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bensgeschichtliches Schreiben von Frauen 1900-1950 = Autobiographical Writing by Women, 1900-1950
저자
발행기관
성신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소(Korea Women's Research Institute Sungshin Women's University )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5
작성언어
German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3-45(23쪽)
제공처
끊임없는 변혁과 거대한 사건 그리고 개혁이 일어나는 시대, 말하자면 변화만이 유일하게 지속되는 시대에 (여성) 주체는 그런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방법과 길을 찾을 수밖에 없다. 이런 방법 중에는 자서전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위의 제목에서 언급된 시기에는 매우 상이한 관점이 발생한다. 우선 글을 쓰는 주체의 관점을 들 수 있는데, 주체는 예술적인 자기 서술을 통해 또 항상 어떤 변화를 묘사하는 것만이 아니라, 동시에 그 변화를 (태생적으로 자전적인 회고 Analepse의 형태로) 스스로의 몸으로 실현하기도 함으로써 새로운 현실을 만들어 낸다. 다른 한편, 글을 읽는 주체의 관점을 보면, 이런 주체는 자신 앞에 놓인 텍스트를 (서술하는 사람과 서술된 내용, 또한 그 사실성과 관련하여) 확고한 기대감을 가지고 수용하며, 또 그렇게 함으로써 텍스트를 변경한다. 이것은 문학 장르 내에서 자전적인 글쓰기를 특징짓는 속성이다.
자전적인 글쓰기에 관한 본 논문은 이처럼 복합적인 장르가 지닌 발전 및 쇄신의 힘 등을 상세히 다루었으며, 시기적으로는 자전문학의 역사에서 전통적인 자전적 글쓰기 방식에서 점점 멀어지던 단계에 주목했다. 이런 상황은 특별한 포커스에 맞추어진 것으로서, 19세기 말 전후에서 20세기 중반까지 여성들의 자전문학 연구를 위한 것이다. 페터 슬로터디크 Peter Sloterdijk이 자전문학사에서 ‚이탈‘의 절정기라고 지적한 바로 그 시기에는, 그때까지 주로 남성들에 의해 정착된 규범 형식에 의존함으로써 주변현상이라는 낙인을 피해가기 위해서는 기존의 방법과 서술 전략을 이용하여 글을 쓰는 작업이 작품 구성에 중요한 요소였다. 장르 법칙 Law of genre과 젠더 법칙 law of gender 이 서로 맞물리는 이런 현상은 버지니아 울프 Virginia Woolf, 게르트루데 슈타인 Gertrude Stein, 루 안드레아스-살로메 Lou-Andreas-Salomé, 일제 아이힝어 Ilse Aichinger 등의 자전적인 작품을 예로 들어 서술될 수 있다. 이들의 자전적인 텍스트를 분석해 보면 여러 시도들이 분명해진다. 즉, 서술의 가능성에 관해 주어진 레퍼토리에서 능숙하게 재결합하고 조립하는가 하면, 또한 기피함으로써 어떻게 ‚파손‘ defacement (Paul de Man)의 혁신적인 형식이 효과를 드러나는지가 뚜렷해진다. 아울러 이와 같은 텍스트들이 전통 고수와 개혁 사이에서 어떻게 어려운 스파가트를 수행해내는지도 잘 나타난다. 또 이를 위해 여성들에게 주어진 „집 짓기 블록 Baukasten“이 직업적인 자서전 같은 남성들의 지배영역으로 인해 오랫동안 제한을 받기는 하였으나, 동시에 자전적인 서신교환 같은 전형적인 „여성적“ 형식의 사회적인 정착을 통해 아주 독특하게 확장될 수 있었던 상황에 힘입어서 마침내 작품들이 생성되었다. 실제로 이런 작품들은 당시에 오직 글을 쓰는 여성들에 의해서만 만들어질 수 있었다. 결국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전형적인 남성 영역이 서서히 전체적인 장르로 발전하였을 뿐만 아니라, 여성의 서술 (그리고 이에 따라 자기인식) 자체도 점차 변화하였다.
In a time of continuous upheavals and innovations, a time where change remains the only constant, the (female) subject is forced to find means to cope with such alterations. One of these means is autobiography. In the era mentioned above, very different perspectives emerge: on the one hand, the writing subject describes change through artistic self-reflection, creating by way of genuine autobiographical retrospection a new kind of reality that in turn changes the writing subject. On the other hand, the reading subject, adopting the text with certain expectations concerning its truth, the describing and the described, and thereby changing it. These characteristics distinguish autobiography from other genres of literature.
This article deals with the innovative capability of the genre in a phase of autobiographical history that is characterized by the renunciation of conventional modes of writing relating to its special focus: the study of female autobiographical writing from around 1900 to the middle of the 20th century. In this period in particular - Peter Sloterdijk called it the height of "deviation" in autobiographical literature -, it was common for women to rely on already available narrative techniques using accepted forms of a mainly masculine canon in order to avoid marginalization. Law of genre and law of gender were intricately interlaced as can be shown in autobiographical works of Virginia Woolf, Gertrude Stein, Lou-Andreas-Salomé, Ilse Aichinger and others.
The analysis of these texts points out how skillful recombination, composition and especially avoidance of customary modes of description can lead to new forms of defacement (Paul de Man) and to what extent these avant garde works were able to bridge the gap between traditionalism and creative innovation. Since female writers had access only to a restricted "tool kit’ ‒ sub-genres like the professional autobiography were dominated by men ‒, using typical "female’ forms of writing like the autobiographical exchange of letters, expanded their options resulting in ground-breaking works that only women could have produced. A male domain subsequently developed into a genre accessible to both genders and the depiction and with it women"s perception of self underwent a remarkable change. To describe this change in its forms, causes and context is the purpose of this article.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