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을 찾고 계세요?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 몽골학의 현재와 미래 = The Present and Future of Korean Mongolian Studies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URL 복사
    • 오류접수

    When an organization begins to form, the corresponding people and countries are created accordingly. Our ancestors, who are located in the east of Eurasia, have been protecting and cultivating their language, history, and culture with the national identity of the Korean people for long time. On the other hand, in the northwest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central part of the Eurasian continent, the Mongols based on nomadic life have established their own culture and interacted with the surrounding people and countries. Geographically adjacent Koreans and Mongolians were inevitably in contact and had to know each other for mutual benefit.
    An area studies is the study to know the other person, and Mongolian studies fall into that category. As Korea has long been neighboring and interacting with Mongolia, it has a high understanding of Mongolia, and several uncomfortable relations have raised interest in Mongolia. Specifically, even after 100 years of Mongolian interference at the end of the Goryeo Dynasty, Joseon Dynasty still learned Mongolian in consideration of its relations with Mongolia, and this tradition continued until 1894 when the ministry of foreign was abolished.
    The tradition of Korean Mongolian studies, which was cut off for 100 years due to foreign power and ideology, was restored in 1990 when the Republic of Korea established diplomatic ties with Mongolia, and Korean Mongolian studies returned to previous direct research. Korean Mongolian studies, which have missed the time to lay the foundation for modern academic research, have filled the gap through explosive interest and research over the past 30 years, and at the center were the “Korean Association for Mongolian Studies” and a number of research institutes.
    Korean Mongolian studies have continued to make efforts to restore the tradition that has been cut off, and have achieved considerable results. However, Korean Mongolian studies are still lacking in many areas, especially in basic research. In order to expand the base of Mongolian studies in Korea, more Mongolian original text should be translated and high-level annotations should also be made.
    A long tradition of Korean Mongolian studies and frequent contact with Mongolia, there are Mongolian-related materials in Korea and have been treated as a central research material for Korean Mongolian studies. In recent years, through joint research with Mongolia, we have also been collecting data that we have investigated in Mongolia. However, we should consider the fact that we are not fully utilizing hard-earned data or materials we have.
    Mongolian studies are no exception at this time when convergence is a major academic trend. Only joint research in various fields is a shortcut to understanding Mongolia correctly. In addition, joint research with local institutions and scholars in Mongolia is essential, and exchanges and joint research with Mongolian scholars from various countries around the world will also serve as an opportunity to develop Korean Mongolian studies.

    더보기

    민족이나 국가란 조직이 형성되기 시작하면 그에 상응하여 민족과 국가도 만들어진다. 유라시아 대륙의 동쪽에 자리 잡은 우리 조상들은 꽤 오랜 시간 한민족이란 민족 정체성을 가지고 자신들의 언어와 역사, 문화를 지키고 가꾸어 왔다. 반면 한반도의 북서부와 유라시아 대륙의 중앙부에는 유목 생활을 기반으로 하는 몽골족이 독자적인 문화를 구축하고 주변의 민족이나 국가와 교류하여왔다. 지리적으로 인접한 한민족과 몽골족은 필연적으로 접촉할 수밖에 없었고 상호 간의 이익을 위하여 상대방을 알아야만 했다.
    지역학은 상대방을 알기 위한 학문이고 몽골학도 그 범주에 속한다. 한국은 몽골과 오랫동안 이웃하면서 교류하여왔기 때문에 몽골에 대한 이해도가 높으며 몇 차례의 불편한 관계는 더욱 몽골에 대한 관심도를 높였다. 구체적으로 고려말 100년간의 몽골 간섭기 이후에도 조선에서는 몽골과의 관계를 고려하여 여전히 몽골어를 학습하였고 이 전통은 1894년 사역원이 폐지될 때까지 이어졌다.
    외세와 이념으로 100년간 끊어진 한국 몽골학의 전통은 1990년 대한민국이 몽골과 수교함으로써 다시 복원되었고 한국의 몽골학은 이전의 직접적 연구로 돌아갔다. 근대적인 학문연구의 기초를 다지는 시기를 놓쳐버린 한국 몽골학은 지난 30년간 폭발적인 관심과 연구를 통하여 공백을 메꾸어왔으며 그 중심에는 <한국몽골학회>와 다수의 연구기관이 있었다.
    한국 몽골학은 그동안 단절된 전통을 복원하기 위하여 끊임없는 노력을 해 왔으며 상당한 성과를 거두었다. 그러나 아직 한국 몽골학은 여러 분야에서 부족한 점이 많으며 특히 기초연구에서 미진한 점이 많다. 국내 몽골학의 저변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몽골 원전들이 번역되어야 하고 높은 수준의 주석서도 나와야 한다.
    한국 몽골학의 오랜 전통과 몽골과의 빈번한 접촉으로 국내에는 몽골 관련 자료들이 있으며 한국 몽골학의 중심 연구 자료로 다루어져 왔다. 그리고 최근에는 몽골과의 공동연구를 통하여 몽골 현지에서 조사한 자료들도 확보해 나가고 있다. 그러나 어렵게 확보한 자료나 가지고 있는 자료들을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점은 고민해보아야 한다.
    융복합이 학문의 대세인 지금 몽골학도 예외일 수는 없다. 다양한 분야의 공동연구만이 몽골을 올바르게 이해하는 지름길이다. 또 몽골 현지의 기관이나 학자들과의 공동연구는 필수적이며 세계 여러 나라의 몽골학자들과의 교류와 공동연구도 한국 몽골학을 발전시키는 계기가 될 것이다.

    더보기
    • 1 藤本幸夫, "龍龕手鏡(鑑) 硏究" 麗澤大學出版會 2015
    • 2 한몽학술조사연구협회, "한 몽공동학술조사-동몽골 1차년도 보고서" 1992
    • 3 김호동, "칸의 후예들" 사계절출판사 2005
    • 4 김호동, "칭기스칸기" 사계절출판사 2003
    • 5 나른츠츠끄, "체제전환국의 외국인 직접투자 결정요인 분석-몽골과 중앙아시아 5개국을 중심으로-" 단국대 대학원 2016
    • 6 고마츠 히사오, "중앙유라시아의 역사" 소나무 2005
    • 7 류병재, "중국 거란 대자 관련 현지답사 보고서" 단국대 북방문화연구소 7 : 341-368, 2016
    • 8 김동전, "조선후기 제주거주 몽골 후손들의 사회적 지위와 변화 -호적중초에 보이는 본관명 大元 가문의 사례분석-" 역사문화학회 13 (13): 301-328, 2010
    • 9 한국알타이학회, "절멸 위기의 알타이언어 현지 조사-한국어 계통 연구와 알타이언어 보존을 위하여-" 태학사 2006
    • 10 김호동, "일칸들의 역사" 사계절출판사 2018
    • 11 게,이.람스테트, "일곱 차례 동반 여행" 민음사 1983
    • 12 르네 그루쎄, "유라시아 유목제국사" 사계절 1998
    • 13 이성규, "위만 조선의 왕족 인명 연구" 고조선단군학회 27 (27): 275-304, 2012
    • 14 정재훈, "위구르 유목제국사(744-840)" 문학과지성사 2005
    • 15 이성규, "움직이는 국가, 거란 : 거란의 통치전략 연구" 동북아역사재단 123-165, 2020
    • 16 니콜라이 체데노비치 비트케예프, "영웅을 기다리는유목민의 노래 장가르 2" 서울대학교 출판부 2016
    • 17 니콜라이 체데노비치 비트케예프, "영웅을 기다리는 유목민의 노래 장가르 3" 서울대학교 출판부 2018
    • 18 니콜라이 체데노비치 비트케예프, "영웅을 기다리는 유목민의 노래 장가르 1" 한길사 2011
    • 19 김장구, "역주 몽골 황금사" 동북아역사재단 2014
    • 20 한국알타이학회, "알타이 언어들을 찾아서" 태학사 1999
    • 21 피터 홉커크, "실크로드의 악마들" 사계절출판사 2000
    • 22 오강원, "시베리아 유목부족의 관습법" 서경문화사 1994
    • 23 게 아요르잔, "샤먼의 전설" 자음과모음 2012
    • 24 조소원, "사부의전 중 근본의전 주석 연구" 단국대 대학원 2017
    • 25 김주원, "사라져 가는 알타이언어를 찾아서" 태학사 2006
    • 26 김호동, "부족지" 사계절출판사 2002
    • 27 일리야 N. 마다손, "바이칼의 게세르 신화: 샤먼을 통해 만난 신들의 세계" 솔 2008
    • 28 단국대 몽골연구소, "몽골지역연구" 단국대학교 출판부 2018
    • 29 이주엽, "몽골제국의 후예들" 도서출판 책과 함께 2020
    • 30 윤은숙, "몽골제국의 만주 지배사-옷치긴 왕가의 만주 경영과 이성계의 조선 건국-" 소나무 2010
    • 31 이평래, "몽골의 종교" 소나무 2003
    • 32 강톨가, "몽골의 역사" 동북아역사재단 2009
    • 33 체렌소드놈.데, "몽골의 설화" 문학과지성사 2007
    • 34 서병국, "몽골의 관습과 법" 혜안 1996
    • 35 테.남질, "몽골의 가정 예절과 전통" 민속원 2007
    • 36 김방한, "몽골어 연구" 서울대학교 출판부 80-156, 1999
    • 37 박원길, "몽골비사의 종합적 연구" 민속원 2006
    • 38 뽀뻬, 니콜라스, "몽골문어문법" 민음사 1980
    • 39 단국대 몽골연구소, "몽골과 한국-미래지향적 관계 발전방안" 단국대학교 출판부 2012
    • 40 국립중앙박물관 고고부, "몽골 흉노 무덤 자료집성" 도서출판 성림 2008
    • 41 이스.돌람, "몽골 현대시선집" 문학과지성사 2003
    • 42 김호동, "몽골 제국 기행: 마르코 폴로의 선구자들" 까치글방 2015
    • 43 오윤게렐, "몽골 인민당의 정치적 위상 유지에 관한 연구" 단국대 대학원 2018
    • 44 李平來, "몽골 외무부 소장 1920년대 한국 관련 자료" 중앙아시아학회 8 : 3-73, 2003
    • 45 박원길, "몽골 석인상의 연구" 혜안 1994
    • 46 주채혁, "몽골 사회제도사" 대한교과서주식회사 1990
    • 47 유원수, "몽골 비사" 사계절출판사 2004
    • 48 체렌소드놈, "몽골 민간 신화" 대원사 2001
    • 49 고명수, "몽골 고려 관계 연구" 혜안 2019
    • 50 이성규, "몽골 게세르(Geser) 이야기의 판본과 간행" 한국몽골학회 (30) : 168-190, 2011
    • 51 정광, "몽고자운 연구-훈민정음과 파스파 문자의 관계를 해명하기 위하여" 박문사 2009
    • 52 金龜山, "몽고 문화사" 東文選 1991
    • 53 로도이담바, "맑은 타미르 강 1, 2" 민음사 2007
    • 54 김호동, "마르코 폴로의 동방견문록" 사계절 2000
    • 55 단국대 몽골연구소, "동북아유목문화대사전" 단국대학교출판부 2017
    • 56 단국대 몽골연구소, "동몽골의 가치와 미래" 단국대학교 출판부 2016
    • 57 이성규, "동몽골의 가치와 미래" 단국대학교 출판부 55-82, 2016
    • 58 Talat Tekin, "돌궐비문 연구 퀼 티긴 비문, 빌개 카간 비문, 투뉴쿠크 비문" 제이앤씨 2008
    • 59 정재훈, "돌궐 유목제국사 : 552~745 : 아사나 권력의 형성과 발전, 그리고 소멸" 사계절 2016
    • 60 이선아, "단군신화와 게세르칸-북방 영웅신화의 원형 탐구-" 민속원 2020
    • 61 유원수, "게세르 칸: 몽골 대서사시" 사계절 2007
    • 62 김태경, "거란소자사전" 조선뉴스프레즈 2019
    • 63 이성규, "거란대자(契丹大字) 자료(資料)와 연구현황(硏究現況)" 한국몽골학회 (64) : 7-46, 2021
    • 64 李基文, "高麗史의 蒙古語 單語들에 대한 再檢討" 大韓民國 學術院 32 : 55-83, 1993
    • 65 李基文, "高麗史의 蒙古語 單語들에 대한 再檢討" 大韓民國 學術院 32 : 55-83, 1993
    • 66 杜宏剛, "韓國文集中的蒙元史料 上․下" 廣西師範大學出版社 2004
    • 67 愛新覺羅, "韓半島から眺めた契丹 女真" 京都大學學術出版會 113-144, 2011
    • 68 하자노프, "遊牧社會의 構造" 지식산업사 1990
    • 69 룩 콴텐, "遊牧民族帝國史" 民音社 1984
    • 70 이성규, "蒙學三書의 蒙古語 硏究" 단국대학교 출판부 2004
    • 71 崔鶴根, "蒙古諸汗 源流의 寶綱(蒙古源流)" 玄文社 1985
    • 72 金炯秀, "蒙古語・滿洲語 比較語彙辭典" 螢雪出版社 1994
    • 73 한국학중앙연구원, "至正條格 校註本" ㈜휴머니스트 출판 그룹 2007
    • 74 한국학중앙연구원, "至正條格 影印本" ㈜휴머니스트 출판 그룹 2007
    • 75 박소현, "神을 부르는 노래 몽골의 토올" 민속원 2005
    • 76 석주명, "濟州島의 生命調査書" 서울신문사 1949
    • 77 석주명, "濟州島隨筆" 寶晉齊 1968
    • 78 석주명, "濟州島關係文獻集" 서울신문사 1949
    • 79 석주명, "濟州島資料集" 寶晉齊 1971
    • 80 석주명, "濟州島昆蟲相" 寶晉齊 1971
    • 81 석주명, "濟州島方言" 서울신문사 1947
    • 82 金炯秀, "滿洲語・蒙古語 比較語彙辭典" 螢雪出版社 1994
    • 83 阿尔達札布, "新譯集注≪蒙古秘史≫" 內蒙古大學出版社 2005
    • 84 淸格尔泰, "契丹小字再硏究" 內蒙古大學出版社 2017
    • 85 이성규, "契丹族에 유입된 北方의 의학에 관한 연구- 요(遼) 건국 이전 시기를 중심으로 -" 한국몽골학회 (38) : 57-90, 2014
    • 86 劉鳳翥, "契丹文字硏究類編" 中華書局 2014
    • 87 康鵬, "契丹小字詞彙索引" 中華書局 2014
    • 88 이성규, "國譯 金史 1~4" 단국대 출판부 2016
    • 89 김위현, "國譯 遼史 上・中 ・下" 단국대 출판부 2012
    • 90 金芳漢, "八思巴文字 新資料" 서울대 동아문화연구소 10 : 343-351, 1971
    • 91 小沢重男, "元朝秘史全釈続攷 中" 風間書房 1988
    • 92 小沢重男, "元朝秘史全釈続攷 下" 風間書房 1989
    • 93 小沢重男, "元朝秘史全釈続攷 上" 風間書房 1987
    • 94 小沢重男, "元朝秘史全釈 中" 風間書房 1985
    • 95 小沢重男, "元朝秘史全釈 下" 風間書房 1986
    • 96 小沢重男, "元朝秘史全釈 上" 風間書房 1984
    • 97 照那斯图, "中國少數民族語言簡志叢書, 達斡尔語簡志" 民族出版社 1981
    • 98 道布, "中國少數民族語言簡志叢書, 蒙古語簡志" 民族出版社 1983
    • 99 照那斯图, "中國少數民族語言簡志叢書, 東部裕固語簡志" 民族出版社 1981
    • 100 刘照雄, "中國少數民族語言簡志叢書, 東乡語簡志" 民族出版社 1981
    • 101 照那斯图, "中國少數民族語言簡志叢書, 土族語簡志" 民族出版社 1981
    • 102 布和, "中國少數民族語言簡志叢書, 保安語簡志" 民族出版社 1982
    • 103 高娃, "中國小數民族碑銘硏究" 民族出版社 110-122, 2019
    • 104 수미야바아타르, "中世韓蒙關係史 文獻篇" 단국대학교출판부 1992
    • 105 金芳漢, "三田渡碑蒙文에 關하여" 서울대 동아문화연구소 4 : 59-96, 1965
    • 106 森安孝夫・オチル, "モンゴル國現存遺蹟 碑文調査硏究報告" 中央ユ-ラシア學硏究會 1999
    • 107 송기중, "『高麗史』에 수록된 두 편의 蒙古軍 牒文" 진단학회 (118) : 31-94, 2013
    • 108 Б.Түвшинтөгс, "Хан харангуй тууль" Соёмбо принтинг ХХК 2016
    • 109 Ө. Оюунхүү, "Саран хөхөөний туужийн монгол хэлний судалгаа" Удам соёл ХХК 2016
    • 110 Ц.Дамдинсүрэн, "Орос-Монгол толь, БНМАУ, ШУА, Хэл Зохиолын Хүрээлэн" 847-938, 1968
    • 111 Ц. Шагдарсүрэн, "Монголчуудын үсэг бичигийн товчоон" 2001
    • 112 Д. Цэрэнсодном, "Монгол уран зохиолын товч түүх(ⅩⅢ-ⅩⅩ зууны эхэн), БНМАУ-ын АБЯ-ыСурах бичиг, сэтгүүлийн нэгдсэн редакцын газар" 2002
    • 113 Ш.Гаадамба, "Монгол ардын аман зохиол, БНМАУ Хэл зохиолын хүрээлэн" 1988
    • 114 ШУА-Түүх, "Монгол Ганжуур-Олон улсын судалгаа-, Адмон" 2017
    • 115 The Fifth Noyon Rinpoche Luvsandanzanravjaa Museum, "Д.Данзанравжаа-ⅩⅨ зууны Монголыннэрт соён гэгээрүүлэгч, Ноён хутагт"
    • 116 БНМАУ-ын ШУА, "БНМАУ-ын Угсаатны Зүй 1, 2, 3, Улсынхэвдэдийн газар" 1996
    • 117 Bolučilaγu nar, "ǰegün yuγur kel-ü üges(東部裕固語泀汇)" 內蒙古人民出版社 1985
    • 118 Bolučilaγuǰalsan, "ǰegün yuγur kel-ü üge kelelge -yin materiyal(東部裕固語話語材料)" 內蒙古人民出版社 1988
    • 119 Bolučilaγu ǰalsan, "ǰegün yuγur kel ba mongγol kel(東部裕固語和蒙古語)" 內蒙古人民出版社 1992
    • 120 Sengge・γo. ǰorigtu, "Öbür mongγol-un mongγol kelen-ü nutug-un ayalγun-u γaǰar-un ǰirug-un bayičalta-yin material-un čubural(內蒙古蒙古語方言地圖資料集), 綜論" 內蒙古敎育出版社 2018
    • 121 Igor de Rachewiltz, "The Secret History of the Mongols (Vol.1, Vol.2)" Brill 2004
    • 122 Francis Woodman Cleaves, "The Mongolian Text of the Tri-lingual Inscription of 1640(Part II: Notes to the Translation)" Mongolia Society 19 : 1-49, 1996
    • 123 Kwon Iru, "Sentence comparisons between Chŏng’ŏ Nogŏldae and Mong’ŏ Nogŏldae — Focused on ungrammatical sentences in Chŏp’hae Mong’ŏ —" The Altaic Society of Korea null (null): 161-188, 2018
    • 124 L. Qurčabaγatur Solongγod, "Proto-Mongolian language 1400 years ago-Studies of the Hüis Tolgoi Inscriptionn(HTI)" Elias Verlag 2019
    • 125 Čoiǰungǰab nar, "Oyarad ayalγu-u üge kelelge -yin materiyal(卫拉特方言話語材料)" 內蒙古人民出版社 1987
    • 126 정광, "On the Longkānshŏujing(龍龕手鏡) reprinted in Koryŏ Dynasty" The Society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NRFK) null (null): 237-279, 2012
    • 127 Čenggeltei, "Odu üy-e-yin mongγol kelen-ü ǰüi, Öbür mongγol-un arad-un keblel-ün quriy-e"
    • 128 Čengeltei, "Mongγur kel-ü üges(土族語泀汇)" 內蒙古人民出版社 1986
    • 129 Čengeltei, "Mongγur kel-ü üge kelelge -yin materiyal(土族語話語材料)" 內蒙古人民出版社 1988
    • 130 Čengeltei, "Mongγur kel ba mongγol kel(土族語和蒙古語)" 內蒙古人民出版社 1991
    • 131 Sečenmöngke, "Geser-ün bürin bičig"
    • 132 Böke nar, "Düngsiyang kel-ü üges(東乡語泀汇)" 內蒙古人民出版社 1983
    • 133 Böke nar, "Düngsiyang kel-ü üge kelelge -yin materiyal(東乡語話語材料)" 內蒙古人民出版社 1987
    • 134 Böke, "Düngsiyang kel ba mongγol kel(東乡語和蒙古語)" 內蒙古人民出版社 1986
    • 135 Engkebatu nar, "Daγur kel-üüge kelelge -yin materiyal(達斡尔語話語材料)" 內蒙古人民出版社 1985
    • 136 Engkebatu nar, "Daγur kel-ü üges(達斡尔語泀汇)" 內蒙古人民出版社 1984
    • 137 Engkebatu, "Daγur kel ba mongγol kel(達斡尔語和蒙古語)" 內蒙古人民出版社 1988
    • 138 Čen naisiyung, "Buu an kel-ü üges(保安語泀汇)" 內蒙古人民出版社 1986
    • 139 Čen nai siyung, "Buu an kel-ü üge kelelge -yin materiyal(保安語話語材料)" 內蒙古人民出版社 1987
    • 140 Čen nai siyung, "Buu an kel ba mongγol kel(保安語和蒙古語)" 內蒙古人民出版社 1987
    • 141 Uuda nar, "Barγu aman ayalγu-u üge kelelge –yin materiyal(巴尔虎土語話語材料)" 內蒙古人民出版社 1984
    • 142 Boosiyang Bo. ǰirannige, "Barγu aman ayalγu(巴尔虎土語)" 內蒙古大學出版社 1996
    • 143 Te. Temür-e, "Anaγaqu uqaγan-u dörben ündüsü(四部醫典)" 內蒙古科學技術出版社 2009
    • 144 Yong-Taek Yoon, "A Study on Seok Du-Myeong as a Modern Person Heritage in Jeju" Society for Jeju Studies 55 : 55-81, 2021
    • 145 Yu Wonsoo, "A Study of the Tacheng Dialect of the Dagur Language"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2008
    • 146 오미영, "20세기 초 한 몽 교류 연구 : 몽골행(行)한인들의 활동을 중심으로" 단국대 대학원 2017
    • 147 류병재, "2018년 하계 몽골 답사 보고서" 단국대 몽골연구소 4 (4): 95-127, 2019
    • 148 류병재, "2016년 하계 몽골중부지역 답사 보고서" 단국대 몽골연구소 2 (2): 117-141, 2017
    • 149 복기대, "2009~2010년 동몽골 역사유적 조사보고서" 두솔 2013
    • 150 이성규, "17世紀 蒙文年代記의 蒙古語 硏究" 네오출판사 2002
    • 151 이성규, "17世紀 蒙文年代記의 蒙古語 硏究" 네오출판사 2002
    • 152 류병재, "017년 하계 몽골 고비, 헨티, 수흐바타르지역 답사 보고서" 단국대 북방문화연구소 8 : 199-212, 201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 맵

          • 공동연구자 (0)

            • 유사연구자 (0) 활용도상위20명

              •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3-11 학회명변경 영문명 : TKAFMS -> KAMS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2-26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Association For Mongolian Studies -> TKAFMS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후보
              •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7 0.37 0.3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4 0.33 0.501 0.06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

              내보내기 형태를 선택하세요

              서지정보의 형식을 선택하세요

              참고문헌양식 참고문헌양식안내

              내책장담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동일자료를 같은 책장에 담을 경우 담은 시점만 최신으로 수정됩니다.

              새책장 만들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 책장설명은 [내 책장/책장목록]에서 수정할 수 있습니다.

              • 책장카테고리 설정은 최소1개 ~ 최대3개까지 가능합니다.

              관심분야 검색

              닫기

              트리 또는 검색을 통해 관심분야를 선택 하신 후 등록 버튼을 클릭 하십시오.

                관심분야 검색 결과
                대분류 중분류 관심분야명
                검색결과가 없습니다.

                선택된 분야 (선택분야는 최소 하나 이상 선택 하셔야 합니다.)

                소장기관 정보

                닫기

                문헌복사 및 대출서비스 정책은 제공도서관 규정에 따라 상이할수 있음

                권호소장정보

                닫기

                  오류접수

                  닫기
                  오류접수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 개인정보 노출 방지를 위해 민감한 개인정보 내용은 가급적 기재를 자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담을 위해 불가피하게 개인정보를 기재하셔야 한다면, 가능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보내기]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오류 접수 확인

                    닫기
                    오류 접수 확인
                    • 고객님, 오류접수가 정상적으로 신청 되었습니다.

                      문의하신 내용은 3시간 이내에 메일로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다만, 고객센터 운영시간(평일 09:00 ~ 18:00) 이외에는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 드립니다.

                      로그인 후, 문의하신 내용은 나의상담내역에서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접수 정보]

                    음성서비스 신청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신청]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 서비스 신청이 완료되었습니다.

                        신청하신 내역에 대한 처리 완료 시 메일로 별도 안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음성서비스 신청 증가 등의 이유로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감합니다.

                      [신청 정보]

                      41061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1119) KERIS빌딩

                      고객센터 (평일: 09:00 ~ 18:00)1599-3122

                      Copyright© KERIS.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 바로가기

                      이용약관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1. 제 1 장 총칙

                        1. 제 1 조 (목적)

                          • 이 약관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하 "교육정보원"라 함)이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의 웹사이트(이하 "서비스" 라함)의 이용에 관한 조건 및 절차와 기타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2. 제 2 조 (약관의 효력과 변경)

                          1. ① 이 약관은 서비스 메뉴에 게시하여 공시함으로써 효력을 발생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합리적 사유가 발생한 경우에는 이 약관을 변경할 수 있으며, 약관을 변경한 경우에는 지체없이 "공지사항"을 통해 공시합니다.
                          3. ③ 이용자는 변경된 약관사항에 동의하지 않으면, 언제나 서비스 이용을 중단하고 이용계약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
                        3. 제 3 조 (약관외 준칙)

                          •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관계 법령에 규정 되어있을 경우 그 규정에 따르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적인 관례에 따릅니다.
                        4. 제 4 조 (용어의 정의)

                          이 약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① 이용자 : 교육정보원과 이용계약을 체결한 자
                          2. ② 이용자번호(ID) : 이용자 식별과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이용계약 체결시 이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교육정보원이 부여하는 문자와 숫자의 조합
                          3. ③ 비밀번호 : 이용자 자신의 비밀을 보호하기 위하여 이용자 자신이 설정한 문자와 숫자의 조합
                          4. ④ 단말기 : 서비스 제공을 받기 위해 이용자가 설치한 개인용 컴퓨터 및 모뎀 등의 기기
                          5. ⑤ 서비스 이용 : 이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교육정보원의 주전산기에 접속하여 교육정보원이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하는 것
                          6. ⑥ 이용계약 :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이 약관으로 교육정보원과 이용자간의 체결하는 계약을 말함
                          7. ⑦ 마일리지 : RISS 서비스 중 마일리지 적립 가능한 서비스를 이용한 이용자에게 지급되며, RISS가 제공하는 특정 디지털 콘텐츠를 구입하는 데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포인트
                      2. 제 2 장 서비스 이용 계약

                        1.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1. ① 이용계약은 이용자의 이용신청에 대한 교육정보원의 이용 승낙에 의하여 성립됩니다.
                          2. ② 제 1항의 규정에 의해 이용자가 이용 신청을 할 때에는 교육정보원이 이용자 관리시 필요로 하는
                            사항을 전자적방식(교육정보원의 컴퓨터 등 정보처리 장치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나 서면으로 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계약은 이용자번호 단위로 체결하며, 체결단위는 1 이용자번호 이상이어야 합니다.
                          4. ④ 서비스의 대량이용 등 특별한 서비스 이용에 관한 계약은 별도의 계약으로 합니다.
                        2. 제 6 조 (이용신청)

                          1. ①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자는 교육정보원이 지정한 양식에 따라 온라인신청을 이용하여 가입 신청을 해야 합니다.
                          2. ② 이용신청자가 14세 미만인자일 경우에는 친권자(부모, 법정대리인 등)의 동의를 얻어 이용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3. 제 7 조 (이용계약 승낙의 유보)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용계약의 승낙을 유보할 수 있습니다.
                            1. 1. 설비에 여유가 없는 경우
                            2. 2. 기술상에 지장이 있는 경우
                            3. 3. 이용계약을 신청한 사람이 14세 미만인 자로 친권자의 동의를 득하지 않았을 경우
                            4. 4. 기타 교육정보원이 서비스의 효율적인 운영 등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2. ②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이용계약 신청에 대하여는 이를 거절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사람의 명의를 사용하여 이용신청을 하였을 때
                            2. 2.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하였을 때
                        4. 제 8 조 (계약사항의 변경)

                          이용자는 다음 사항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서비스에 접속하여 서비스 내의 기능을 이용하여 변경할 수 있습니다.
                          1. ① 성명 및 생년월일, 신분, 이메일
                          2. ② 비밀번호
                          3. ③ 자료신청 / 기관회원서비스 권한설정을 위한 이용자정보
                          4. ④ 전화번호 등 개인 연락처
                          5. ⑤ 기타 교육정보원이 인정하는 경미한 사항
                      3. 제 3 장 서비스의 이용

                        1. 제 9 조 (서비스 이용시간)

                          • 서비스의 이용 시간은 교육정보원의 업무 및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00:00-24:00)을 원칙으로 합니다. 다만 정기점검등의 필요로 교육정보원이 정한 날이나 시간은 그러하지 아니합니다.
                        2. 제 10 조 (이용자번호 등)

                          1. ① 이용자번호 및 비밀번호에 대한 모든 관리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2. ② 명백한 사유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용자가 이용자번호를 공유, 양도 또는 변경할 수 없습니다.
                          3. ③ 이용자에게 부여된 이용자번호에 의하여 발생되는 서비스 이용상의 과실 또는 제3자에 의한 부정사용 등에 대한 모든 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3. 제 11 조 (서비스 이용의 제한 및 이용계약의 해지)

                          1. ① 이용자가 서비스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온라인으로 교육정보원에 해지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사전통지 없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거나 전부 또는 일부의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타인의 이용자번호를 사용한 경우
                            2. 2. 다량의 정보를 전송하여 서비스의 안정적 운영을 방해하는 경우
                            3. 3. 수신자의 의사에 반하는 광고성 정보, 전자우편을 전송하는 경우
                            4. 4. 정보통신설비의 오작동이나 정보 등의 파괴를 유발하는 컴퓨터 바이러스 프로그램등을 유포하는 경우
                            5. 5. 정보통신윤리위원회로부터의 이용제한 요구 대상인 경우
                            6. 6. 선거관리위원회의 유권해석 상의 불법선거운동을 하는 경우
                            7. 7.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동의 없이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경우
                            8. 8. 비실명 이용자번호로 가입되어 있는 경우
                            9. 9. 일정기간 이상 서비스에 로그인하지 않거나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은 경우
                          3. ③ 전항의 규정에 의하여 이용자의 이용을 제한하는 경우와 제한의 종류 및 기간 등 구체적인 기준은 교육정보원의 공지, 서비스 이용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등에서 별도로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4. ④ 해지 처리된 이용자의 정보는 법령의 규정에 의하여 보존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
                          5. ⑤ 해지 처리된 이용자번호의 경우, 재사용이 불가능합니다.
                        4. 제 12 조 (이용자 게시물의 삭제 및 서비스 이용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필요에 따라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한 내용물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부분적으로 제한할 수 있습니다.
                          3. ③ 제 1 항 및 제 2 항의 경우에는 당해 사항을 사전에 온라인을 통해서 공지합니다.
                          4. ④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하는 서비스내의 내용물이 다음 각호에 해당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용자에게 사전 통지 없이 삭제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이용자 또는 제 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시키는 경우
                            2. 2.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유포하는 경우
                            3. 3.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4. 4.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5. 5. 게시 기간이 규정된 기간을 초과한 경우
                            6. 6. 이용자의 조작 미숙이나 광고목적으로 동일한 내용의 게시물을 10회 이상 반복하여 등록하였을 경우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5. 제 13 조 (서비스 제공의 중지 및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서비스용 설비의 보수 또는 공사로 인한 부득이한 경우
                            2. 2. 전기통신사업법에 규정된 기간통신사업자가 전기통신 서비스를 중지했을 때
                          2. ② 교육정보원은 국가비상사태, 서비스 설비의 장애 또는 서비스 이용의 폭주 등으로 서비스 이용에 지장이 있는 때에는 서비스 제공을 중지하거나 제한할 수 있습니다.
                        6. 제 14 조 (교육정보원의 의무)

                          1. ① 교육정보원은 교육정보원에 설치된 서비스용 설비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에 적합하도록 유지하여야 하며 서비스용 설비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또는 그 설비가 못쓰게 된 경우 그 설비를 수리하거나 복구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 내용의 변경 또는 추가사항이 있는 경우 그 사항을 온라인을 통해 서비스 화면에 공지합니다.
                        7. 제 15 조 (개인정보보호)

                          1. ① 교육정보원은 공공기관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률, 정보통신이용촉진등에 관한 법률 등 관계법령에 따라 이용신청시 제공받는 이용자의 개인정보 및 서비스 이용중 생성되는 개인정보를 보호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관리책임자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관리담당 부서장(학술정보본부)이며, 주소 및 연락처는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 1119) KERIS빌딩, 전화번호 054-714-0114번, 전자메일 privacy@keris.or.kr 입니다. 개인정보 관리책임자의 성명은 별도로 공지하거나 서비스 안내에 게시합니다.
                          3. ③ 교육정보원은 개인정보를 이용고객의 별도의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다만, 다음 각 호의 경우는 이용고객의 별도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이용 고객의 개인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1. 1. 수사상의 목적에 따른 수사기관의 서면 요구가 있는 경우에 수사협조의 목적으로 국가 수사 기관에 성명, 주소 등 신상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2. 2.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전기통신관련법률 등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
                            3. 3. 통계작성, 학술연구 또는 시장조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로서 특정 개인을 식별할 수 없는 형태로 제공하는 경우
                          4. ④ 이용자는 언제나 자신의 개인정보를 열람할 수 있으며, 스스로 오류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열람 및 수정은 원칙적으로 이용신청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며, 자세한 방법은 공지, 이용안내에 정한 바에 따릅니다.
                          5. ⑤ 이용자는 언제나 이용계약을 해지함으로써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동의, 목적 외 사용에 대한 별도 동의, 제3자 제공에 대한 별도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해지의 방법은 이 약관에서 별도로 규정한 바에 따릅니다.
                        8. 제 16 조 (이용자의 의무)

                          1. ①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할 때 다음 각 호의 행위를 하지 않아야 합니다.
                            1. 1. 다른 이용자의 이용자번호를 부정하게 사용하는 행위
                            2. 2.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사전승낙없이 이용자의 이용이외의 목적으로 복제하거나 이를 출판, 방송 등에 사용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는 행위
                            3. 3.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하는 행위
                            4. 4.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배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타인에게 유포하는 행위
                            5. 5.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행위
                            6. 6.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되는 행위
                          2. ② 이용자는 이 약관에서 규정하는 사항과 서비스 이용안내 또는 주의사항을 준수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자가 설치하는 단말기 등은 전기통신설비의 기술기준에 관한 규칙이 정하는 기준에 적합하여야 하며, 서비스에 장애를 주지 않아야 합니다.
                        9. 제 17 조 (광고의 게재)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의 운용과 관련하여 서비스화면, 홈페이지, 전자우편 등에 광고 등을 게재할 수 있습니다.
                      4. 제 4 장 서비스 이용 요금

                        1. 제 18 조 (이용요금)

                          1. ① 서비스 이용료는 기본적으로 무료로 합니다. 단, 민간업체와의 협약에 의해 RISS를 통해 서비스 되는 콘텐츠의 경우 각 민간 업체의 요금 정책에 따라 유료로 서비스 합니다.
                          2. ② 그 외 교육정보원의 정책에 따라 이용 요금 정책이 변경될 경우에는 온라인으로 서비스 화면에 게시합니다.
                      5. 제 5 장 마일리지 정책

                        1. 제 19 조 (마일리지 정책의 변경)

                          1. ① RISS 마일리지는 2017년 1월부로 모두 소멸되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마일리지 적립ㆍ사용ㆍ소멸 등 정책의 변경에 대해 온라인상에 공지해야하며, 최근에 온라인에 등재된 내용이 이전의 모든 규정과 조건보다 우선합니다.
                      6. 제 6 장 저작권

                        1. 제 20 조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는 다음 각 호와 같습니다.
                          1. ① 게시물에 대한 권리와 책임은 게시자에게 있으며, 교육정보원은 게시자의 동의 없이는 이를 영리적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2. ② 게시자의 사전 동의가 없이는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가공, 판매하는 행위 등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를 상업적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7. 제 7 장 이의 신청 및 손해배상 청구 금지

                        1. 제 21 조 (이의신청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이의 신청 및 민원을 제기할 수 없습니다.
                        2. 제 22 조 (손해배상청구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교육정보원 및 관계 기관에 손해배상 청구를 할 수 없으며 교육정보원은 이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아니합니다.
                      8. 부칙

                        이 약관은 2000년 6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9. 부칙(개정 2005. 5. 31)

                        이 약관은 2005년 5월 31일부터 시행합니다.
                      10. 부칙(개정 2010. 1. 1)

                        이 약관은 2010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1. 부칙(개정 2010. 4 1)

                        이 약관은 2010년 4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2. 부칙(개정 2017. 1 1)

                        이 약관은 2017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개인정보처리방침

                      Ver 8.6 (2023년 1월 31일 ~ )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처리목적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
                      RISS는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처리합니다. 처리하고 있는 개인정보는 다음의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이용되지 않으며, 이용 목적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18조에 따라 별도의 동의를 받는 등 필요한 조치를 이행할 예정입니다.
                      가. 서비스 제공
                           - 콘텐츠 제공, 문헌배송 및 결제, 요금정산 등 서비스 제공
                      나. 회원관리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본인확인,
                           - 만14세 미만 아동 개인 정보 수집 시 법정 대리인 동의여부 확인, 추후 법정 대리인 본인확인
                           - 분쟁 조정을 위한 기록보존, 불만처리 등을 위한 원활한 의사소통 경로의 확보, 공지사항 전달
                      다. 서비스 개선
                           - 신규 서비스 개발 및 특화
                           - 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및 광고 게재, 이벤트 등 정보 전달 및 참여 기회 제공
                           -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보유 기간제2조(개인정보의 처리 및 보유 기간)
                      가. 처리기간 및 보유 기간: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
                      나. 다만, 다음의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유 종료시 까지 정보를 보유 및 열람합니다.
                           ▶ 신청 중인 서비스가 완료 되지 않은 경우
                                - 보존 이유 : 진행 중인 서비스 완료(예:원문복사 등)
                                - 보존 기간 : 서비스 완료 시까지
                                - 열람 예정 시기 : 수시(RISS에서 신청된 서비스의 처리내역 및 진행상태 확인 요청 시)
                           ▶ 관련법령에 의한 정보보유 사유 및 기간
                                - 대금결제 및 재화 등의 공급에 관한 기록 :

                      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소비자의 불만 또는 분쟁 처리에 관한 기록 :

                      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접속에 관한 기록 :

                      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
                      처리 항목제3조(처리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가. 필수 항목 : ID, 이름,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보호자 성명(어린이회원), 보호자 이메일(어린이회원)
                      나: 선택 항목 : 소속기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전화, 주소, 장애인 여부
                      다. 자동수집항목 : IP주소, ID, 서비스 이용기록, 방문기록
                      개인 정보제4조(개인정보파일 등록 현황)
                      개인정보파일의 명칭 운영근거 / 처리목적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보유기간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필수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3년
                      또는
                      탈퇴시
                      선택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제3자 제공제5조(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가. RISS는 원칙적으로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보주체의 사전 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단, 정보주체의 동의, 법률의 특별한 규정 등 개인정보 보호법 제17조 및 제18조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합니다.
                      나. RISS는 원활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다음의 경우 정보주체의 동의를 얻어 필요 최소한의 범위로만
                           제공합니다.
                           - 복사/대출 배송 서비스를 위해서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제공합니다.
                                1. 개인정보 제공 대상 : 제공도서관, ㈜이니시스(선불결제 시)
                                2. 개인정보 제공 목적 : 복사/대출 서비스 제공
                                3. 개인정보 제공 항목 :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4.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신청건 발생일 후 5년
                      ▶ 개인정보 제공에 동의하지 않을 권리가 있으며, 거부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이 불가합니다.
                      처리 위탁제6조(개인정보 처리업무의 위탁)
                      RISS는 원활한 개인정보 업무처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업무를 위탁하고 있습니다.
                      가. 위탁하는 업무 내용 : 회원 개인정보 처리
                      나. 수탁업체명 : ㈜퓨쳐누리
                      RISS는 위탁계약 체결 시 「개인정보 보호법」 제26조에 따라 위탁업무 수행 목적 외 개인정보 처리금지, 안전성 확보조치, 재위탁 제한, 수탁자에 대한 관리·감독, 손해배상 등 책임에 관한 사항을 계약서 등 문서에 명시하고, 수탁자가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처리하는지를 감독하고 있습니다.
                      위탁업무의 내용이나 수탁자가 변경될 경우에는 지체 없이 본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통하여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파기제7조(개인정보의 파기 절차 및 방법)
                      가. 파기절차
                           - 개인정보의 파기 : 보유기간이 경과한 개인정보는 종료일로부터 지체 없이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처리 목적 달성, 해당 서비스의 폐지, 사업의 종료 등 그
                            개인정보파일이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개인정보의 처리가 불필요한 것으로 인정되는 날로부터
                            지체 없이 그 개인정보파일을 파기.
                      나. 파기방법
                           - 전자적 형태의 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기술적 방법을 사용하여 파기.
                           - 종이에 출력된 개인정보는 분쇄기로 분쇄하거나 소각을 통하여 파기.
                      정보주체의 권리의무제8조(정보주체와 법정대리인의 권리·의무 및 그 행사 방법)
                      정보주체(만 14세 미만인 경우에는 법정대리인을 말함)는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가. 권리 행사 항목 및 방법
                           - 권리 행사 항목: 개인정보 열람 요구, 오류 정정 요구, 삭제 요구, 처리정지 요구
                           - 권리 행사 방법: 개인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고시 별지 제8호(대리인의 경우 제11호) 서식에 따라
                            작성 후 서면, 전자우편, 모사전송(FAX), 전화, 인터넷(홈페이지 고객센터) 제출
                      나. 개인정보 열람 및 처리정지 요구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5조 제5항, 제37조 제2항에 의하여
                            정보주체의 권리가 제한 될 수 있음
                      다. 개인정보의 정정 및 삭제 요구는 다른 법령에서 그 개인정보가 수집 대상으로 명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삭제를 요구할 수 없음
                      라. RISS는 정보주체 권리에 따른 열람의 요구, 정정·삭제의 요구, 처리정지의 요구 시
                            열람 등 요구를 한 자가 본인이거나 정당한 대리인인지를 확인함.
                      마. 정보주체의 권리행사 요구 거절 시 불복을 위한 이의제기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해당 부서에서 열람 등 요구에 대한 연기 또는 거절 시 요구 받은 날로부터 10일 이내에 정당한 사유
                              및 이의제기 방법 등을 통지
                           2) 해당 부서에서 정보주체의 이의제기 신청 및 접수(서면, 유선, 이메일 등)하여 개인정보보호 담당자가
                              내용 확인
                           3) 개인정보관리책임자가 처리결과에 대한 최종 검토
                           4) 해당부서에서 정보주체에게 처리결과 통보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1호] 개인정보 (열람, 정정·삭제, 처리정지) 요구서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2호] 위임장
                      안전성확보조치제9조(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가. 내부관리계획의 수립 및 시행 : RISS의 내부관리계획 수립 및 시행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을 준수하여 시행.
                      나. 개인정보 취급 담당자의 최소화 및 교육
                           -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분야별 담당자를 지정․운영
                           -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에 따른 교육 실시
                      다.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 제한
                           -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데이터베이스시스템에 대한 접근권한의 부여, 변경, 말소를 통하여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통제 실시
                           - 침입차단시스템, ID/패스워드 및 공인인증서 확인을 통한 접근 통제 등 보안시스템 운영
                      라. 접속기록의 보관 및 위변조 방지
                           - 개인정보처리시스템에 접속한 기록(웹 로그, 요약정보 등)을 2년 이상 보관, 관리
                           - 접속 기록이 위변조 및 도난, 분실되지 않도록 보안기능을 사용
                      마. 개인정보의 암호화 : 이용자의 개인정보는 암호화 되어 저장 및 관리
                      바. 해킹 등에 대비한 기술적 대책
                           - 보안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주기적인 갱신·점검 실시
                           - 외부로부터 접근이 통제된 구역에 시스템을 설치하고 기술적/물리적으로 감시 및 차단
                      사. 비인가자에 대한 출입 통제
                           - 개인정보를 보관하고 있는 개인정보시스템의 물리적 보관 장소를 별도 설치․운영
                           - 물리적 보관장소에 대한 출입통제, CCTV 설치․운영 절차를 수립, 운영
                      자동화 수집제10조(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
                      가. 정보주체의 이용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불러오는 ‘쿠키(cookie)’를 사용합니다.
                      나. 쿠키는 웹사이트를 운영하는데 이용되는 서버(http)가 이용자의 컴퓨터브라우저에게 보내는 소량의
                           정보이며 이동자들의 PC 컴퓨터내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되기도 합니다.
                           1) 쿠키의 사용목적 : 이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서비스 제공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2) 쿠키의 설치·운영 및 거부 : 브라우저 옵션 설정을 통해 쿠키 허용, 쿠키 차단 등의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 Internet Explorer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도구 메뉴 > 인터넷 옵션 > 개인정보 > 설정 > 고급
                                - Edg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쿠키 및 사이트 권한 > 쿠키 및 사이트 데이터
                                   관리 및 삭제
                                - Chrom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 쿠키 및 기타 사이트
                                   데이터
                           3) 쿠키 저장을 거부 또는 차단할 경우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보호책임자제11조(개인정보 보호책임자)
                      가. RISS는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업무를 총괄해서 책임지고, 개인정보 처리와 관련한 정보주체의
                           불만처리 및 피해구제 등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구분 담당자 연락처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학술진흥부 길원진

                      나. 정보주체는 RISS의 서비스(또는 사업)을 이용하시면서 발생한 모든 개인정보 보호 관련 문의, 불만처리,
                           피해구제 등에 관한 사항을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담당부서로 문의 할 수 있습니다.
                           RISS는 정보주체의 문의에 대해 답변 및 처리해드릴 것입니다.
                      열람 청구제12조(개인정보의 열람청구를 접수·처리하는 부서)
                      가. 자체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부서명 : 대학학술본부/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전화번호 : 053-714-0149
                           팩스번호 : 053-714-0194
                      나.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 개인정보보호 포털 웹사이트(www.privacy.go.kr)
                           - 개인정보보호 포털 → 민원마당 → 개인정보 열람 등 요구(본인확인을 위한
                             휴대전화·아이핀(I-PIN) 등이 있어야 함)
                      권익침해 구제제13조(정보주체의 권익침해에 대한 구제방법)
                      ‣ 정보주체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
                         침해의 신고,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가.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 (국번없이) 1833-6972(www.kopico.go.kr)
                         나.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 (국번없이) 118(privacy.kisa.or.kr)
                         다. 대검찰청 :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라. 경찰청 : (국번없이) 182 (ecrm.cyber.go.kr)

                      ‣RISS는 정보주체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보장하고,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상담 및 피해 구제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신고나 상담이 필요한 경우 아래의 담당부서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 개인정보 관련 고객 상담 및 신고
                            부서명 : 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연락처 : ☎053-714-0149 / (Mail) giltizen@keris.or.kr / (Fax) 053-714-0194
                      ‣「개인정보 보호법」제35조(개인정보의 열람), 제36조(개인정보의 정정·삭제), 제37조(개인정보의
                         처리정지 등)의 규정에 의한 요구에 대하여 공공기관의 장이 행한 처분 또는 부작위로 인하여 권리
                         또는 이익의 침해를 받은 자는 행정심판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행정심판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 행정심판에 대해 자세한 사항은 중앙행정심판위원회(www.simpan.go.kr) 홈페이지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처리방침 변경제14조(추가적인 이용ㆍ제공 판단기준)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15조제3항 및 제17조제4항에 따라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제14조의2에 따른 사항을 고려하여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RISS는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하는 경우, 본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해 아래와 같은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위한 고려사항에 대한 판단기준을 안내드리겠습니다.
                           ▶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하려는 목적이 당초 수집 목적과 관련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를 수집한 정황 또는 처리 관행에 비추어 볼 때 추가적인 이용 · 제공에 대한 예측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의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이 정보주체의 이익을 부당하게 침해하는지 여부
                           ▶ 가명처리 또는 암호화 등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였는지 여부
                      처리방침 변경제15조(개인정보 처리방침의 변경)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30조에 따라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변경하는 경우 정보주체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변경이력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2023. 1. 31. 부터 적용됩니다.
                      ‣ 이전의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상단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

                      인증오류 안내

                      닫기

                      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