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후보
데이터마이닝 기반의 정부보조금 부정수급 모니터링 기법에 관한 연구 - 직업능력개발 원격훈련 부정행위 모니터링 사례 중심으로 - = A Study on the Monitoring Technique for Government Subsidy Fraud Based on Data Mining - A Case Study on the Monitoring of e-Learning Fraud in TVET -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8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후보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05-124(20쪽)
KCI 피인용횟수
0
DOI식별코드
제공처
소장기관
The advent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 bringing about innovation in various fields. In particular, big data analytics has emerged as a core innovative technology and has become an advanced audit techniques in audit and monitoring techniques. The audit and monitoring through big data-driven data mining techniques also increases the likelihood of cost savings and preventive system deployment. However, due to the lack of cases, methodologies and expertise at the audit site, the techniques are not sufficiently used.
This study synthesized previous studies of data mining procedures and methods and analyzed the operating cases of the monitoring of e-learning fraud in TVET(Technical and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conducted by government funding. In this study, the data mining procedures were divided into 5 stages such as ① problem definition → ② data processing → ③ modeling and evaluation → ④ application → ⑤ verification and feedback, and each stage for the monitoring process of e-learning fraud was analyzed.
Based on this case study, the potential and implications of applying the general procedures of data mining to the audit and monitoring areas were presented.
4차 산업혁명의 도래는 다양한 영역에서 혁신을 가져오고 있다. 대표적인 혁신기술이 빅데이터 분석기술이다. 최근 감사 및 모니터링 기법에서도 빅데이터 기반의 분석은 선진감사기법의핵심으로 등장하였다. 빅데이터 기반의 데이터마이닝 기법을 통한 감사와 모니터링은 비용절감과 예방적 시스템 구축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하지만 감사현장에서 사례 및 방법론, 전문성 부족으로 이러한 기법의 활용은 여전히 미흡한 실정이다.
이러한 현실에서 본 연구는 데이터마이닝 절차 및 방법에 관한 선행연구를 종합하고, 이를 기반으로 정부지원금에 의해 실시되는 직업능력개발 원격훈련에 대한 부정행위 모니터링 운영 사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데이터마이닝 절차를 총 5단계, ①문제정의→②데이터처리→ ③모델링/평가→④적용→⑤검증/피드백으로 구분ᆞ정의하고 원격훈련 부정행위 모니터링 프로세스를 단계별로 분석하였다. 이러한 사례분석을 통해 데이터마이닝 일반적 절차의 감사 및 모니터링 적용 가능성,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