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원의 비교불교연구의 비교연구: 루만을 경유하여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주제어
KDC
220
등재정보
미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28(28쪽)
제공처
이 논문의 목적은 심원의 비교불교연구가 갖는 장점과 한계를 드러내는 데 있다. 여기에서 심원의 비교불교연구란 「하이데거와 마음의 철학」(김형효, 2000b), 「하이데거와 화엄의 사유」(김형효, 2002), 「원효의 대승철학」(김형효, 2006), 「마음혁명」(김형효, 2007) 등을 의미하는데, 전자의 두 저서는 하이데거의 전기와 후기를 매개로 불교의 마음의 철학과 화엄의 사유를 통합적으로 이해하고자 한 것이고, 후자의 두 저서는 원효를 매개로 대승철학과 마음혁명의 연결을 시도한 것이다. 이에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심원의 시도를 루만의 체계이론에 비춰봄으로써 그 장점과 한계를 드러내고자하였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심원은 마음(불성 혹은 원효의 일심 및 일심지원)에 근거하여 양가성의 공존이란 역설을 탈역설화함으로써 동양적 연결의 사유를 설명하는데 성공하였다. 반면에 루만은 사회적 세계의 작동으로부터 인간을 철저하게 걸러내어 환경에 위치시켰을 뿐만 아니라, 불교의 마음 개념을 충분히 이해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대신 루만은 자신의 고유한 체계이론을 창안하여 구별 작동과 그로 인한 역설에만 근거하여 동일성의 역설을 처리하는데 성공함으로써 구별의 사유를 일반이론으로 구체화하는데 성공하였다. 이렇게 볼 때, 심원의 비교불교학과 루만의 체계이론 사이의 차이는 명백하다. 그 둘은 한편으로는 각자 자신의 고유한 맹점을 내포하고 있지만, 동시에 서로 상대방의 결여 부분을 보충할 수 있는 잠재력을 내포하고 있다. 그러나 혹은 바로 그러한 차이점 때문에 그 둘은 또 다른 차원의 생산적 만남을 낳을 수도 있다.
더보기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reveal the advantages and limitations of Simwon(心遠 金炯孝)'s comparative Buddhist research. Simwon's comparative Buddhist research refers to 「Heidegger and the Philosophy of the Mind」 (Kim Hyung-hyo, 2000b), 「Heidegger and the Thought of Hwaeom」 (Kim Hyung-hyo, 2002), 「Wonhyo's Mahayana Philosophy」 (Kim Hyung-hyo, 2006), and 「Mind Revolution」 (Kim Hyung-hyo, 2007). The former two books attempted to understand the Buddhist Mind's Philosophy and the Thought of Hwaeom in an integrated manner as if an integrated understanding about Heidegger's early and late period studies, and the latter two books attempted to connect the Mahayana Philosophy and the Mind Revolution through Wonhyo. Therefore, this paper attempted to reveal Simwon's strengths and limitations by reflecting these attempts on Luhmann's system theory,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Simwon successfully explained the reason for the oriental connection by debunking the paradox of the coexistence of ambivalence based on the mind (one heart and one heart support of Buddha-nature or Wonhyo). On the other hand, Luhmann not only thoroughly filtered humans out of the workings of the social world and placed them in the environment, but also did not seem to fully understand the Buddhist concept of mind. Instead, Luhmann successfully developed his own system theory and successfully handled the paradox of identity based solely on the operation of distinction and the resulting paradox, thereby concreting the idea of distinction into a general theory. From this point of view, the distinction between Simwon's comparative Buddhist studies and Luhmann's system theory is obvious. On the one hand, each of them has its own blind spots, but at the same time, they have the potential to make up for each other's shortcomings. However, because of those differences, the two could lead to another level of productive encounters.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