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죽음 사진과 공감애 : 윤리적 행동을 위한 토대로서의 공감애에 대한 고찰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1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5-34(30쪽)
KCI 피인용횟수
0
제공처
소장기관
이 논문은 죽음 사진이 유발하는 공감애가 윤리적 행동을 위한 토대가 될 수 있는지를 논의하기 위한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공감애는 타인이 고통을 당하는 것을 볼 때 전성찰적(pre-reflexive)으로 발생하는 감정으로 대상이나 사건에 대한 직관적 앎을 내포하고 있다는 점에서 완전히 우발적이고 무작위적인 불안정한 감정은 아니다. 직관적 앎은 삶의 경험을 통해 형성된다. 사회적 삶을 살지 않는 사람은 없다는 점에서 직관적 앎을 바탕으로 작동하는 공감애는 인간이 느끼는 보편적 감정이다. 그런데 공감애는 친숙한 공동체 구성원의 고통을 목격할 때 주로 발생한다는 점에서 특수한 감정이기도 하다. 공동체 안에서 작동하는 공감애를 생명체 일반에 대해 느끼는 공감애로 확장시키기 위해서는 삶의 다양한 경험들을 통해 직관적 앎을 넓혀가는 것이 필요하다. 죽음 사진이 유발하는 공감애는 우리가 공감애를 느낄 수 있는 타인의 범위를 계속 확장함으로써 궁극적으로 모든 생명체를 위한 도덕적 행동이 만들어지는 토대 역할을 할 수 있다. 문제에 대한 이성적 성찰은 기존 담론의 틀 안에서 작동하는 경향이 있는 반면에, 공감애와 같은 정서적 충격은 그 틀을 벗어나게 만드는 힘으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더보기The aim of this study is to show how compassion aroused by a photo of suffering can function as an ethical foundation for political action. Compassion is a pre-reflective emotion that occurs when you see another person in pain. It is not a completely random and unstable emotion, because it contains an intuitive knowledge of an object or an event. Intuitive knowledge is not made by rational thinking, but by the experiences we gain in our lives. Compassion created from life experiences is a universal emotion that can be found in all human lives. However, compassion is also an emotion that arises when an individual witnesses the suffering of others. Compassion for an individual’s suffering can be extended to universal compassion by accepting others as equal human beings. Images that directly show the suffering of others play an important role in creating compassion for others. Some say that you have to interpret and understand the pain of others through reason in order to be able to act in an appropriate political manner. But it risks depriving people of compassion, which leads to the removal of the ethical and political power of photography of suffering.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6-07-19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언론과 사회외국어명 : 미등록 | KCI등재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0-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28 | 1.28 | 1.1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19 | 1.23 | 1.797 | 0.68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