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우수등재
한국 비판사회학의 자율성 문제에 관한 논의- 『글로벌 지식장과 상징폭력』을 둘러싼 논쟁을 중심으로 = Discussion on the issue of autonomy in Korean critical sociology - Focusing on the debate over the Global intellectual field and symbolic violence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우수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342-373(32쪽)
제공처
소장기관
이 연구의 목적은 사회학의 자율성 문제를 보다 복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해석적 프레임을 제시함으로써 한국 비판사회학의 자율성 문제에 관한 논쟁을 재활성화하는 것이다. 자율성 문제는 한국 사회학이 외부의 대상에 종속되어 있다는 문제의식으로부터 출발한다. 대표적으로 서구의 지식체계에 대한 종속 문제와 자본과 국가 권력에 대한 종속 문제를 들 수 있다. 그동안 전자의 문제에 대한 대안으로는 주로 한국적·토착적 사회학이, 후자의 문제에 대한 대안으로는 민중적·비판적 사회학이 제시되었다. 한국 비판사회학은 앞의 두 가지 흐름에 영향을 받으며 자신의 정체성을 형성해 왔다. 한편으로 사회학자 김경만을 중심으로 한국적·토착적 사회학과 민중적·비판적 사회학, 그리고 동시대 한국 비판사회학에 대한 근본적인 비판이 제기되었다. 김경만의 『글로벌 지식장과 상징폭력』과 이를 둘러싼 논쟁은 김경만의 비판과 이를 둘러싼 비판사회학계 내·외부의 논쟁이 어떤 구도에서 전개되었는지를 잘 보여주는 사례다. 그러나 『글로벌』 논쟁은 글로벌 지식장 대 로컬 지식장, 학술장 외부의 사회적 요구에 응답 대 거부라는 배타적 구도에서 지속적이고 생산적으로 전개되지 못했다. 이 연구는 기존 논쟁의 이분법적 프레임에서 벗어나 자율성 문제를 보다 복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해석적 프레임을 제시하고, 자율성 문제에 대한 서로 다른 주장을 상호보완적으로 이해할 방안을 제시한다. 이상의 분석으로부터 이 연구는 한국비판사회학계에 『글로벌』 논쟁이 남긴 물음들에 어떻게 응답할 것인지의 문제를 제기한다.
더보기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activate the debate on the issue of autonomy in critical sociology in Korea by presenting an interpretive frame that can more complexly understand the issue of autonomy in sociology. The issue of autonomy begins with a sense of problem that Korean sociology is subordinated to external objects. Representatively, there are the problems of subordination to the Western knowledge system and the problems of subordination to capital and state power. Until now, Korean and indigenous sociology has been mainly suggested as an alternative to the former problem, and ‘minjung’ and critical sociology has been suggested as an alternative to the latter problem. Critical sociology in Korea has formed its own identity by being influenced by the above two trends. On the one hand, fundamental criticism of Korean and indigenous sociology, ‘minjung’ and critical sociology, and contemporary Korean critical sociology was raised, centering on sociologist Kim Kyung-man. Kim Kyung-man’s Global Intellectual Field and Symbolic Violence and the controversy surrounding it are examples of the structure in which Kim Kyung-man’s criticism and internal and external debates surrounding critical sociology developed. However, the Global debate did not develop continuously and productively in the exclusive structure of responding to and rejecting social demands outside the global knowledge field versus the local knowledge field, and the academic field. This study presents an interpretive frame that can more complexly understand the autonomy problem beyond the dichotomous frame of the existing debate, and a plan to complementarily understand different arguments on the autonomy problem. From the above analysis, this study raises the question of how to respond to the questions left by the Global debate in the critical sociology of Korea.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