) 修身綱領 = 781
    • 2) 立志 = 784
    • 3) 兩疑工夫 = 786
    • 4) 기타 德目 = 788
    • 5. 結語 = 789
    • 同春堂의 歷史意識 / 姜孟山 = 792
    • 1. 同春堂의 歷史意識 形成期의 社會環境 = 792
    • 2. 同春堂의 歷史意識의 理論的 基礎 = 795
    • 3. 同春堂의 歷史意識 = 797
    • 炭翁과 同春堂 道義思想의 比較硏究 / 宋寅昌 = 803
    • 1. 서언 = 803
    • 2. 儒家 道義思想의 기본성격 = 804
    • 3. 炭翁 道義思想의 기반 = 812
    • 4. 同春堂 道義思想의 기반 = 818
    • 5. 兩先生 道義觀의 비교검토 = 826
    • 6. 결어 = 836
    • 白湖 尹휴의 철학사상 / 金吉洛 = 840
    • 1. 서론 = 840
    • 2. 생애 = 841
    • 3. 학문형성과 淵源 = 843
    • 4. 철학사상 = 846
    • 5. 反朱子學的 사유체계 = 850
    • 6. 결론 = 855
    • 19세기의 斥邪衛正思想과 開化思想 / 吳錫源 = 857
    • 1. 19세기의 시대상황 = 857
    • 2. 斥邪衛正思想과 민족의 自主意識 = 860
    • 3. 開化思想과 국력의 배양 = 867
    • 4. 斥邪衛正思想과 開化思想의 역사적 기능 = 874
    • 孤雲文學論 / 趙鍾業 = 879
    • 1. 序論 = 879
    • 2. 生涯 = 880
    • 3. 思想 = 884
    • 4. 文學 = 888
    • 1) 詩 = 888
    • 2) 騈驪文 = 891
    • 5. 孤雲文學의 價値 = 893
    • 6. 給論 = 895
    • 尤庵 宋時烈의 時調文學的 照明 / 金善祺 = 897
    • 1. 서론 = 897
    • 2. 自作時調 = 898
    • 1) 「늙고 病든 몸이」 = 903
    • 2) 「님이 헤오시매」 = 904
    • 3) 「靑山도 절로절로」(自然歌) = 907
    • 3. 時調 漢譯 = 909
    • 1) 백사 이항복의 「鐵嶺歌」 = 910
    • 2) 포은 정몽주의 「丹心歌」 = 913
    • 3) 율곡 이이의 「高山九曲歌」 = 916
    • 4. 결론 = 921
    • 檀君의 歷吏的 位相과 民族和解 / 韓永愚 = 923
    • 1. 머리말 = 923
    • 2. 古代·高麗時代의 檀君 = 924
    • 3. 朝鮮前期의 檀君 = 926
    • 4. 朝鮮後期의 檀君 = 927
    • 5. 日帝時代의 檀君 = 929
    • 6. 오늘의 檀君 = 930
    • 7. 앞으로의 課題 = 932
    • 箕子·燕·扶餘·三國·高麗思想과 地名 考察 / 임균택 = 935
    • 1. 서론 = 936
    • 1) 고구려 낙랑군은 西安이고 살수·패수의 동쪽이다 = 936
    • 2. 본론 = 937
    • 1) 箕子·燕·扶餘·百濟는 中原大陸 땅 = 937
    • 2) 穢貊國은 협서·광동·호남·복건·산동성에 있었다 = 938
    • 3) 조선 玄蒐郡은 호북·하북성 지역이다 = 939
    • 4) 帶方郡은 중원·귀주·강서·광서·호남성 지역이다 = 939
    • 5) 강감찬 장군의 龜州는 사천성 지역 = 940
    • 6) 樹海都京은 감숙성 = 941
    • 7) 吐향은 백제땅 = 943
    • 8) 肅愼揖婁땅은 감숙성 = 944
    • 9) 三危는 고조선 곤륜이며 흑수의 근원 = 944
    • 10) 星山伽倻와 京山은 호북성 = 945
    • 11) 小伽那 固城은 사천성 = 945
    • 12) 昌寧伽倻는 감숙성 = 945
    • 13) 東扶餘 迦葉原은 운남성 = 945
    • 14) 고구려 졸본부여 땅인 和州(成縣)는 감숙성 토번 = 946
    • 15) 百濟땅은 귀주 서강 강서성 = 946
    • 16) 삼국·고려·조선 인구 비교고증 = 947
    • 17) 신라건국은 B.C. 175년 = 948
    • 18) 花山은 신라 육부인 본피부의 진지촌 = 950
    • 19) 金山은 가리촌의 한기부 = 950
    • 3. 결론 = 951
    • 1) 新羅 赫居世王 宮室 南山은 하남 협서현 = 951
    • 2) 南海王妃 雲帝夫人은 江蘇省 雲梯縣사람이다 = 952
    • 高句麗 廣開土境 平安好太王碑 建立意義와 碑文硏究 / 鄭周永 = 953
    • 1. 倭寇라는 正體와 倭國의 형성과정 = 953
    • 2. 사가노시마(志賀馬)의 金印 = 956
    • 3. 日本軍의 廣開土境 好太王碑 이전계획 = 957
    • 4. 日本軍 陸軍參謀車部 소속 酒勾 중위가 碑文을 變造한 증거는 무엇인가 = 959
    • 5. 1930년대 이전의 일본·프랑스 학자의 호태왕비에 대한 조사와 연구 = 963
    • 6. 邪馬台國 여왕 卑彌呼(김상수 회장 저서에서)- 妙見公主 히미코(卑彌呼) = 965
    • 7. 結論 = 967
    • 8. 碑文僞造의 確證 = 969
    • 9. '變造된 碑文字句'를 檢討한다 = 971
    • 9. 碑文 = 979
    • 第3篇 中國思想
    • 儒家 道論의 美學的 理解 / 趙玟煥 = 987
    • 1. 들어가는 말 = 987
    • 2. 道와 器 = 989
    • 3. 道와 性·敎 및 誠에 나타난 유가미학 = 992
    • 1) 『犬學』의 三綱領·八條目의 미학적 이해 = 992
    • 2) 『중용』의 性·道·敎 및 誠의 미학적 이해 = 997
    • 4. 道·理 그리고 體用論의 미학적 이해 = 1001
    • 5. 道와 慾望論 = 1006
    • 6. 맺는 말 = 1009
    • 孟子의 心性論 / 金世貞 = 1010
    • 1. 서론 = 1010
    • 2. 心性의 개념 정립 = 1011
    • 3. 心性論의 철학적 논거 = 1019
    • 4. 本心論 = 1026
    • 5. 結論 = 1032
    • 孟子의 '性善'과 朱子의 '性卽理' / 李東熙 = 1035
    • 1. 序言 = 1035
    • 2. 孟子 性善說의 本義 = 1038
    • 3. 荀子의 性惡說 = 1043
    • 4. 孟子의 心·性 未分과 朱子의 心·性·情 三分 = 1047
    • 5. 孟子의 性善과 朱于의 性卽理 = 1051
    • 6. 結語 = 1054
    • 『春秋』的 禮論 硏究 / 趙駿河 = 1057
    • 1. 序言 = 1057
    • 2. 形而上學的禮之原理 = 1059
    • 3. 倫理的禮說 = 1062
    • 4. 政治的禮說 = 1064
    • 5. 結語 = 1067
    • 魏晋玄學에서의 言語의 문제 / 李在權 = 1069
    • 1. 시작하는 말 = 1069
    • 2. 魏晋玄學의 출현배경과 의의 = 1071
    • 3. 淸談과 玄學의 개념 = 1076
    • 4. 言意之辯의 의미 = 1079
    • 5. 言意之辯의 성격 = 1086
    • 6. 맺는 말 = 1089
    • 王安石의 哲學思想 / 심백강 = 1091
    • 1. 序言 = 1091
    • 2. 王安石 哲學思想의 특징 = 1092
    • 1) 多樣性 = 1092
    • 2) 獨創性 = 1095
    • 3. 王安石의 哲學思想 = 1099
    • 1) 字宙論 = 1099
    • 2) 人生論 = 1103
    • 4. 結語 = 1112
    • 張橫渠 道德哲學의 心性論的 基礎 / 崔晶墨 = 1115
    • 1. 시작하는 말 = 1115
    • 2. 心의 功能과 知 = 1116
    • 1) 見聞知 = 1119
    • 2) 德性知 = 1120
    • 3. 性의 이중구조와 善惡의 來源 = 1122
    • 1) 天地之性 = 1124
    • 2) 氣質之性 = 1125
    • 4. 倫理實現의 哲學的 意義 = 1128
    • 5. 맺는 말 = 1131
    • 朱子의 形而上學 / 최영찬 = 1133
    • 1. '形而上'과 '形而下'의 의미 = 1133
    • 2. 儒家 形而上學의 두 경향 = 1138
    • 1) 一元論 = 1138
    • 2) 二元論 = 1141
    • 3. 朱子의 理氣論 = 1143
    • 1) 理와 氣의 관계 = 1144
    • 2) 理氣와 사물의 관계 = 1148
    • 4. 朱子 形而上學의 특성 = 1150
    • 第4篇 政治·經濟·敎育思想
    • 儒敎 政治哲學의 理論的 體系 / 閔晃基 = 1155
    • 1. 序言 = 1155
    • 2. 政治의 개념 = 1156
    • 3. 政治哲學의 本質的 內容 = 1160
    • 1) '修身'을 바탕으로 하는 정치철학 = 1160
    • 2) 정치철학의 본질적 내용으로서의 '中正' = 1162
    • 4. 政治의 목표와 실현방법 = 1165
    • 1) 정치의 궁극적 목표와 大同社會의 건설 = 1165
    • 2) '以人治人'에 의한 구현 = 1168
    • 5. 結語 = 1179
    • 民主發展을 위한 儒學의 새로운 役割에 대한 硏究 / 安宗沅 = 1182
    • 1. 머리말 = 1182
    • 2. 緖論 = 1185
    • 3. 現代 政治이데올로기의 批判 = 1187
    • 1) 人間性에 대한 새로운 이해 = 1188
    • 2) 現代民主主義의 재조명 = 1213
    • 3) 共産主義의 재조명 = 1226
    • 4. 儒學의 民主化, 民主主義의 儒學化 = 1237
    • 1) 民主德目으로서의 忠 = 1238
    • 2) 人尊平等思想으로서의 恕 = 1255
    • 5. 結論: 質量民主主義의 導出 = 1268
    • 民主意識과 公職倫理 / 許範 = 1271
    • 1. 公共行政의 理念과 實務 = 1271
    • 2. 公共利益 = 1274
    • 3. 行政의 效果性 = 1277
    • 4. 行政效果性의 觀點과 類型 = 1282
    • 5. 行政效果의 내용 = 1289
    • 6. 맺는 말 = 1297
    • 鄭道傳의 指導者 資質論 / 韓英春 = 1301
    • 1. 머리말 = 1301
    • 2. 組織規範의 설정과 遵守 = 1304
    • 1) 仁賢者의 선발 = 1305
    • 2) 率先垂範的 精神과 親切性 = 1306
    • 3) 上下間의 意思疏通 = 1307
    • 4) 下位者의 활용 = 1308
    • 3. 指導者의 權威 활용방법 = 1310
    • 1) 信義로서 權威維持 = 1311
    • 2) 德行으로서 權威維持 = 1312
    • 3) 下位者에 대한 信任과 權限委讓 = 1313
    • 4) 겸허한 마음과 德性 = 1315
    • 4. 影響力發揮의 능력 = 1317
    • 1) 動機附與의 능력 = 1317
    • 2) 下位者의 信賴性을 계속 유지할 수 있는 능력 = 1318
    • 3) 下位者의 意見聽取能力 = 1320
    • 4) 助力的 人間關係의 유지 = 1322
    • 5. 管理·決定 및 優光順位 설정의 능력 = 1324
    • 1) 管理의 능력 = 1324
    • 2) 社會的 衛平性에 기준한 목표의 설정 = 1325
    • 3) 優先順位의 설정 = 1327
    • 6. 結論 = 1329
    • 韓日親善, 그 宿命과 問題 / 金容鉉 = 1332
    • 1. 가깝고도 먼 나라 韓國, 日本 = 1332
    • 1) 日本의 對韓政策 = 1333
    • 2) 한국인이 일본을 증오하는 이유 = 1333
    • 2. 韓日共存의 숙명적 조건 = 1337
    • 1) 地政學的 考察 = 1337
    • 2) 역사적 교류의 밀도 = 1337
    • 3) 문화적 교류의 심도 = 1337
    • 4) 血緣關係(이 부분이 중요하다) = 1338
    • 5) 世界化·太平洋時代에 대비해야 한다 = 1340
    • 3. 兩國의 문제 = 1341
    • 親子關係에 관한 現行法의 問題點 / 鄭範錫 = 1344
    • 1. 序文 = 1344
    • 2. 現行法의 改正과 補完 = 1345
    • 1) 民法 제846조(子의 親生否認) = 1345
    • 2) 民法 제852조(親生否認權의 소멸) = 1347
    • 3) 民法 제853조(訴訟 終結後의 親生否認) = 1349
    • 4) 民法 제847조(親生否認의 訴) = 1350
    • 5) 人工受精에 의한 子에 관한 법률 = 1351
    • 3. 親子關係에 관한 科學웨 영향 = 1355
    • 4. 結語 = 1356
    • 東北亞地域 經濟合作展望과 길림성 對策 / 심만근 = 1358
    • 1. 서론 = 1358
    • 2. 동북아지역 경제합작 전망 = 1359
    • 3. 동북아지역 경제합작에 참여할 수 있는 길림성의 우세와 잠재력 = 1363
    • 4. 동북아지역 경제합작에 참여하기 위한 길림성의 대책과 조치 = 1366
    • 老人福祉에 있어서 老人의 役割意識과 期待에 관한 硏究 / 金大淵 = 1373
    • 1. 序論 = 1373
    • 2. 老人福祉와 役割意識·期待에 대한 이론적 고찰 = 1377
    • 1) 노인복지의 개념 = 1377
    • 2) 노인의 역할의식과 기대의 개념 = 1379
    • 3. 노인의 의식구조 및 역할의식의 실태 = 1382
    • 1) 일반적 生觀念과 의식구조 = 1382
    • 2) 종합결과와 해석 = 1396
    • 3) 복지사회 지향을 위한 역할의식 = 1400
    • 4) 추출된 노인의 역할의식과 문제 = 1403
    • 4. 노인복지와 역할의식의 전망 = 1407
    • 1) 노인복지 대책의 방향 = 1407
    • 2) 복지사회 지향에 있어서 역할기대 = 1409
    • 3) 새노인상과 사회적 기대 = 1410
    • 5. 결론 = 1414
    • 市民敎育의 發展方案에 관한 硏究 / 孔錫英 = 1417
    • 1. 序論 = 1417
    • 2. 市民敎育의 역사적 고찰 = 1421
    • 3. 市民敎育과 社會敎育의 連繫性 = 1424
    • 4. 市民敎育의 당면 문제성 = 1428
    • 1) 교육대상자 선정문제 = 1429
    • 2) 교관·교수요원의 자질에 대한 의견 = 1431
    • 3) 교재에 대한 의견 = 1432
    • 4) 교육내용에 대한 의견 = 1432
    • 5) 교육방법에 관한 의견 = 1434
    • 6) 합숙생활에 대한 의견 = 1436
    • 7) 교육평가에 대한 의견 = 1437
    • 8) 사후지도·관리와 재교육에 대한 의견 = 1438
    • 9) 새마을교육 시설에 대한 의견 = 1439
    • 10) 관리체계상의 문제에 대한 의견 = 1440
    • 11) 예산 및 재정에 대한 의견 = 1441
    • 5. 市民敎育의 發展方案 = 1445
    • 1) 단기개발방향 = 1446
    • 2) 장기개발방향 = 1448
    • 6. 要約 및 結論 = 1454
    • 進路相談方法에 관한 硏究 / 金忠起 = 1457
    • 1. 서론 = 1457
    • 2. 進路相談의 기초 = 1459
    • 1) 진로상담의 정의 = 1459
    • 2) 진로상담의 필요성 = 1461
    • 3) 진로상담의 목표 = 1463
    • 4) 진로상담의 역사적 배경 = 1464
    • 3. 進路相談理論 = 1466
    • 1) 특성요인 진로상담(Trait factor Career counseling) = 1466
    • 2) 내담중심 진로상담 = 1472
    • 3) 정신역학적 진로상담 = 1480
    • 4) 발달적 진로상담 = 1485
    • 5) 행동적 진로상담 = 1490
    • 6) 포괄적 진로상담 = 1499
    • 4. 결론 = 110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

      내보내기 형태를 선택하세요

      서지정보의 형식을 선택하세요

      참고문헌양식 참고문헌양식안내

      내책장담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동일자료를 같은 책장에 담을 경우 담은 시점만 최신으로 수정됩니다.

      새책장 만들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 책장설명은 [내 책장/책장목록]에서 수정할 수 있습니다.

      • 책장카테고리 설정은 최소1개 ~ 최대3개까지 가능합니다.

      관심분야 검색

      닫기

      트리 또는 검색을 통해 관심분야를 선택 하신 후 등록 버튼을 클릭 하십시오.

        관심분야 검색 결과
        대분류 중분류 관심분야명
        검색결과가 없습니다.

        선택된 분야 (선택분야는 최소 하나 이상 선택 하셔야 합니다.)

        소장기관 정보

        닫기

        문헌복사 및 대출서비스 정책은 제공도서관 규정에 따라 상이할수 있음

        권호소장정보

        닫기

          오류접수

          닫기
          오류접수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 개인정보 노출 방지를 위해 민감한 개인정보 내용은 가급적 기재를 자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담을 위해 불가피하게 개인정보를 기재하셔야 한다면, 가능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보내기]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오류 접수 확인

            닫기
            오류 접수 확인
            • 고객님, 오류접수가 정상적으로 신청 되었습니다.

              문의하신 내용은 3시간 이내에 메일로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다만, 고객센터 운영시간(평일 09:00 ~ 18:00) 이외에는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 드립니다.

              로그인 후, 문의하신 내용은 나의상담내역에서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접수 정보]

            음성서비스 신청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신청]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 서비스 신청이 완료되었습니다.

                신청하신 내역에 대한 처리 완료 시 메일로 별도 안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음성서비스 신청 증가 등의 이유로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감합니다.

              [신청 정보]

              41061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1119) KERIS빌딩

              고객센터 (평일: 09:00 ~ 18:00)1599-3122

              Copyright© KERIS.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 바로가기

              이용약관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1. 제 1 장 총칙

                1. 제 1 조 (목적)

                  • 이 약관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하 "교육정보원"라 함)이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의 웹사이트(이하 "서비스" 라함)의 이용에 관한 조건 및 절차와 기타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2. 제 2 조 (약관의 효력과 변경)

                  1. ① 이 약관은 서비스 메뉴에 게시하여 공시함으로써 효력을 발생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합리적 사유가 발생한 경우에는 이 약관을 변경할 수 있으며, 약관을 변경한 경우에는 지체없이 "공지사항"을 통해 공시합니다.
                  3. ③ 이용자는 변경된 약관사항에 동의하지 않으면, 언제나 서비스 이용을 중단하고 이용계약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
                3. 제 3 조 (약관외 준칙)

                  •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관계 법령에 규정 되어있을 경우 그 규정에 따르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적인 관례에 따릅니다.
                4. 제 4 조 (용어의 정의)

                  이 약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① 이용자 : 교육정보원과 이용계약을 체결한 자
                  2. ② 이용자번호(ID) : 이용자 식별과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이용계약 체결시 이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교육정보원이 부여하는 문자와 숫자의 조합
                  3. ③ 비밀번호 : 이용자 자신의 비밀을 보호하기 위하여 이용자 자신이 설정한 문자와 숫자의 조합
                  4. ④ 단말기 : 서비스 제공을 받기 위해 이용자가 설치한 개인용 컴퓨터 및 모뎀 등의 기기
                  5. ⑤ 서비스 이용 : 이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교육정보원의 주전산기에 접속하여 교육정보원이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하는 것
                  6. ⑥ 이용계약 :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이 약관으로 교육정보원과 이용자간의 체결하는 계약을 말함
                  7. ⑦ 마일리지 : RISS 서비스 중 마일리지 적립 가능한 서비스를 이용한 이용자에게 지급되며, RISS가 제공하는 특정 디지털 콘텐츠를 구입하는 데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포인트
              2. 제 2 장 서비스 이용 계약

                1.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1. ① 이용계약은 이용자의 이용신청에 대한 교육정보원의 이용 승낙에 의하여 성립됩니다.
                  2. ② 제 1항의 규정에 의해 이용자가 이용 신청을 할 때에는 교육정보원이 이용자 관리시 필요로 하는
                    사항을 전자적방식(교육정보원의 컴퓨터 등 정보처리 장치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나 서면으로 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계약은 이용자번호 단위로 체결하며, 체결단위는 1 이용자번호 이상이어야 합니다.
                  4. ④ 서비스의 대량이용 등 특별한 서비스 이용에 관한 계약은 별도의 계약으로 합니다.
                2. 제 6 조 (이용신청)

                  1. ①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자는 교육정보원이 지정한 양식에 따라 온라인신청을 이용하여 가입 신청을 해야 합니다.
                  2. ② 이용신청자가 14세 미만인자일 경우에는 친권자(부모, 법정대리인 등)의 동의를 얻어 이용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3. 제 7 조 (이용계약 승낙의 유보)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용계약의 승낙을 유보할 수 있습니다.
                    1. 1. 설비에 여유가 없는 경우
                    2. 2. 기술상에 지장이 있는 경우
                    3. 3. 이용계약을 신청한 사람이 14세 미만인 자로 친권자의 동의를 득하지 않았을 경우
                    4. 4. 기타 교육정보원이 서비스의 효율적인 운영 등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2. ②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이용계약 신청에 대하여는 이를 거절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사람의 명의를 사용하여 이용신청을 하였을 때
                    2. 2.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하였을 때
                4. 제 8 조 (계약사항의 변경)

                  이용자는 다음 사항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서비스에 접속하여 서비스 내의 기능을 이용하여 변경할 수 있습니다.
                  1. ① 성명 및 생년월일, 신분, 이메일
                  2. ② 비밀번호
                  3. ③ 자료신청 / 기관회원서비스 권한설정을 위한 이용자정보
                  4. ④ 전화번호 등 개인 연락처
                  5. ⑤ 기타 교육정보원이 인정하는 경미한 사항
              3. 제 3 장 서비스의 이용

                1. 제 9 조 (서비스 이용시간)

                  • 서비스의 이용 시간은 교육정보원의 업무 및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00:00-24:00)을 원칙으로 합니다. 다만 정기점검등의 필요로 교육정보원이 정한 날이나 시간은 그러하지 아니합니다.
                2. 제 10 조 (이용자번호 등)

                  1. ① 이용자번호 및 비밀번호에 대한 모든 관리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2. ② 명백한 사유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용자가 이용자번호를 공유, 양도 또는 변경할 수 없습니다.
                  3. ③ 이용자에게 부여된 이용자번호에 의하여 발생되는 서비스 이용상의 과실 또는 제3자에 의한 부정사용 등에 대한 모든 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3. 제 11 조 (서비스 이용의 제한 및 이용계약의 해지)

                  1. ① 이용자가 서비스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온라인으로 교육정보원에 해지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사전통지 없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거나 전부 또는 일부의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타인의 이용자번호를 사용한 경우
                    2. 2. 다량의 정보를 전송하여 서비스의 안정적 운영을 방해하는 경우
                    3. 3. 수신자의 의사에 반하는 광고성 정보, 전자우편을 전송하는 경우
                    4. 4. 정보통신설비의 오작동이나 정보 등의 파괴를 유발하는 컴퓨터 바이러스 프로그램등을 유포하는 경우
                    5. 5. 정보통신윤리위원회로부터의 이용제한 요구 대상인 경우
                    6. 6. 선거관리위원회의 유권해석 상의 불법선거운동을 하는 경우
                    7. 7.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동의 없이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경우
                    8. 8. 비실명 이용자번호로 가입되어 있는 경우
                    9. 9. 일정기간 이상 서비스에 로그인하지 않거나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은 경우
                  3. ③ 전항의 규정에 의하여 이용자의 이용을 제한하는 경우와 제한의 종류 및 기간 등 구체적인 기준은 교육정보원의 공지, 서비스 이용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등에서 별도로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4. ④ 해지 처리된 이용자의 정보는 법령의 규정에 의하여 보존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
                  5. ⑤ 해지 처리된 이용자번호의 경우, 재사용이 불가능합니다.
                4. 제 12 조 (이용자 게시물의 삭제 및 서비스 이용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필요에 따라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한 내용물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부분적으로 제한할 수 있습니다.
                  3. ③ 제 1 항 및 제 2 항의 경우에는 당해 사항을 사전에 온라인을 통해서 공지합니다.
                  4. ④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하는 서비스내의 내용물이 다음 각호에 해당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용자에게 사전 통지 없이 삭제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이용자 또는 제 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시키는 경우
                    2. 2.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유포하는 경우
                    3. 3.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4. 4.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5. 5. 게시 기간이 규정된 기간을 초과한 경우
                    6. 6. 이용자의 조작 미숙이나 광고목적으로 동일한 내용의 게시물을 10회 이상 반복하여 등록하였을 경우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5. 제 13 조 (서비스 제공의 중지 및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서비스용 설비의 보수 또는 공사로 인한 부득이한 경우
                    2. 2. 전기통신사업법에 규정된 기간통신사업자가 전기통신 서비스를 중지했을 때
                  2. ② 교육정보원은 국가비상사태, 서비스 설비의 장애 또는 서비스 이용의 폭주 등으로 서비스 이용에 지장이 있는 때에는 서비스 제공을 중지하거나 제한할 수 있습니다.
                6. 제 14 조 (교육정보원의 의무)

                  1. ① 교육정보원은 교육정보원에 설치된 서비스용 설비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에 적합하도록 유지하여야 하며 서비스용 설비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또는 그 설비가 못쓰게 된 경우 그 설비를 수리하거나 복구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 내용의 변경 또는 추가사항이 있는 경우 그 사항을 온라인을 통해 서비스 화면에 공지합니다.
                7. 제 15 조 (개인정보보호)

                  1. ① 교육정보원은 공공기관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률, 정보통신이용촉진등에 관한 법률 등 관계법령에 따라 이용신청시 제공받는 이용자의 개인정보 및 서비스 이용중 생성되는 개인정보를 보호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관리책임자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관리담당 부서장(학술정보본부)이며, 주소 및 연락처는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 1119) KERIS빌딩, 전화번호 054-714-0114번, 전자메일 privacy@keris.or.kr 입니다. 개인정보 관리책임자의 성명은 별도로 공지하거나 서비스 안내에 게시합니다.
                  3. ③ 교육정보원은 개인정보를 이용고객의 별도의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다만, 다음 각 호의 경우는 이용고객의 별도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이용 고객의 개인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1. 1. 수사상의 목적에 따른 수사기관의 서면 요구가 있는 경우에 수사협조의 목적으로 국가 수사 기관에 성명, 주소 등 신상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2. 2.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전기통신관련법률 등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
                    3. 3. 통계작성, 학술연구 또는 시장조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로서 특정 개인을 식별할 수 없는 형태로 제공하는 경우
                  4. ④ 이용자는 언제나 자신의 개인정보를 열람할 수 있으며, 스스로 오류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열람 및 수정은 원칙적으로 이용신청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며, 자세한 방법은 공지, 이용안내에 정한 바에 따릅니다.
                  5. ⑤ 이용자는 언제나 이용계약을 해지함으로써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동의, 목적 외 사용에 대한 별도 동의, 제3자 제공에 대한 별도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해지의 방법은 이 약관에서 별도로 규정한 바에 따릅니다.
                8. 제 16 조 (이용자의 의무)

                  1. ①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할 때 다음 각 호의 행위를 하지 않아야 합니다.
                    1. 1. 다른 이용자의 이용자번호를 부정하게 사용하는 행위
                    2. 2.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사전승낙없이 이용자의 이용이외의 목적으로 복제하거나 이를 출판, 방송 등에 사용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는 행위
                    3. 3.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하는 행위
                    4. 4.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배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타인에게 유포하는 행위
                    5. 5.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행위
                    6. 6.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되는 행위
                  2. ② 이용자는 이 약관에서 규정하는 사항과 서비스 이용안내 또는 주의사항을 준수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자가 설치하는 단말기 등은 전기통신설비의 기술기준에 관한 규칙이 정하는 기준에 적합하여야 하며, 서비스에 장애를 주지 않아야 합니다.
                9. 제 17 조 (광고의 게재)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의 운용과 관련하여 서비스화면, 홈페이지, 전자우편 등에 광고 등을 게재할 수 있습니다.
              4. 제 4 장 서비스 이용 요금

                1. 제 18 조 (이용요금)

                  1. ① 서비스 이용료는 기본적으로 무료로 합니다. 단, 민간업체와의 협약에 의해 RISS를 통해 서비스 되는 콘텐츠의 경우 각 민간 업체의 요금 정책에 따라 유료로 서비스 합니다.
                  2. ② 그 외 교육정보원의 정책에 따라 이용 요금 정책이 변경될 경우에는 온라인으로 서비스 화면에 게시합니다.
              5. 제 5 장 마일리지 정책

                1. 제 19 조 (마일리지 정책의 변경)

                  1. ① RISS 마일리지는 2017년 1월부로 모두 소멸되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마일리지 적립ㆍ사용ㆍ소멸 등 정책의 변경에 대해 온라인상에 공지해야하며, 최근에 온라인에 등재된 내용이 이전의 모든 규정과 조건보다 우선합니다.
              6. 제 6 장 저작권

                1. 제 20 조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는 다음 각 호와 같습니다.
                  1. ① 게시물에 대한 권리와 책임은 게시자에게 있으며, 교육정보원은 게시자의 동의 없이는 이를 영리적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2. ② 게시자의 사전 동의가 없이는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가공, 판매하는 행위 등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를 상업적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7. 제 7 장 이의 신청 및 손해배상 청구 금지

                1. 제 21 조 (이의신청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이의 신청 및 민원을 제기할 수 없습니다.
                2. 제 22 조 (손해배상청구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교육정보원 및 관계 기관에 손해배상 청구를 할 수 없으며 교육정보원은 이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아니합니다.
              8. 부칙

                이 약관은 2000년 6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9. 부칙(개정 2005. 5. 31)

                이 약관은 2005년 5월 31일부터 시행합니다.
              10. 부칙(개정 2010. 1. 1)

                이 약관은 2010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1. 부칙(개정 2010. 4 1)

                이 약관은 2010년 4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2. 부칙(개정 2017. 1 1)

                이 약관은 2017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개인정보처리방침

              Ver 8.6 (2023년 1월 31일 ~ )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처리목적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
              RISS는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처리합니다. 처리하고 있는 개인정보는 다음의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이용되지 않으며, 이용 목적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18조에 따라 별도의 동의를 받는 등 필요한 조치를 이행할 예정입니다.
              가. 서비스 제공
                   - 콘텐츠 제공, 문헌배송 및 결제, 요금정산 등 서비스 제공
              나. 회원관리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본인확인,
                   - 만14세 미만 아동 개인 정보 수집 시 법정 대리인 동의여부 확인, 추후 법정 대리인 본인확인
                   - 분쟁 조정을 위한 기록보존, 불만처리 등을 위한 원활한 의사소통 경로의 확보, 공지사항 전달
              다. 서비스 개선
                   - 신규 서비스 개발 및 특화
                   - 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및 광고 게재, 이벤트 등 정보 전달 및 참여 기회 제공
                   -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보유 기간제2조(개인정보의 처리 및 보유 기간)
              가. 처리기간 및 보유 기간: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
              나. 다만, 다음의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유 종료시 까지 정보를 보유 및 열람합니다.
                   ▶ 신청 중인 서비스가 완료 되지 않은 경우
                        - 보존 이유 : 진행 중인 서비스 완료(예:원문복사 등)
                        - 보존 기간 : 서비스 완료 시까지
                        - 열람 예정 시기 : 수시(RISS에서 신청된 서비스의 처리내역 및 진행상태 확인 요청 시)
                   ▶ 관련법령에 의한 정보보유 사유 및 기간
                        - 대금결제 및 재화 등의 공급에 관한 기록 :

              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소비자의 불만 또는 분쟁 처리에 관한 기록 :

              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접속에 관한 기록 :

              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
              처리 항목제3조(처리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가. 필수 항목 : ID, 이름,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보호자 성명(어린이회원), 보호자 이메일(어린이회원)
              나: 선택 항목 : 소속기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전화, 주소, 장애인 여부
              다. 자동수집항목 : IP주소, ID, 서비스 이용기록, 방문기록
              개인 정보제4조(개인정보파일 등록 현황)
              개인정보파일의 명칭 운영근거 / 처리목적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보유기간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필수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3년
              또는
              탈퇴시
              선택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제3자 제공제5조(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가. RISS는 원칙적으로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보주체의 사전 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단, 정보주체의 동의, 법률의 특별한 규정 등 개인정보 보호법 제17조 및 제18조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합니다.
              나. RISS는 원활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다음의 경우 정보주체의 동의를 얻어 필요 최소한의 범위로만
                   제공합니다.
                   - 복사/대출 배송 서비스를 위해서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제공합니다.
                        1. 개인정보 제공 대상 : 제공도서관, ㈜이니시스(선불결제 시)
                        2. 개인정보 제공 목적 : 복사/대출 서비스 제공
                        3. 개인정보 제공 항목 :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4.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신청건 발생일 후 5년
              ▶ 개인정보 제공에 동의하지 않을 권리가 있으며, 거부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이 불가합니다.
              처리 위탁제6조(개인정보 처리업무의 위탁)
              RISS는 원활한 개인정보 업무처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업무를 위탁하고 있습니다.
              가. 위탁하는 업무 내용 : 회원 개인정보 처리
              나. 수탁업체명 : ㈜퓨쳐누리
              RISS는 위탁계약 체결 시 「개인정보 보호법」 제26조에 따라 위탁업무 수행 목적 외 개인정보 처리금지, 안전성 확보조치, 재위탁 제한, 수탁자에 대한 관리·감독, 손해배상 등 책임에 관한 사항을 계약서 등 문서에 명시하고, 수탁자가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처리하는지를 감독하고 있습니다.
              위탁업무의 내용이나 수탁자가 변경될 경우에는 지체 없이 본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통하여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파기제7조(개인정보의 파기 절차 및 방법)
              가. 파기절차
                   - 개인정보의 파기 : 보유기간이 경과한 개인정보는 종료일로부터 지체 없이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처리 목적 달성, 해당 서비스의 폐지, 사업의 종료 등 그
                    개인정보파일이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개인정보의 처리가 불필요한 것으로 인정되는 날로부터
                    지체 없이 그 개인정보파일을 파기.
              나. 파기방법
                   - 전자적 형태의 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기술적 방법을 사용하여 파기.
                   - 종이에 출력된 개인정보는 분쇄기로 분쇄하거나 소각을 통하여 파기.
              정보주체의 권리의무제8조(정보주체와 법정대리인의 권리·의무 및 그 행사 방법)
              정보주체(만 14세 미만인 경우에는 법정대리인을 말함)는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가. 권리 행사 항목 및 방법
                   - 권리 행사 항목: 개인정보 열람 요구, 오류 정정 요구, 삭제 요구, 처리정지 요구
                   - 권리 행사 방법: 개인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고시 별지 제8호(대리인의 경우 제11호) 서식에 따라
                    작성 후 서면, 전자우편, 모사전송(FAX), 전화, 인터넷(홈페이지 고객센터) 제출
              나. 개인정보 열람 및 처리정지 요구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5조 제5항, 제37조 제2항에 의하여
                    정보주체의 권리가 제한 될 수 있음
              다. 개인정보의 정정 및 삭제 요구는 다른 법령에서 그 개인정보가 수집 대상으로 명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삭제를 요구할 수 없음
              라. RISS는 정보주체 권리에 따른 열람의 요구, 정정·삭제의 요구, 처리정지의 요구 시
                    열람 등 요구를 한 자가 본인이거나 정당한 대리인인지를 확인함.
              마. 정보주체의 권리행사 요구 거절 시 불복을 위한 이의제기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해당 부서에서 열람 등 요구에 대한 연기 또는 거절 시 요구 받은 날로부터 10일 이내에 정당한 사유
                      및 이의제기 방법 등을 통지
                   2) 해당 부서에서 정보주체의 이의제기 신청 및 접수(서면, 유선, 이메일 등)하여 개인정보보호 담당자가
                      내용 확인
                   3) 개인정보관리책임자가 처리결과에 대한 최종 검토
                   4) 해당부서에서 정보주체에게 처리결과 통보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1호] 개인정보 (열람, 정정·삭제, 처리정지) 요구서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2호] 위임장
              안전성확보조치제9조(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가. 내부관리계획의 수립 및 시행 : RISS의 내부관리계획 수립 및 시행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을 준수하여 시행.
              나. 개인정보 취급 담당자의 최소화 및 교육
                   -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분야별 담당자를 지정․운영
                   -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에 따른 교육 실시
              다.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 제한
                   -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데이터베이스시스템에 대한 접근권한의 부여, 변경, 말소를 통하여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통제 실시
                   - 침입차단시스템, ID/패스워드 및 공인인증서 확인을 통한 접근 통제 등 보안시스템 운영
              라. 접속기록의 보관 및 위변조 방지
                   - 개인정보처리시스템에 접속한 기록(웹 로그, 요약정보 등)을 2년 이상 보관, 관리
                   - 접속 기록이 위변조 및 도난, 분실되지 않도록 보안기능을 사용
              마. 개인정보의 암호화 : 이용자의 개인정보는 암호화 되어 저장 및 관리
              바. 해킹 등에 대비한 기술적 대책
                   - 보안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주기적인 갱신·점검 실시
                   - 외부로부터 접근이 통제된 구역에 시스템을 설치하고 기술적/물리적으로 감시 및 차단
              사. 비인가자에 대한 출입 통제
                   - 개인정보를 보관하고 있는 개인정보시스템의 물리적 보관 장소를 별도 설치․운영
                   - 물리적 보관장소에 대한 출입통제, CCTV 설치․운영 절차를 수립, 운영
              자동화 수집제10조(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
              가. 정보주체의 이용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불러오는 ‘쿠키(cookie)’를 사용합니다.
              나. 쿠키는 웹사이트를 운영하는데 이용되는 서버(http)가 이용자의 컴퓨터브라우저에게 보내는 소량의
                   정보이며 이동자들의 PC 컴퓨터내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되기도 합니다.
                   1) 쿠키의 사용목적 : 이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서비스 제공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2) 쿠키의 설치·운영 및 거부 : 브라우저 옵션 설정을 통해 쿠키 허용, 쿠키 차단 등의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 Internet Explorer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도구 메뉴 > 인터넷 옵션 > 개인정보 > 설정 > 고급
                        - Edg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쿠키 및 사이트 권한 > 쿠키 및 사이트 데이터
                           관리 및 삭제
                        - Chrom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 쿠키 및 기타 사이트
                           데이터
                   3) 쿠키 저장을 거부 또는 차단할 경우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보호책임자제11조(개인정보 보호책임자)
              가. RISS는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업무를 총괄해서 책임지고, 개인정보 처리와 관련한 정보주체의
                   불만처리 및 피해구제 등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구분 담당자 연락처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학술진흥부 길원진

              나. 정보주체는 RISS의 서비스(또는 사업)을 이용하시면서 발생한 모든 개인정보 보호 관련 문의, 불만처리,
                   피해구제 등에 관한 사항을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담당부서로 문의 할 수 있습니다.
                   RISS는 정보주체의 문의에 대해 답변 및 처리해드릴 것입니다.
              열람 청구제12조(개인정보의 열람청구를 접수·처리하는 부서)
              가. 자체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부서명 : 대학학술본부/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전화번호 : 053-714-0149
                   팩스번호 : 053-714-0194
              나.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 개인정보보호 포털 웹사이트(www.privacy.go.kr)
                   - 개인정보보호 포털 → 민원마당 → 개인정보 열람 등 요구(본인확인을 위한
                     휴대전화·아이핀(I-PIN) 등이 있어야 함)
              권익침해 구제제13조(정보주체의 권익침해에 대한 구제방법)
              ‣ 정보주체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
                 침해의 신고,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가.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 (국번없이) 1833-6972(www.kopico.go.kr)
                 나.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 (국번없이) 118(privacy.kisa.or.kr)
                 다. 대검찰청 :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라. 경찰청 : (국번없이) 182 (ecrm.cyber.go.kr)

              ‣RISS는 정보주체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보장하고,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상담 및 피해 구제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신고나 상담이 필요한 경우 아래의 담당부서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 개인정보 관련 고객 상담 및 신고
                    부서명 : 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연락처 : ☎053-714-0149 / (Mail) giltizen@keris.or.kr / (Fax) 053-714-0194
              ‣「개인정보 보호법」제35조(개인정보의 열람), 제36조(개인정보의 정정·삭제), 제37조(개인정보의
                 처리정지 등)의 규정에 의한 요구에 대하여 공공기관의 장이 행한 처분 또는 부작위로 인하여 권리
                 또는 이익의 침해를 받은 자는 행정심판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행정심판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 행정심판에 대해 자세한 사항은 중앙행정심판위원회(www.simpan.go.kr) 홈페이지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처리방침 변경제14조(추가적인 이용ㆍ제공 판단기준)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15조제3항 및 제17조제4항에 따라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제14조의2에 따른 사항을 고려하여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RISS는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하는 경우, 본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해 아래와 같은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위한 고려사항에 대한 판단기준을 안내드리겠습니다.
                   ▶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하려는 목적이 당초 수집 목적과 관련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를 수집한 정황 또는 처리 관행에 비추어 볼 때 추가적인 이용 · 제공에 대한 예측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의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이 정보주체의 이익을 부당하게 침해하는지 여부
                   ▶ 가명처리 또는 암호화 등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였는지 여부
              처리방침 변경제15조(개인정보 처리방침의 변경)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30조에 따라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변경하는 경우 정보주체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변경이력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2023. 1. 31. 부터 적용됩니다.
              ‣ 이전의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상단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

              인증오류 안내

              닫기

              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