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1950년대 북한과 북베트남의 관계와 문화 교류 = 1956년 조선 문화 대표단의 활동과 관련하여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3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87-222(36쪽)
제공처
본고는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과 베트남민주공화국(북베트남)의 양국 관계가 발전하게 된 배경과 과정에서 문화 교류가 담당했던 역할을 1956년 말 평양에서 하노이(Ha N?i)로 파견된 조선 문화 대표단의 활동과 관련하여 고찰해 보고자 한다.
1950년부터 형성된 북한과 북베트남의 관계는 한국전쟁과 공식적인 외교관계 확립을 계기로 공고해지게 되었고, 이러한 과정을 통해 점차 깊어지게 된 양국의 유대감은 북한이 북베트남으로 대표단과 예술단을 파견하는 양상으로 표출되었다. 특히, 이 시기에 등장하기 시작한 문화 교류는 1956년 공산 국가들 간의 공조 분위기에서 보다 다채로운 형태로 전개되어 나갔다. 이러한 상황에서, 더욱 긴밀해진 북한과 북베트남의 유대 관계는 1956년 말 조선 문화 대표단의 북베트남 방문과 현지에서 다양한 문화 교류 활동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공식적인 혹은 비공식적인 루트를 통해 현지 체험과 정보를 축적한 송영은 ‘감성적인’ ‘流路’와 ‘思問’을 거치며 북베트남 사회를 보다 깊게 이해하거나 현지 문화의 특수성을 통해 자국의 문제점을 ‘이성적으로’ 발견하고 그에 대한 대안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후 북한과 북베트남의 문화 교류와 협력은 다방면으로 더욱 확대되어 나갔고, 이어서 1957년 7월 호 찌 민의 북한 방문과 1958년 11월 김일성의 북베트남 방문으로까지 이어졌다. 1956년에 북베트남으로 파견된 조선 문화 대표단의 활동은 1950년대 말 북한과 북베트남의 긴밀한 관계 형성에 기여했음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discuss the development of the relations between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North Korea) and the Democratic Republic of Vietnam (North Vietnam) after the Second World War, focusing on the role of ‘the Cultural Delegation of North Korea’ sent to North Vietnam in the late 1956.
The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North Korea and North Vietnam started to be established since 1950. Moreover, the collaboration that the two countries began during the Korean War was an enormous step forward in the evolution of their foreign policy cooperation. After the Korean War, coming into close relation with North Vietnam, North Korea sent some delegations to the country in order to form a strategic partnership.
It is under these circumstances that Communist bloc countries decided to strengthen their mutual cooperation in the field of joint interest, especially from 1956. As a result, ‘the Cultural Delegation of North Korea’, that was dispatched to North Vietnam in the late 1956, contributed to place Pyeong Yang ? Ha N?i ties on a firm footing. It is also remarkable that the image of North Vietnam made some impressions on Song Yeong, the leader of the delegation at that time. In some respects, the perception of North Vietnam helped him to keep a critical mind toward the intellectual group of North Korea. Later, this kind of international exchange activities contributed to the harmonious cooperation between the two countries.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