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서울 백련사의 신중신앙과 불화제작 양상 = The Belief in Guardian Deities and the Aspects of Buddhist Painting Production at Baekryeonsa Temple in Seoul
저자
김현중 (전남대학교 동아시아연구소)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5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05-133(29쪽)
제공처
본고는 백련사에 봉안된 <조왕도> 두 점과 대방 <제석천도>를 중심으로, 조선 말기 신중신앙의 전개 양상과 왕실 관련 불화의 도상적 특징을 고찰한 것이다. 부뚜막 신으로 수명을 관장하는조왕신은 사명신적 성격을 지니며, 백련사 <조왕도>는 과록과 오행통 등 지물을 통해 이러한 역할을 시각화하였다. 특히 공양간 <조왕도>는 비록 화기가 없으나 방제와 경책의 기입을 통해 1899년순헌황귀비가 귀인이었던 시기에 제작된 작품임이 확인된다. 약사전에 봉안된 <조왕도>는 「축상작법절차」에 근거해, 실질적 왕비 역할을 수행한 엄귀인의 장수를 기원하기 위해 조성된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백련사 <조왕도>를 비롯한 20세기 초 왕실 발원 조왕도에는 공통적으로 관우 도상의 영향 아래 장수형 조왕신 도상이 표현되었음이 확인된다. 한편 1907년에 제작된 백련사 대방 <제석천도>는 제석천이 왕실을 수호하는 천신으로 인식되던 전통을 반영하며, 화풍 및 도상 분석을 통해 혜고봉감의 작품으로 추정된다. 이 불화에서는 일월오봉도의 상징성이 강하게 나타나는데, 제석천과 일월천자, 두 천자가 구성하는 오존 구도와 수대의 표현, 병풍의 수목 배치 등에서 시각적유사성이 뚜렷하다. 이러한 도상의 차용은 제석천에게 대한제국 황제 고종의 안녕과 가호를 기원하고자 했던 당시 시대적 상황과 왕실의 정치적 염원을 반영한 것으로 해석된다.
This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royal patronage and iconography in late Joseon Buddhist paintings, focusing on two Jowangdo (Paintings of the Kitchen God) enshrined at Baekryeonsa Temple and the Jeseokdo (Painting of Indra) housed in the temple’s Daebang (Great Hall). Jowang, the deity of the hearth, functions as a Samyeong-shin (liferegulating spirit), a role that is visually represented by ritual implements such as the Gwaryok (record book of sins) and the Ohaengtong (container holding branches symbolizing the Five Elements). The Jowangdo in the offering hall, though lacking a hwagi (inscription), includes dedicatory texts that confirm it was produced in 1899, during the period when Lady Eom (later Sunheon Hwanggwibi) held the royal title of Gwiin. The Jowangdo in the Yaksa-jeon (Medicine Buddha Hall) is interpreted as having been created to pray for her longevity, based on the ritual structure of the Chuksangjakbeopjeolcha(ritual for blessing the royal family), which pairs Bhaisajyaguru with the queen.
Royally commissioned Jowangdo paintings from the early 20th century commonly depict the Kitchen God in the form of a military general. Though the reason for this visual preference remains unclear, iconographic analysis suggests influence from the image of Guan Yu, a figure widely venerated through the 19th-century Gwanseong Jegun (Holy Emperor Lord Guan) cult. In parallel, the Jeseokdo produced in 1907 at Baekryeonsa reflects the longstanding conception of Indra as a celestial protector of royal authority. Stylistic comparison indicates that this painting was created by the monk-painter Bonggam(奉鑑), who had previously worked on similar themes. Unlike earlier examples, the Baekryeonsa version emphasizes symbolic elements from the Ilwolobongdo (Sun-Moon-Five Peaks Painting), a visual motif representing royal sovereignty. The composition—featuring Indra, the Sun and Moon deities, and two additional celestial attendants—forms a five-figure structure reminiscent of the five mountain peaks, while details such as flowing sashes, ornamental motifs, and flanking trees further reinforce this association. The deliberate inclusion of Ilwolobongdo symbolism in the Jeseokdo may be understood as a visual invocation of divine protection for Emperor Gojong during the final years of the Korean Empire.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