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國 大學 實用音樂敎育制度의 發展過程에 관한 硏究
저자
발행사항
서울 :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0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2010. 8
발행연도
2010
작성언어
한국어
DDC
370 판사항(22)
발행국(도시)
서울
기타서명
(A) research on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applied music education system in Korean colleges and universities
형태사항
v, 175 p. : 삽도 ; 26 cm.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박헌.
참고문헌: p. 164-172.
DOI식별코드
소장기관
It has been almost 20 years since the education of popular music-also known as the term 'applied music' in korean universities was first established in 1988 and currently 42 junior colleges, 30 universities and 20 graduate departments operate applied music education. However, there have rarely been researches on the backgrounds, transitions or developmental process which expands toward graduate programs. Applied music education system can be referred as institutional aspects such as related regulations, departments, majors, educational contents, studying periods, objects and selection methods. This research focuses on 3 classified stages : (1) the beginning period, (2) the settling period, (3) the growing and developing period for the purpose of studying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applied music education system for colleges, universities and graduate programs.
The beginning period can be widely ranged from the korean liberation to the year of 1988 when applied music education first started and Kyo-Sook Lee and Pan-Keun Lee had an important role on the spread of applied music theory. Sung-Jo Jeong who had learned Applied Music theory and composition from Kyo-Sook Lee studied abroad at Berklee College of Music. In 1988, as the start of the settling period, Sung-Jo Jeong started to operate 2-year applied music program as a 2nd shift of traditional korean music department in Seoul Institute of the Arts with his colleagues like Ok-Yoon Gil, Chang-Kwon Choi, Dong-Sung Kim. Next generation musicians like Choong-Wan Han, Ho-Joon Park, Kwang-Min Kim, Won-Young Jeong, Sang-Won Han, all of whom had taken applied music theory lessons from Pan-Keun Lee and studied abroad at Berklee College of Music, resettled applied music education as jazz concentration.
In 1997, visual music department was established in Hanseo university which educate both classical and applied music and music department of Daegu Arts University opened applied music major(quota of 10 students), which was the start of applied music education in universities. In 2000, applied music education in graduate departments began as Dongduk Women's University and Ewha Women's University eastablished graduate programs.
Growing and developing period can be set from 2000 by present, which categorizes the following 3 shapes : (1) applied music department was newly established at the start or renamed afterwards (2) applied music major was opened as one of inner music majors at music department (3) applied music major as one of inner majors of the department expanded and ended up being developed to the independent applied music department. meanwhile, more classical music departments tend to include applied music related classes in their curriculums.
The problems due from quantitative expansion of applied music education system can be recognized as the problems of (1) educational facilities (2) educational contents (3) professors and instructors (4) students.
Improvement plans can be suggested as : firstly, increasing the investment on the facilities by financial independence of the department, secondly, developing and opening various classes needed for music related industry, thirdly, including pedagogy in the curriculum and putting more emphasis on career backgrounds rather than educational backgrounds in recruiting human resources, fourthly, steady career counseling and education management in addition to setting up earlier applied music education in high schools.
Meanwhile, separation of jazz studies as an independent major was suggested with formational expansion to 'the faculty of applied music' or 'the college of applied music' and expansion of dual major system and reeducation programs was also suggested for revitalization of future applied music education system.
1988년, 대학에 최초로 실용음악과가 생긴지 20여년이 지난 현재는 42개의 2·3년제 대학과 30개의 4년제 대학, 20개의 대학원에서 실용음악교육이 진행되고 있지만, 대학에서 실용음악교육제도가 시작된 배경이나 실용음악교육제도의 변천에 대한 연구, 대학원과정으로 확대되어 가고 있는 실용음악교육제도의 발달과정에 관한 연구는 전혀 없었다. 실용음악교육제도란 대학에서 실용음악교육이 실시되는 요건의 제도적 측면 즉 관련법규, 학과, 전공, 교육내용, 수학연한, 대상, 선발방법 등을 말하는데, 이 연구에서는 ⑴ 태동기, ⑵ 정착기, ⑶ 성장·발전기의 3단계로 시기를 구분하여 각 시기별로 2년제 대학과 4년제 대학, 그리고 대학원과정에서의 실용음악교육제도의 시작과 발달과정을 연구하였다.
태동기는 해방 이후부터 대학 실용음악교육이 시작되는 1988년까지의 시기로, 이교숙과 이판근은 실용음악이론 보급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이 시기에 이교숙에게 실용음악이론과 작곡을 배운 정성조는 미국 버클리음악대학(Berklee College of Music)으로 유학을 다녀왔다. 정착기에 들어선 1988년에 정성조는 길옥윤, 최창권, 김동성 등과 함께 서울예술대학 국악과 2부에 개설된 실용음악전공에서 2년제 대학의 실용음악교육을 시작하였다. 이판근에게 음악이론을 배우고 정성조의 뒤를 이어 버클리음악대학에 유학을 다녀온 한충완, 박호준, 김광민, 정원영, 한상원 등의 젊은 음악인들로 실용음악교육은 확실하게 재즈중심으로 자리를 잡았다. 1997년, 한서대학교에 클래식음악과 실용음악을 함께 교육하는 영상음악과가 신설되고 대구예술대학교 음악과에 실용음악전공(정원10명)이 개설되면서 4년제 대학에서 실용음악교육제도가 시작되었고, 2000년에 동덕여자대학교 공연예술대학원 실용음악전공과정과 이화여자대학교 실용음악대학원이 신설되면서 대학원과정에서도 실용음악교육제도가 시작되었다.
성장·발전기는 2000년부터 현재까지의 시기로, 각 대학 실용음악과의 현황을 조사하여 ⑴ 학과가 신설되거나 명칭을 실용음악계열로 바꾼 경우, ⑵ 음악과 등의 내부전공으로 실용음악전공을 개설하여 실용음악교육을 진행하는 경우, ⑶ 학과의 내부전공으로 시작하였으나 점점 확대되어 실용음악학과로 발전한 경우 등의 세 가지 패턴으로 2년제 대학과 4년제 대학, 그리고 대학원과정에서의 실용음악과의 현황을 각각 구분하였다. 한편 실용음악관련 학과목을 교과과정에 포함하여 실용음악교육을 진행하는 클래식음악과도 늘어나고 있다.
양적으로 팽창한 실용음악교육제도에서 나타난 문제점을 ⑴ 교육시설의 문제, ⑵ 교육내용의 문제, ⑶ 교․강사의 문제, ⑷ 학생의 문제 등으로 파악하였다.
문제점에 대해 첫째, 실용음악과의 재정자립도를 높여 시설투자를 늘린다, 둘째, 음악관련 산업에 필요한 다양한 교과목을 개발하여 개설한다, 셋째, 교육과정에서 교수법 교육이 필요하고, 대학의 교수 임용조건에서 학력보다 현장경력을 중요시하여 교육을 담당할 인적자원을 확보해야 한다, 넷째, 꾸준한 진로상담과 학사관리를 하고, 고등학교과정에서의 실용음악교육을 시행해야 한다 등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한편, 미래의 실용음악교육제도 활성화를 위하여 연구자는 실용음악학부 또는 실용음악대학으로의 편제확대와 함께, 재즈음악전공을 학과로 독립시킬 것을 제안하였고, 복수전공제도의 활성화와 졸업생을 위한 재교육 프로그램 등을 함께 제안하였다.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