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군복무 학점인정제도 도입에 대한 헌법적 검토- 군복무자 지원제도의 요건에 대하여 - = A Constitutional Review on the Introduction of theCredits Recognition System of Military Service - Regarding the requirements of the military service support system -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8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51-189(39쪽)
KCI 피인용횟수
0
DOI식별코드
제공처
소장기관
Recently, there was a media report that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signed an agreement with some universities to recognize the military service period as credits. The credits recognition of military service comes from the necessity of rewarding many soldiers for their disruption in school, as they take a break from university and are conscripted into the military. However, it has been controversies because the additional points system of the military service, which was abolished by the Constitutional Court’s decision in 1999, has similar characteristics and conflicts. In this paper, it was judged on how the additional points system of military service is the same and different from the credits recognition system of military service and whether the credits recognition of military service is appropriate as a support system for military service.
The credits recognition of military service is not unconstitutional. Because it is not a direct enforcement to universities because it is carried out by the voluntary participation of the universities and it does not deprive women and disabled people of opportunity as in the case of the additional points system for the military service. However, it may be a bit problematic in that the government’s responsibility to prepare the system to ensure fairness of its military duty is indirectly handing over into universities. And It is considered to be ineffective because the number of soldiers who can benefit from the system is too small and the level of benefits is small.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their disruption in school, I think it is essential to provide conditions for continuing to study during the military service rather than recognizing the military service itself as credits. There is already a system called e-learning system (the Cyber lecture of university) that can continue studying in the military. Therefore, universities, governments and the military should work together to enable the e-learning system.
최근 국방부가 일부 대학들과 군복무 기간을 학점으로 인정하기 위한 협약을 체결하였다는 언론보도가 있었다. 군복무 학점인정제는 많은 군인들이 대학을 휴학하고 입대하는 현실에서 그들의 학업단절에 대한 보상 취지에서 필요성이 제기된 것이다. 그러나 1999년 헌법재판소의 위헌결정으로 폐지된 군가산점제와 제도의 성격, 갈등 양상 등이 유사하다는 점에서 논란이 되어 왔다. 본 논문에서는 군복무 학점인정제가 군가산점제와 어떤 점에서 같고 어떤 점에서 다른지, 군복무 학점인정제가 군복무자 지원제도로서 적합한지를 판단하였다.
군복무 학점인정제는 대학의 자율적인 참여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대학에 대한 직접적인 강제가 아니고, 군가산점제의 경우처럼 군복무자에 대한 혜택이 여성 및 장애인의 기회를 박탈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위헌의 소지는 없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국방 의무의 형평성 확보를 위해 제도를 마련해야 할 국가의 책임을 간접적으로 대학에 떠넘기고 있다는 점에서 다소 문제가 될 수 있고, 군복무자 지원제도라고 하기에는 혜택을 받을 수 있는 군복무자의 범위가 너무 적고, 혜택의 정도도 미미하다는 점에서 실효성은 없는 제도라고 판단된다.
군복무자들이 겪는 학업단절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군복무 자체를 학점으로 인정하는 것보다 군복무 중 학업을 계속할 수 있도록 여건을 마련하는 것이 본질적인 해결책이라고 생각한다. 이미 군복무에 따른 학업단절문제를 해소하고 군대에서 학업을 계속할 수 있도록 e-러닝 시스템(대학원격강좌)이라는 제도가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e-러닝 시스템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대학과 정부, 그리고 군대가 함께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6-25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 Law Review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42 | 1.42 | 1.1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14 | 1.05 | 1.166 | 0.89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