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하위징아의 놀이이론 관점에서 분석한 조선시대 사대부의 투호 = A Study on literati’s Tuho in the Joseon Dynasty Analyzed from the Perspective of Huizinga’s Theory of Play
저자
남현지 (고려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9-30(22쪽)
제공처
조선시대의 투호를 하위징아의 놀이 이론의 관점에서 살펴보는 본 연구에서는 사대부들이 즐기던 놀이의 본질적 속성이 무엇이었는지 논의하였다. 투호는 왕실에서 시작되어 사대부로 전해진 신체 놀이인데 투호를 통하여 신체를 단련하며 사람들과의 친목을 유지하고 또한 왕실에서는 이를 정사의 연장선상에서 활용하기도 하였다. 투호는 신체 활동과 더불어 시문을 짓기도 하였는데 투호아집도에 잘 드러난다. 참가자들은 예를 지키며 시문을 나누며 자신들의 여가 시간을 의미 있게 보내는 모습을 보였다. 이러한 모습은 여가 시간을 잘 활용하던 그리스 귀족의 디아고게의 모습과 닮아있으며 시문으로 놀이를 진행하는 방식 또한 음유시인 바테스의 모습과 빗대어 볼 수 있다. 사대부는 하위징아가 말하는 시간을 ‘잘’ 보내는 방식에 대한 연구를 게을리하지 않았다. 벼슬에서 내려 온 후, 귀양을 간 후, 벼슬을 하는 동안의 시간을 투호를 하였으며 시문을 짓거나 야외에 나가는 등 그 모습은 변하였지만 놀이를 즐기는 사대부는 줄어들지 않았다.
하위징아는 놀이가 ‘무엇’을 하느냐가 아닌 무엇이든 ‘노는’ 그 자체라고 말하였다. 놀이하는 인간인 호모루덴스는 삶의 가치를 노동에 두지 않고 놀이나 여가활동에 관심을 기울인다. 하위징아는 삶을 놀이처럼 살아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유희의 본질과 의미를 문화현상으로 파악하였다. 따라서 한 사회를 이해하는 데에 놀이를 분석하는 것은 그 시대와 사회의 문화 전체를 이해하는 것과 같은 의미를 지닌다고 역설한다. 현대를 살아가는 이들은 노동에서 자유로운 그리스의 귀족 혹은 조선 시대 사대부와는 다른 환경에 놓여 있지만 기술의 발달에 많은 부분을 양보한 현대 사회에서 ‘놀이’를 제대로 즐기고 있는지, 놀이를 제대로 하기 위해서 어떠한 인식의 전환이 필요한지는 연구자들에게 던져진 질문이다.
Examining the play and leisure activities of the Joseon Dynasty from the perspective of Huizinga’s theory of play, this study discusses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games enjoyed by the people of the time. The play of the Joseon Dynasty’s royal court and literati readily exhibits features of Huizinga’s play theory. Specifically, the leisure activities of the literati exemplified Homo Ludens, engaging in play not for profit but for honor, a key aspect of their recreation. Huizinga asserted that play should not yield economic profit and that any rewards should symbolize honor rather than financial gain, which would otherwise compromise the purity of play.
Tuho, a physical game originating from the royal court and passed down to the literati, was not only a means of physical training and fostering camaraderie but also a way for the royal court to extend its formal activities. Unique to Korea and distinct from Chinese practices, Tuho also involved composing poetry alongside the physical activity. Participants maintained decorum, exchanged poems, and meaningfully engaged during their leisure, reminiscent of the Greek nobility’s Diagoge, adept at utilizing leisure time. This method of integrating poetry with play also parallels the tradition of Bardic poets like Barthes. The literati did not neglect the study of Huizinga’s notions of ‘well’ spent time. Whether retired from official duties, in exile, or during their tenure, they engaged in Tuho and composed poetry, changing in form but never diminishing in their enjoyment of play.
Huizinga posited that play is not about ‘what’ one does, but rather the act of ‘playing’ itself, regardless of the activity. He introduced the concept of Homo Ludens, or ‘playing human,’ who does not anchor life’s value in labor but instead focuses on play and leisure activities. Huizinga argued that life should be lived in the spirit of play, interpreting the essence and meaning of play as a cultural phenomenon. Therefore, he articulated that analyzing play within a society is tantamount to understanding the entire culture of that era and society. In the play of the literati classes during the Joseon Dynasty, one can readily observe the characteristics of Huizinga’s theory of play. This calls for a reconsideration of how the literati of the Joseon Dynasty lived and played, questioning whether modern individuals, amidst technological advancements and different social conditions, are truly enjoying ‘play’ or if a shift in perception is necessary to appreciate and engage in play properly. This question is particularly poignant in contemporary society, where the essence of ‘play’ might be compromised by the demands of labor and economic pursuits.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