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사의 전문성 계발 활동이 교사 및 학생에게 미치는 효과 분석 : 교사효능감, 학업성취도, 그리고 학생의 교사 전문성 인식을 중심으로
저자
발행사항
서울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6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2016. 2. 졸업
발행연도
2016
작성언어
한국어
DDC
300
발행국(도시)
서울
기타서명
An Analysis of the Effect of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on Teacher and Student : Focused on Teacher Efficacy, Achievement, and Student's Perception of Teacher Professionalism
형태사항
viii, 100 p.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한유경
참고문헌: p. 88-96
소장기관
현직 교사의 능력 향상을 위해서는 입직 이후 지속적인 교사의 전문성 계발 노력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OECD의 2004년 교원 관련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 교사의 전문성 계발 활동 참여 비율이 최하위 수준이라는 결과가 드러났다. 이에 따라 현직 교사의 전문성 계발 노력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게 되었고 최근 교사의 질을 제고하기 위한 노력이 다방면에서 이루어져 전문성 계발 활동이 양적으로 급격히 확대되었다. 다양한 전문성 계발 활동들이 점차 늘어나고 있으나 이 활동들의 효과를 동시에 비교·분석한 연구는 많지 않다. 이에 본 연구는 급증하는 전문성 계발 활동에 대해 체계적인 효과 검증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문제의식으로부터 출발하였으며, 다양한 유형의 전문성 계발 활동이 교사 및 학생에게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선행연구들을 종합하여 본 연구에서는 교사의 전문성 계발 활동을 외부기관 중심 연수, 단위학교 차원의 교내자율장학, 그리고 동료교사와의 협력활동을 아우르는 개념으로 설정하였다. 기존에 전문성 계발 활동의 효과를 입증하고자 했던 연구 결과를 보면, 교사에게 미친 영향은 교과 내용에 대한 지식 및 교수능력뿐만 아니라 교사로서의 자신감 및 신념까지 그 영역이 광범위하게 나타난다. 이 중에서도 특히 교사의 내적 변화에 관심을 둔 학자들이 공통적으로 다루고 있는 교사효능감은 단순히 일시적으로 획득할 수 있는 지식의 차원을 넘어 자신의 전문성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는 교사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또한 학생에게 미치는 효과로는 대다수의 연구들이 학업성취도를 설정하고 있다. 그러나 학업성취도만을 교사의 전문성 신장 활동에 따른 직접적인 효과라고 규정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교사의 전문성 계발 활동이 학생들에게 미치는 효과를 밝히는 데 있어서 학생의 학업성취도와 더불어 교사 전문성에 대한 학생의 인식을 종속변인으로 설정하였다.
이에 따라 연구에서는 다음의 세 가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학교급에 따라 교사의 전문성 계발 활동에 차이가 있는가? 둘째, 교사의 전문성 계발 활동이 교사효능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교사의 전문성 계발 활동이 학생의 학업성취도 및 교사 전문성 인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 문제 분석을 위한 자료는 경기도교육연구원에서 제공하는 경기교육종단연구(GEPS) 자료를 활용하였다. 전문성 계발 활동이 교사에게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초등학교 교사 361명, 중학교 교사 520명, 고등학교 교사 804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학생에게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는 데 있어서 초등학교 교사 268명 및 학생 2,272명을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분석 방법으로는 F 검정,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급에 따라 교사들의 전문성 계발 활동 참여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성 계발 활동의 유형별로 정리하면, 수업전문성관련 연수의 경우 초등학교 교사들의 참여가 가장 많았으며 학교급이 높아질수록 참여 수준이 낮아졌다. 생활지도 및 상담관련 연수에서는 초등학교와 고등학교 교사 집단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고 초등학교 교사가 더 활발한 참여를 보였다. 또한 교내자율장학 활동에서는 고등학교 교사보다 초·중학교 교사가 활동에 참여하는 시간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의 전문성 계발 활동이 교사효능감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초·중·고등학교 학교급별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활동 유형이 서로 다르게 나타났다. 전체 교사를 대상으로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교사효능감 변화에 대한 학교 및 교사배경변인과 교사의 전문성 계발 활동변인의 설명력은 약15%였다. 특히 교사의 전문성 계발 활동들 가운데 수업전문성관련 연수, 생활지도 및 상담관련 연수, 교내자율장학, 동료교사와의 협력이 교사효능감을 높이는데 유의미한 긍정적 영향을 나타냈다. 각 학교급별로 통계적 유의성이 나타난 전문성 계발 활동의 유형에 차이가 있었는데, 초등학교는 교내자율장학과 동료교사와의 협력, 중학교는 생활지도 및 상담관련 연수와 동료교사와의 협력, 그리고 고등학교에서는 교내자율장학과 동료교사와의 협력 활동이 유의미한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의 전문성 계발 활동 참여 수준에 따른 학생차원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먼저 학업성취도의 경우 학생배경변인과 학생과정변인 모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교변인 중에서는 학교 위치, 교사변인 중에서는 유일하게 수업전문성관련 연수에 참여한 시간이 통계적 유의성을 가졌다. 한편 학생이 인식하는 교사의 전문성과 관련하여서는 학생의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교우관계가 좋을수록, 부모가 관심적인 양육태도를 가질수록, 사교육에 참여하지 않는 학생일수록 교사 전문성에 대한 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밝혀졌다. 그리고 교사변인 중 성별, 교직경력, 교사효능감이, 전문성 계발 활동변인 중 생활지도 및 상담관련 연수, 동료교사와의 협력 활동이 유의미한 영향력을 드러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교사 전문성 계발 활동의 발전과제를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효능감 향상을 위해 교육 활동과 관련된 다양한 전문성 계발 활동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학교 현장의 교육 활동과 직접적으로 관련되는 연수, 교내자율장학, 동료교사 간 협력 기회를 충분히 마련하고 활동의 질을 높여 교사효능감에 긍정적인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할 것이다. 둘째, 초·중·고등학교에 따라 가장 적합하고 효과적인 교사 전문성 계발 활동을 개발하는 데 힘써야 한다. 본 연구에서 입증되었듯이 초·중·고등학교에 따라 교사효능감에 높은 영향력을 미치는 활동이 상이하다. 따라서 학교급간 특성을 반영하고 교육 현장에 적합성을 높여 교사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연수 체계를 마련하는 노력이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학생배경변인으로 인한 학생의 학업성취도 격차를 줄이는 방안으로서 교사의 수업전문성 향상을 위한 전문성 계발 활동이 개발될 필요가 있다. 교사의 수업전문성관련 연수 참여 시간은 교사변인 중 유일하게 학생의 학업성취도에 정적 영향을 미친 변인으로, 교사의 수업전문성 계발 노력이 학생의 학업성취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입증한다. 따라서 향후 교원 연수 정책 수립에 있어서 학생의 학업 성과를 높이기 위한 수업 전문성 제고 방안에 대한 탐색이 요구된다. 넷째, 동료교사들 간에 교수학습활동 및 학생에 대한 고민을 상호교류하고 협력적 대화를 전개할 수 있는 개방적인 학교 문화가 조성되어야 한다. 교사 간 협력적인 문화는 교사에게뿐 아니라 학생이 인식하는 교사 전문성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미친다. 그렇기에 교사들 간 서로 배우며 상호작용하는 학교 문화는 공교육 교사의 전문성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되리라 예측한다.
The continuing professional development is necessary for teachers to improve their quality. However according to the TALIS(Teaching and Learning International Survey), Korea teacher's participation rates of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are lowest level. So, the concern about teacher's quality was increased and it has led to significant increase in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s. Despite the ever-increasing number of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relatively few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 of such activities for teacher and student.
In this study,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are defined as the training, school based autonomous supervision, and cooperation between teachers. Until now, previous studies reported that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affect not only teacher's knowledge and skills about teaching but also teacher's educational belief and view. Especially, teacher efficacy is very important because it shows the growth potential of teacher. In addition, the majority of researches on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effect on student are focus on the student's achievement. However, in this study, student's perception of the teacher professionalism was set as dependent variables in order to determine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s directly effect to stud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on teacher efficacy, achievement and perception of the level of teacher professionalism. Achieving this goal, this study set up the following 3 research questions. First, do the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differ by school level? Second, do the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significantly affect teacher efficacy? Third, do the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significantly affect student's achievement and perception of teacher professionalism?
For the analysis, this study used Gyeonggi Education Panel Study's (GEPS) 2012 data. The subjects for analyzing the effect on teacher efficacy are 316 elementary school teachers, 520 middle school teachers, and 804 high school teachers, also for analyzing the effect on students are 268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2,272 students. The methods of analysis are composed of F-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The key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vel of teacher's participating in some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according to the school level. In case of the teacher training for teaching professionalism, teacher's participation in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is shown to get lower as school level goes up. And, in the training related to the guidance and counsel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training hours are more than high school teachers. Lastly, teacher's participating in the school based supervision at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are more than those at high schools.
Second,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have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the teacher efficacy and the meaningful variables among these activities have different size of effect associated with school level. The results from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total variance of the regression model explained about 21.1% of teacher efficacy. In particular, this study examined the impact of the following variable factors; teacher training for the teaching professionalism, teacher training for guidance and counseling, school based supervision, and collaboration between teachers. According to the each school level, school based supervision and cooperation between teachers are statistically related to the elementary and high school teacher efficacy, and then, teacher training for guidance and counseling and collaboration with teachers showed positive effect on middle school teachers.
Third, the result of the study showed that teacher's participating level of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have influence on students. Regarding individual characteristic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 student achievement. Additional, the location of schools and participating hours of training program about teaching professionalism, which is only meaningful variables among teacher factors,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student achievement. As a result related to the student's perception of teacher professionalism, positive self-esteem, good relationship with friends and parents' supervisory rearing attitude show a positive effect to the dependent variable, and student's experience of private tutoring have a negative affect on it. Regarding teacher factors, there are significantly influence on the students' perception of the level of teacher professionalism depending on the teacher's gender, teaching experience, efficacy, teacher training for guidance and counseling, and collaboration with teachers.
These results suggested several implications as followed.
First, in order to improve teacher efficacy, it is necessary to enhance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directly related to educational activities.
Second, according to the school level, the most effective and appropriate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need to be developed.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school level and increasing the suitability of education environment condition provide more practical help for teachers and be necessary for improving teacher efficacy.
Third,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related to the teachers' teaching professionalism in order to narrow the gap between students achievement.
Lastly, the collaborative school culture that makes teachers can share their concerns and converse with each other needs to be established. Moreover collaboration and connection between teachers may help to reduce the distrust of public education's teacher professionalism.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