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서대문구 백련사 명부전 <十王圖> 연구 = A Study on the Buddhist Painting of the Ten Underworld Kings at Baengnyeonsa Temple, Seodaemun-gu, Seoul
저자
김형곤 (청람문화유산연구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5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35-175(41쪽)
제공처
서울 서대문구 백련사 명부전에 봉안된 <시왕도>는 조선 말기 백련사의 불교문화유산을 대표하는 우수한 작품이다. 백련사 <시왕도>는 과거에 도난과 회수의 과정을 거쳤으며 화폭을 재 표구한 이력으로 인해 화면 외곽과 화기가 손상되었으나, 19세기 후반 서울·경기지역에서 제작된 동일유형의 시왕도의 제작현황과 도상의 전승 과정을 면밀히 파악할 수 있는 불화이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 서대문구 백련사 명부전에 봉안된 <시왕도>의 화풍과 제작시기를 분석하고, 19세기 후반 서울·경기지역에서 새롭게 제작된 시왕도의 특징을 규명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그 결과, 백련사 <시왕도>의 제작 시기는 불화불사가 집중적으로 이루어진 1899년과 1911년사이일 것으로 추정되고, 시왕도의 한 폭인 <사자도>의 화승 斗欽의 행적과 화풍을 분석하여 제작 시기가 1911년에 근접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백련사 <시왕도>를 중심으로 약 30년간 수도권지역에서 공유한 시왕도의 화면 구성을 분석하여 선행 연구에서 제시된 의견과 달리 하나의 동일초본이 확산된 것이 아니라 복수의 초본이 존재했을 가능성을 제시했고 화면 구성의 변용과 재구성의 과정을 구체적으로 언급했다. 새로운 유형의 불화를 실질적으로 제작하는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 것은 화승들의 역량이었으나, 이들은 기존 불화에서 볼 수 없는 현실과 가상의 ‘궁’ 및 ‘권위’와 관련된 구성 요소를 화면 상부에 적극 차용했다. 명부세계의 왕을 실존하는 궁궐의 月臺라는 요소를 통해 현실의 왕과 동일한 위계에 배치하는 새로운 화면 구성을 창안했다.
이러한 화면 구성의 등장은 현세에서의 복을 염원하고 공덕을 쌓아 극락으로 향하고자 하는 왕실과 권력자들의 강한 의지에서 비롯된 결과로 해석했다.
The Painting of the Ten Underworld Kings enshrined in Myeongbujeon Hall of Baengnyeonsa Temple at Seodaemun-gu in Seoul is considered an excellent and highly representative work of art of the Buddhist cultural heritage of Baengnyeonsa Temple that was produced toward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This Buddhist painting has previously been stolen, recovered, and then mounted again, causing damage to the edges of the painting and the framework. However, the painting shows both the status of production and the process of transmitting the iconography of the same type of paintings of the ten underworld kings produced in Seoul and Gyeonggi-do Province during the late nineteenth century.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painting style and production period of the Painting of the Ten Underworld Kings enshrined in Myeongbujeon Hall of Baengnyeonsa Temple an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other paintings of the ten underworld kings produced in the Seoul area and Gyeonggi-do Province in the late nineteenth century.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 that the painting was produced sometime between 1899 and 1911, when the production of Buddhist paintings, artworks, and structures enjoyed a kind of renaissance. In addition, the analysis of the activities and painting style of Duheum, the monk-painter of the Underworld Messengers, which is included in the Painting of Ten Underworld Kings, has led to the conclusion that the painting was most likely produced in 1911. Furthermore, by analyzing the composition of paintings of the Ten Underworld Kings shared in the capital region for about thirty years, based on Baengnyeonsa Temple’s Painting of the Ten Underworld Kings, this study suggests that multiple copies of the initial painting were circulated, rather than one identical copy, contrary to the opinions presented in previous studies, and it also specifically explains the process of transformation and reconstitution of the painting’s composition.
Although the most important role in the production of a new type of Buddhist painting was played by talented Buddhist monk-painters, they actively applied to the upper part of the canvas various elements related to the real and imaginary “palace” and “authority” previously unseen in existing Buddhist paintings. They created a new form of composition on the canvas of such paintings in which the king of the underworld was placed on the same level as the real king via the “stone platform” of a royal palace. The appearance of such a style of composition was interprete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of the royal family and those in power to wish for good fortune in this world and to practice good deeds in order to go to paradise.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