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에스라서, 느헤미야서 없이 가능한가?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5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75-101(27쪽)
KCI 피인용횟수
4
제공처
본 글은 에스라-느헤미야서의 ‘범위’를 둘러싼 논쟁을 다룬다. 50년 전 까지 역대기와 에스라-느헤미야서는 역대기 사가에 의해 집필된 한 권의 역사서로 간주되었다. 하지만 오랜 논쟁 결과 에스라-느헤미야서는 역대기와 무관하게 형성되었다는 의견이 현재 폭넓게 수용되고 있다. 일부 학자들은 에스라-느헤미야서 역시 에스라서와 느헤미야서 두 권으로 형성되었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본 연구는 에스라-느헤미야서는 애초부터 한권으로 집필되었다고 결론짓는다. 두 가지 이유 때문이다. 첫째는 에스라서가 없는 느헤미야서는 제대로 이해되지 않기 때문이고, 둘째는 느헤미야서 없는 에스라서 역시 제대로 이해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첫번째 이유는 다른 글에서 일부 다뤄졌기 때문에 본 글은 두 번째 이유를 좀더 상세히 다뤘는데, 내용을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⑴ 에스라는 7장에 처음 언급되는데 꽤 장황하게 소개된다. 하지만 에스라의 행적을 묘사하고 있는 에스라 8~10장을 보면 당혹스럽다. 거창한 소개에 비해 초라한 결말 때문이다. 개혁의 성공여부 역시 불분명하다. 하지만 뒤에 느헤미야서가 이어진다고 보면 이런 문제가 해소된다. 에스라의 역할과 활약이 느헤미야서 곳곳에 기록되어있기 때문이다(느 8~10장; 12:36).
⑵ 에스라에 대해 저자는 ‘제사장’과 ‘학자’로 소개한다(스 7:1-6). 에스라에 대한 이와 같은 이해는 아닥사스다의 조서에도 드러나있다(스 7:12, 25). ‘제사장’으로서 에스라의 역할은 잘 기록되어있다. 곧 아닥사스다가 보낸 예물을 예루살렘 성전에 안전하게 전달하고(스 8:24-34) 통혼문제를 처리하려고 노력한다(스 10:10, 16). 하지만 ‘학자’로서의 에스라의 행적은 에스라서에 전혀 언급이 없어 뭔가 빠진 느낌을 지울 수 없다. 반면 ‘학자’로서의 대활약을 보여주는 느헤미야서가 에스라서에 이어지는 책으로 본다면 이런 난점은 피할 수 있다.
⑶ 에스라 9장 9절에 의하면, 에스라가 하나님께서 베푸신 은총을 열거하는데 예루살렘 성벽 중건도 포함되어있다. 하지만 본문의 맥락을 고려해 보면 이것은 이해하기 어렵다. 느헤미야는 에스라보다 13년 후에 예루살렘 왔고, 에스라서에 느헤미야는 언급조차 없기 때문이다. 이런 난점 역시 에스라서와 느헤미야서가 본래 한 권으로 집필됐다고 보면 해결된다.
⑷ 마지막으로, 에스라는 아닥사스다 조서에 따라 레위인들을 힘들게 모집하여 함께 예루살렘에 오게 된다(스 8장). 하지만 그 이후 에스라의 행적을 기록한 에스라 9~10장에는 이 레위인들의 역할에 대한 보도가 거의 없어 이들을 애써 모집했음을 상세히 기록한 이유가 무색케 된다. 하지만 느헤미야서를 에스라서와 함께 읽으면 상황이 달라진다. 레위인들의 긍정적인 역할이 느헤미야서 곳곳에 언급되어있기 때문이다(가령 느 8:7; 9:5;10:12; 12:8, 24 등).
이런 점들을 고려해볼 때 에스라-느헤미야서는 한 권의 책으로 형성되었다고 결론지을 수 있으며, 이 결론 위에 에스라-느헤미야서에 대한 다른 주제들을 연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work begins with a question: “Is the book of Ezra to be read without that of Nehemiah?” and investigates to answer “No”. In order to reach this conclusion, several arguments are put forward here, as follows: (1) Ezra appears with a lengthy introduction(Ezr 7:1-10), which makes readers expect his vigorous activity. The following accounts, however, appear unbefitting of the mission given to him. Furthermore, it is doubted whether his reformation was successful. This impasse, however, is broken when reading Ezra and Nehemiah together as one single book, since Ezra’s remarkable works are narrated in the book of Nehemiah; (2) Ezra is called “priest” and “scribe”. The accounts following in Ezra depict him only as priest, however. Ezra as scribe is not described until Neh 8, which indicates necessity of reading the books together; (3) Ezr 9:9 is understood only supposing that Ezra knew the rebuilding of Jerusalem in the book of Nehemiah; (4) lastly, it is surprising that the roles of the Levites, whom Ezra strived to recruit, are rarely mentioned in the accounts for Ezra’s mission. It is not surprising, however, if we consider Ezra and Nehemiah as one book. The latter shows the brilliant work of the Levites for the society in Jerusalem. These arguments display that Ezra is not to be effectively read without Nehemiah. We are now in a position to conclude that Ezra and Nehemiah were originally composed as one work.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6-01-01 | 평가 | 신청제한 (등재후보2차)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35 | 1.35 | 1.1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1 | 0.96 | 1.006 | 0.26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