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征東行省 개조 시도와 14세기 몽골(원)-고려 관계 - 增置에서 立省으로 -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ongol and Goryeo in the 14th Century from the Transformation of Zhengdong Province(征東行省)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65-204(40쪽)
제공처
본고는 고려에 설치된 정동행성을 둘러싸고 14세기에 지속적으로 제기된 소위 ‘입성론’, ‘입성책동’에 대한 분석을 통해 정동행성과 고려왕권의 관계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시도하였다.
1278년 충렬왕은 쿠빌라이에게 전쟁을 도울 것임을 약속하고 이후 적극적으로 참여함으로써 정동행성의 지휘부에서 재상의 지위를 획득하여 몽골인 재상과 ‘共事’하는 형태로 권한을 확보하였다. 1287년 장기화되는 전쟁에 불만을 품은 동도제왕 나얀의 난을 계기로 충렬왕은 정동행성의 유일한 재상이 되었다. 그러나 쿠빌라이의 사후 변화된 대외 환경과 고려 내부의 부마들 간의 갈등을 계기로 그 지위는 동요되기 시작했다.
정동행성 개조 시도는 형식상으로 增置, 合省(合倂), 立省의 3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增置는 몽골 조정에서 정동행성의 장관(평장정사)을 파견하여 고려국왕의 독점적 지위를 박탈하고 고려의 내정에 직접적으로 간여하는 것이다. 이 조치는 대칸의 승낙과 결단이 필요한 점에서 강력하고 위협적이었다. 2차례 增置 사태는 모두 부마들 간의 정쟁으로 초래되었고 활리길사의 활동에서 볼 수 있듯이 정치적 파급력도 컸다. 1차 증치 사태가 수습된 직후 1302년 요양행성의 홍중희는 정동행성과 요양행성을 합쳐서 하나의 행성으로 만들고 치소를 동경에 둘 것을 제기했다(합병/합성). 정동행성은 고려의 강역에 설치된 것이기에 합병이라는 방식으로 정동행성을 폐치함으로써 국왕이 가지는 省權을 박탈하여 고려를 무장해제 시키려는 시도였다.
1307년 무렵 정동행성과 고려왕권이 긴밀하게 결합됨에 따라(‘國王丞相’) 정동행성을 폐치하고 제국 내지와 같은 행성을 설치하자는 주장(立省)은 자동적으로 고려왕조의 멸절(‘削國號’)을 의미하게 되었다. 그런데 立省 제기 목적은 제안자와 시기에 따라 변화가 생겼다. 충선왕 복위 초 홍중희가 ‘立省’을 제안한 것은 고려왕조를 멸절시키기 위한 목적이었다. 홍중희를 제외하면 이후의 입성 주장은 고려왕권, 고려국왕을 공격하기 위한 수단으로 변모되었다. 1323년 부마 왕고를 국왕으로 세우려던 자들은 자신들의 시도가 실패하자 충숙왕에게 정치적 보복이나 처벌을 받게 될 것이 두려워 2차례나 입성을 주장하였다. 1343년 기철 등은 충혜왕이 ‘貪淫無道’하다며 立省을 제기하고 이후 국왕을 체포하였다. 요컨대, ‘立省’은 왕위를 노리거나 뺏긴 정치 세력이나 국왕을 공격하는 자들의 정치적 수단이나 구호로 변모하였다.
정동행성은 고려의 강역에 설치되었기에 반드시 ‘征東’이라는 冠을 유지해야 했고, 고려왕권과 결합되었기에 제국 내지와 같은 행성이 되어서도 안되었다. 정동행성 개조를 둘러싼 갈등은 본질적으로 고려왕권과 정동행성의 관계를 적나라하게 보여주는 것이다. 종래 ‘원의 간섭’의 상징으로 이해되어 온 정동행성은 실상 고려왕권의 보호장치였고, 왕권과 긴밀하게 결합한 고려왕권의 일부였다.
This paper analyzes the transformation attempts of Zhengdong Province(征東行省), studies the nature of Zhengdong Province and its relationship with the royal power of Goryeo.
Attempt to reform the Zhengdong Province can be divided into three forms: Sending additional prime minister(平章政事) appointed by the emperor (‘增置’), combining Zhengdong Province and Liaoyang Province into a single Pronvince(合省/合倂) and installing a new province(‘立省’). The appearance of these three forms reflects the chang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Zhengdong Province and the Goryeokingship.
Among the three forms, the most threatening is ‘增置’. This is because the Mongolian emperor’s approval was required to send a new prime minister to the Zhengdong Province, and directly influenced the King’s rule over Goryeo. Moreover it was all because of the political struggles of the sons-in-law of the emperor in Goryeo, so the political influence was considerable.
‘合省/合倂’ was raised once by Hong Joong-hee of the Liaoyang Pronvince in 1302, whose purpose was to abolish the Zhengdong Province to disarm the Goryeo Dynasty and intervene in the Goryeo political situation as before 1278. However, his attempt was unsuccessful in the end.
Around 1307, Zhengdong Province was closely combined with the royal power of Goryeo, thus the abolition of Zhengdong Province and the installment of a new Province meant the demise of Goryeo Dynasty. ‘立省’, contrary to its meaning, is not threatening. It was used as a political means for personal safety if the son-in-law’s aides failed to compete for the Goryeo throne or committed crimes against the king. At this stage, the attempt to installation the new Province was aimed at attacking the Goryeo Kingship, not at abolishing the Zhengdong Province. Thus, the word ‘立省’ became the epitome of political attack on the Goryeo Dynasty.
The reason why all of the above attempts have failed is that the Goryeo king’s status as a minister of the Zhengdong Province was acquired as a result of King Chungryul’s help with Kubilai’s war. As the military administration of Yüan China, Zhengdong Province has been understood as a symbol of Mongol yüan’s political intervention in Goryeo for a long time, but it was actually a protective device for the Goryeo and was part of the Goryeo Kingship.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