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향수(鄕愁)의 관광자원화와 마을의 박물관화 -경북 군위군 ‘화본마을’을 대상으로- = The Utilization of Nostalgia as Tourism Resources and the Museumization of Village -An Ethnographic Study of the Hwabon Village in Gunwi-gun, Gyeonsanbuk-do-
저자
문효진 (안동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31-63(33쪽)
제공처
경상북도 군위군에 소재한 ‘화본마을’은 ‘푸근하고 정겨운 어릴 적 고향마을’, ‘추억과 낭만이 오롯이 남아있는 곳’으로 표현되는 관광 마을이다. 이 글은 화본마을이 근대에 대한 향수 감정을 활용하여 마을 공간을 재구성하는 과정에 주목한다. 특히 관광화의 중추에 존재하는 향수 이미지의 형성 경로에 초점을 맞춘다. 화본마을은 본래 고령화와 인구감소 등으로 사회ㆍ문화적 활력을 잃은 농촌이었다. 그러나 지역 활성화의 필요성을 절감한 주민의 실천을 토대로 간이역과 급수탑, 폐교, 관사 건물, 생활 물품 등의 근대적 문화자원들을 재해석했다. 주민들의 물리적 시선 속에 있으면서도 특별한 의미나 상징으로 인식되지 않았던 것들을 선별적으로 해석하고 강조하여 의미를 덧칠하게 된 것이다.
마을 공간은 주민의 실천을 시작으로 지자체의 협력과 미디어의 주목, 관광객의 방문을 통해 ‘가족’과 ‘고향’, ‘추억’의 세 키워드가 맞물리는 장소로 연출되었다. 향수 이미지에 적합한 것만을 선택하여 보존하고, 재구성하고, 이상화하여 “변하지 않는 꿈속의 이미지”로 조성했다. 화본마을의 변화는 디즈니화의 한 형태인 ‘박물관화’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전형적인 농촌이었던 화본마을은 과거를 이상향으로 상상하고 그에 대한 향수를 불러일으키는 장소로 변화되었다. 근대의 문화적 잔존물을 전시하는 박물관과 유사한 장소로 관광객들에 의해 소비되는 것이다.
화본마을은 주민들의 자율적 의지와 실천을 통해 관광지화한 장소이자 근대에 대한 현대인의 향수적 욕망과 그에 대한 사회적 흐름을 읽을 수 있는 대상이다. 관광자원화 과정에서 주민 일상의 한 부분이었던 것들을 재발견하고 평범한 일상에 새로운 가치와 의미가 부여되었다. 한편으로 화본마을의 이러한 매력에 이끌린 관광객들의 등장은 주민들의 인식에 파장을 불러일으켰다. 주민들의 자율적 의지로 관광지화하여 쇠퇴하던 마을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었다는 점에서 화본마을의 관광지화는 사회ㆍ문화적으로 긍정적인 문화적 함의를 지닐 수 있다.
‘Hwabon Village’ located in Gunwi-gun of Gyeongsangbuk-do is a tourist village expressed as ‘a warm and friendly childhood hometown village’ or ‘a place where memories and romance remain. This study focuses on the process of reorganizing the space of Hwabon Village by exciting nostalgia for modern times. Particularly, it focuses on the path of forming nostalgic image existing in the center of tourism. Hwabon Village was originally a rural village that had lost social and cultural vitality due to aging and population decline. Based on the practice of the residents who were keenly aware of the need for regional revitalization, however, modern cultural resources such as simple stations, water towers, closed schools, government buildings, and household goods came to be reinterpreted. The things that were in the physical gaze of the residents but not recognized as any special meanings or symbols came to be reinterpreted and highlighted selectively and have new meanings.
With the practice of the residents as a start and then cooperation from local governments, media attention, and tourists’ visits, the space of the village came to be created as a place where the three keywords of “family”, “hometown”, and “memory” are mingled. “The image in a dream that never changes” was formed by selecting, preserving, reconstructing, and idealizing only those suitable for the nostalgic image. The change in Hwabon Village can be seen as ‘museumization’, a special form of Disneyfication. Hwabon Village that was once a typical rural village has been transformed into a museum-like place that allows people to recall the past as a utopia, evokes nostalgia for that past, and displays modern cultural remains. And it is being consumed by tourists.
Hwabon Village is a place that has become a tourist destination through the autonomous will and practice of residents and is an object with which we can grasp contemporaries’ nostalgic desire for modern times and such social trends. In the process of discovering the things that were just ordinary to the residents as something new and rendering them into tourism resources, new value and meaning were given to their ordinary lives. The appearance of tourists visiting Hwabon Village to excite nostalgia and recall the memories of the past being fascinated by the image of reminiscence caused a stir in the residents’ perceptions. The tourist spot of Hwabon Village has positive social and cultural implications in that as it is a tourist destination formed by the autonomous will of the residents, it did inject new vitality into the declining village.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