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후보
OpenAccess변강쇠가의 여주인공 옹녀의 삶과 왜곡된 성(sexuality) = The Life of Ongneo, the Heroine of Bungangse-ga and Distorting Sexuality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5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후보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91-216(26쪽)
KCI 피인용횟수
6
제공처
This thesis is focused on the life and the sexuality of Ongneo, the heroine of Bungangse-ga, which is one of the accounts that Shin, Jae-hyo puts in order. Other theses up to now have approached to Bungangse-ga by paying more attention to Gangse who is the hero. Even if the thesis is focused on Ongneo, it only highlights her life, but fails to explain actively the meaning of the sexuality of Ongneo. This thesis tries to find new meaning that Bungangse-ga has by putting emphasis on the life and the sexuality of Ongneo.
First, it clarifies the dual view of the narrator. The narrator turns sympathetic eye on her who lives a miserable life as a woman from the lower class in Cho- sun dynasty, while he dexterously enjoys her life by distorting and exaggerating the sexual aspect of it in an obscene view.
It is caused by the narrator's masculine view, which defines the countless marriage for the purpose of survival as a 'lewd woman' by the standard of male-centered social system in Cho-sun dynasty. If we see her without such a dual view, she is the stereotype of the female from the lower class in Cho-sun dynasty.
She endures all the ordeals to manage her marriage life with Gangse who is a wanderer in the lower class and does her best to keep the society's rules for the deceased, after he dies by the curse of Jansung.
This is when her sex is used as the means to solve the realities of life.
However, we have to pay attention to the fact that it is not the way of self-abandonment, but the way of expectation for new life.
The sexuality of Ongneo is not extorted and used by male in one-sided way, but it works as the means of reality as well as the root of life. Such a sexuality of Ongneo obviously violates the ruling ideology of a male-centered society in Cho-sun dynasty. The sexual activeness of women means only degradation in the male-centered social system.
In spite of such a distorting view, her sexuality that shows the positiveness of her life and the source of that positiveness is definitely contributed to make her vigorous character.
Although the sexuality of Ongneo is instinctive and unconscious resistance rather than spontaneous and self-oriented gestures, the positiveness of her sexuality that she shows as the root of life is a valuable outcome that Bungangse-ga achieves in the male-centered perverted narration.
본 논문은 신재효가 정리한 판소리 사설 중 변강쇠가의 여주인공 옹녀의 삶과 성에 주목한 글이다. 기왕의 논문들은 남자 주인공 강쇠를 중심으로 변강쇠가에 접근하고 있다. 그리고 여주인공 옹녀에 주목하는 경우에도 그녀의 삶을 부각시키고는 있으나 옹녀의 성의 의미를 적극적으로 해명하지는 못했다. 본고는 변강쇠가의 여주인공 옹녀의 삶과 성에 적극적인 의미를 부여함으로써 변강쇠가가 지니고 있는 새로운 의미를 발견하고자 했다.
먼저 변강쇠가에서 여중인공 옹녀를 바라보는 서술자 시선의 이중성을 밝혔다. 서술자는 조선시대의 하층민 여성으로 비참한 삶을 살아가는 옹녀에게 동정적인 시선을 보내면서도 그녀의 삶 중 성적 부분만을 과장하고 왜곡하여 관음적 시선으로 교묘히 즐기고 있다. 이는 생존을 위하여 수없이 개가하는 옹녀를 조선시대 가부장제의 잣대로 ‘음녀’로 규정하는 서술자의 남성적 관점에서 비롯된다.
이런 서술자의 이중적 시선을 걷어내고 옹녀의 본다면 그녀는 생존을 위해 발버둥치는 조선 하층민 여성의 전형이다. 그녀는 유랑 하층민인 강쇠와의 정상적인 결혼 생활을 위하여 온갖 고생을 감수하고 강쇠가 장승동티로 죽은 이후에도 남편의 치상을 위하여 최선을 다한다. 이때 그녀의 성은 현실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쓰여 진다. 그러나 그것이 자포자기의 심정이 아니라 새로운 삶의 기대로 이루어진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옹녀의 성은 남성들에게 일방적으로 이용당하고 착취당하는 성이 아니라 현실의 수단이며 동시에 본원적 생명력의 근원으로 작동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옹녀의 성은 조선사회의 가부장적 지배이념에 분명 위배된다. 남성 중심의 질서 속에서 여성의 성적 적극성은 타락일 뿐이다. 그런데도 이 왜곡된 시선들 넘어 그녀의 성이 보여주는 삶의 적극성과 그 원천으로써의 섹슈얼리티는 옹녀를 생동하는 인물로 만드는 데 결정적으로 기여하고 있다.
옹녀의 성이 자발적이고 의식적인 주체의 몸짓이라기보다 본능적인 생존의 그것이고 무의식적인 저항이라 할지라도 그녀가 보이는 삶의 원천으로서의 성에 대한 긍정이야 말로 남성 중심의 왜곡된 서술 속에서 변강쇠가가 이룩한 값진 성과라 할 수 있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6 | 0.76 | 0.9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8 | 0.78 | 1.791 | 0.11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