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한국병합 전후 일본 지식인의 만한경영에 대한 인식 : 관련 잡지의 논설을 중심으로 = Japanese Intellects’ Recognition on Manchuria-Korea Management before and after the Annexation of Korea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한국 근현대사 연구(Journal of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7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25-153(29쪽)
KCI 피인용횟수
1
제공처
소장기관
There existed various discourses about Japanese intellects’ recognition on Manchuria-Korea management from around the Russo-Japanese War up to the outbreak of the 1st World War in the 1910’s. Through research on those discourses, this author examines not only the Japanese government but the private sector’s aspiration over the advancement into Chosun and also the continent. Since they had experience as a consulate or student overseas, they had keen interest in ‘Manchuria-Korea’, and they were political, too, as they were previously a member of the House of Representatives as well. First of all, before the analysis, focusing on Manchuria-Korea management emerging after the victory of the Russo-Japanese War, this researcher has studied how the Exchange between Manchuria and Korea appeared before the Russo-Japanese War as history prior to it. Before the Russo-Japanese War, in Japan, there were discourses actively expressed around the Exchange between Manchuria and Korea while they were alert about Russia. Within the atmosphere that the Exchange between Manchuria and Korea was regarded as ‘the enemy of the state’, discourse about the possible outbreak of the Russo-Japanese War was popularly presented, and instead of the Exchange between Manchuria and Korea, discourse about England-Japan alliance was being established while the Japanese government carried out the Russo-Japanese Wars decisively.
Controversies around the Exchange between Manchuria and Korea did imply “the intention to withdraw Russian troops from Manchuria and conquer Chosun” after all. Next, after the Russo-Japanese War, discourse about Manchuria-Korea management developed into one that insisted on the necessity of immigration into Chosun and management over Manchuria as part of colonizing Chosun.
After the Annexation of Chosun, in Japan, they stressed the necessity of management over management along with immigration into Chosun in order to advance into the continent and resolve shortage of food attributed to the increase of population in Japan. Immigration into Chosun was sought as a means to develop and manage Chosun, and to realize that, they deemed it would be crucial to promote research on the state of Chosun, implantation of native farmers into Chosun, and exploitation over colonization projects by the private sector. Concerning the attraction of immigrants, there were a lot of discussions and criticisms over governor Derauchi’s immigration policy. Regarding Japan’s management over Manchuria, they pointed out such problems as failure in the Dongcheock project, lost fever on immigration into Manchuria, and pessimism about immigration into Manchuria; however, mostly, they thought it was important to expand the Japanese Empire. They did support Manchuria-Korea immigration and management like that because they intended to justify their invasive policy to secure the grounds for the fact that the Japanese Empire was trying to build up practical control over Chosun and Manchuria.
러일전쟁 전후부터 1910년대의 제1차 세계대전 발발 이전까지 일본 지식인의 만한경영 인식에 대해 다양한 담론이 등장하였다. 이 담론 연구를 통해 일본정부만이 아니라 민간에서의 조선 진출 및 대륙 진출에 대한 열망을 살펴보았다. 이들은 해외 유학 혹은 해외 영사관 부임 경험이 있으므로 ‘만한’에 대한 관심이 높았으며 중의원의원 경험이 있는 등 정치성을 띠고 있었다. 먼저 러일전쟁 승리 후에 등장하는 만한경영론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하기 전에 그 前史로서 러일전쟁 이전 만한교환론이 등장하는 과정부터 살펴보았다. 일본에서는 러일전쟁 이전에는 러시아를 경계하면서 만한교환론을 중심으로 활발한 담론이 개진되었다. 만한교환론이 ‘國賊’으로 간주되는 분위기에서 러일개전론이 유행하고 만한교환론 대신에 영일동맹론이 성립되면서 일본정부는 러일전쟁을 단행했다.
만한교환에 대한 논란은 결국 “러시아를 만주에서 철병시키고 조선 점령을 준비하자”는 의도를 내포한 것이다. 다음 러일전쟁 이후에는 만한경영론이 조선을 식민지로 만들기 위한 일환의 하나로 조선이주와 만주경영의 필요성을 주장하는 담론으로 발전했다.
일본에서는 조선을 강점한 이후에 일본의 인구증가에 따른 식량부족과 대륙진출을 위해 조선이주와 함께 만주경영의 필요성이 강조되었다. 조선이주는 조선을 개발 경영하기 위한 방편에서 모색되었으며 이를 위해 조선사정 연구, 모국농민의 조선이식, 민간에 의한 식민사업 개척을 추진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보았다. 아울러 이주민을 유인하는 방법에 대한 다양한 논의와 데라우치 총독의 이주정책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었다. 일본의 만주경영에 대해서는 동척 사업이 실패한 점, 만주이주 열기가 식은 점, 만주이주를 비관적으로 보는 점 등을 지적하고 있으나 대체로 일본제국의 팽창을 위해 중요하다는 인식이다. 이렇게 만한이주 및 경영을 내세운 것은 일제가 조선과 만주에 실질적 지배를 구축할 수 있는 기반을 확보하기 위한 침략정책의 방편이었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6 | 0.66 | 0.7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5 | 0.62 | 1.675 | 0.11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