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충주 고구려비를 통한 고구려의 진출로 고찰 -廣開土王碑, 日本書紀와의 비교, 검토를 중심으로- = Goguryeo’s Entry Route through the Chungju-Goguryeo Stele -A comparative review with the King Gwanggaeto Stele and Ilbonseogi-
저자
홍성화 (건국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5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01-136(36쪽)
제공처
본고에서는 새로이 판독된 충주 고구려비의 내용을 광개토왕비문과 日本書紀 등 관련 사료와의 비교, 검토를 통해 살펴보면서 당시 고구려의 동쪽 진출로에 대해 고찰하였다.
우선 충주 고구려비의 판독을 통해 전면 상단부에서 ‘永樂七年’의 글자가 있음을 재차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로써 충주 고구려비가 광개토왕대의 비임이 인정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충주 고구려비에 씌어있는 永樂 7년(397년)의 내용은 광개토왕비의 永樂 6년(396년)과 永樂 8년(398년)의 사이에 해당되는 내용으로 日本書紀 應神 8年(397년) 「百濟記」 기록과의 관련성 속에서 파악될 수 있다.
즉, 고구려가 永樂 6년에 백제의 58城과 700村을 공취한 후, 永樂 7년에 충주로부터 于伐城에 이르렀으며, 永樂 8년에 군대를 帛愼土谷에 보내 동정을 살피고 莫□羅城, 加太羅谷을 획득했던 내용과의 연장선상에서 판단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그동안 제대로 해석되지 못했던 日本書紀 應神紀의 東韓之地 관련 기사를 분석하면 爾林城은 고구려군이 신라로 진입하는 동쪽 진출로에 해당되는 곳으로 三國史記 地理志에 고구려의 영현으로 나오는 ‘伊伐支縣’과의 관련성이 부각된다.
충주 고구려비에 나오는 ‘于伐城’의 경우 고구려가 신라로 진출하기 위한 교두보의 성격으로서 벌재(伐嶺, 伐峙) 인근이 유력하며, 따라서 于伐城은 고구려의 동쪽 진출로에 위치한 伊伐支縣, 爾林 부근으로 파악된다.
This paper compares the newly written contents of the Chungju-Goguryeo Stele with related historical sources such as the King Gwanggaeto Stele and Ilbonseogi.
First, the Chungju-Goguryeo Stele was deciphered, and the phrase “Yeongrak 7 years” was found. This confirmed that the Chungju-Goguryeo Stele was the King Gwanggaeto Stele.
Therefore, the content of Yeongrak 7th year (397) written on the Chungju-Goguryeo Stele is between King Gwanggaeto Stele’s Yeongrak 6th year (396) and Yeongrak 8th year (398), which can be understood in relation to Baekje’s records in the Ou-jin 8th year (397) of Ilbonseogi.
In other words, Goguryeo took 58 fortresses and 700 villages of Baekje in Yeongrak 6th year, then reached Ubeolseong-Fortress from Chungju in Yeongrak 7th year, and sent troops to Baeksintogok in Yeongrak 8th year to assess the situation and obtain Gataeragok, etc.
In addition, if the place name of Irimseong-Fortress, which has not been correctly interpreted, is analyzed through articles related to the land in East-Han of Ilbonseogi, Irimseong-Fortress is the eastern entry route for Goguryeo to enter Silla, and the Ibeolji Prefecture of Samguksagi is highlighted.
In the case of Ubeolseong-Fortress seen in the Chungju-Goguryeo Stele, it is likely to be near Beoljae-hill as a bridgehead for Goguryeo to advance to Silla.
Therefore, Ubeolseong-Fortress should be understood to be near Irimseong-Fortress, which is centered on Beoljae-hill.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