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인도네시아 설화 <안데안데루뭇>의 서사 구조와 문화적 의미 고찰 : 블라디미르 프롭의 『민담형태론』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Narrative Structure and Cultural Significance of the Indonesian Folktale Ande-Ande Lumut : Focusing on Vladimir Propp’s Morphology of the Folktale
저자
노정주 (한국외국어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5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63-91(29쪽)
제공처
본고는 인도네시아 전통 설화 <안데안데루뭇>을 블라디미르 프롭의『민담형태론』 기능 이론에 적용하여 서사의 구조적 흐름과 문화적 상징성을 분석하였다. <안데안데루뭇>은 동부 자바와 중부 자바 지역에서 구술 예술로 전승되어 온 자바 문화를 반영하는 설화이다. 본 연구는 이설화의 기능 구조를 체계적으로 검토하고, 각 기능이 자바 사회가 중시하는 조화와 균형의 가치, 시라만(Siraman)과 같은 전통 의례와 어떻게결합되어 변형되는지를 고찰하였다. 주인공은 반복적 시련과 윤리적 선택을 통해 자율적 주체성을 형성하고 공동체 질서 회복을 이끄는 존재로 그려진다. 조력자·가짜 영웅·공주(왕자) 등의 인물들도 기능 수행과함께 자바 공동체 윤리를 반영하는 상징성을 지닌다. 특히 본 설화는 기능 배열이 문화적 맥락에 따라 유연하게 변형되고, 왕자가 공주와 파견자의 기능을 교차 수행하며, 악당 처벌이 약화되어 공동체 조화 회복을지향하는 특징을 보인다.
더보기This study analyzes the structural flow and cultural symbolism of the Indonesian traditional folktale Ande-Ande Lumut by applying Vladimir Propp’s theory of functions as outlined in Morphology of the Folktale. Ande Ande Lumut is an oral tradition passed down primarily in East and Central Java, reflecting core elements of Javanese culture. This research systematically examines the tale’s function structure and explores how each function is intertwined with traditional Javanese values such as social harmony and balance, as well as ceremonial practices like Siraman. The protagonist develops autonomous subjectivity through repeated trials and ethical choices, ultimately restoring communal order. Supporting characters such as the helper, false heroes, and the prince (functioning as both princess and dispatcher) embody symbolic meanings that reflect Javanese communal ethics. Notably, the tale features a flexible transformation of the functional sequence according to cultural contexts, with the prince simultaneously fulfilling multiple narrative roles and the weakening of villain punishment, highlighting the emphasis on restoring communal harmony. Through this analysis, Ande-Ande Lumut is revealed as a folktale that follows a universal functional structure while extending its meaning in accordance with regional cultural values.
더보기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