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청각장애유아와 건청유아 어머니의 유아용 그림 동화책 개발에 대한 요구도 비교 = The Comparison on Needs between Mothers of Young Deaf Children and Young Normal Children to Develop Story Books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1
작성언어
Korean
KDC
379.000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71-97(27쪽)
제공처
소장기관
영유아기의 그림 동화책 활용은 문해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또한 그림 동화책은 부모와 유아가 함께 상호작용할 수 있는 교육적 매체이다. 청각장애유아의 문해능력 향상을 위한 조기교육 매체로 그림 동화책이 부모와 함께 활용되어야 하므로, 본 연구에서는 청각장애유아 어머니 286명과 건청유아 어머니 376명을 대상으로 청각장애유아용 그림 동화책 개발을 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청각장애와 건청유아의 어머니는 자신의 유아에게 그림 동화책을 읽어주는 목적 등과 같은 실태에서 차이가 나타났으며, 또한 개발하고자 하는 그림 동화책의 내용, 형식, 그리고 주제 등에서도 차이가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그림 동화책의 활용에 있어서 청각장애유아의 어머니는 건청유아의 어머니와는 다른 요구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청각장애유아용 그림 동화책은 일반유아와는 달리 정서적 안정과 도덕성 발달 등과 같은 일반적인 목적과 함께 언어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그림 동화책이 개발되어야 함을 시사점으로 제시하였다.
The benefits of story books for young children may focused into effective basic literacy and stabl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develop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needs between the mothers for the young deaf children and the young normal children to develop story books. There are many story books for normal young children, however, there is not any story books for the young deaf children in South Korea. Two hundred and eighty six mothers for the young deaf children and mothers for young normal children participated for this study. Two-way ANOVA and Chi-square were utilized to analyze the situation, needs, and contents of story books based on two variables such as different school levels such as deaf and normal, and experiences of participation at the early education environm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followed. (a) The two groups such as the mothers between young deaf children and young normal children indicated different situation to use the story books. (b) Even though the two group mothers had different attitudes toward development of the story books, the two group mothers presented high needs to develop the story books for young deaf children or young normal children. And, (c) the viewpoints such as forms, contents, arranging ages, and etc were suggested different attitudes between the tow groups mothers.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