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후보
영남농악의 민낯과 현대농악의 형성 = Bare-Face of Yeongnam Nongak and Formation of Contemporary Nongak
저자
정상박 (동아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0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후보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27(27쪽)
KCI 피인용횟수
0
DOI식별코드
제공처
The traditional culture researchers tend to beautify the stuffs from the past. The actual state of Nongak of Yeongnam region as a traditional society was simple. In case of farmers’ Nongak, the farmers in casual clothes played the Nongak instruments during the holidays in the beginning of the year while the professional Nongak was sophisticated with less organization. Contrary to the existing Nongak genre, after setting up the specific standard of genres and then dividing it into genres, this study contrasted th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those genres. First, the Nongak was divided into farmers’ Nongak and professional Nongak on the basis of act itself. And based on the background of formation which could be the space, the Nongak was classified into village Nongak performed in village community, and urban Nongak formed/performed in the background of urban society. On the basis of time, it was divided into traditional Nongak and contemporary Nongak. In order to have satisfactory discussions of this, it would be necessary to perceive the existence of various kinds of Nongak through the classification of Nongak genres, and especially, the truth of urban Nongak formed in modern cities should be acknowledged. Lastly, this study understood the roles of prominent masters of modern times in the formation of urban Nongak, and how they were standing out.
더보기이 글은 영남농악의 명인을 발굴하여 그 위상을 설정하는 연구 결과를 발표하는 자리에서 행한 기조발제의 원고이므로 서설적인 성격이 강하다. 전통문화 연구자들은 과거의 것을 미화하려는 경향이 있다. 그래서 먼저 전통사회 영남지방의 농악의 실상을 드러내 보았다. 농민농악은 평복에 고깔을 쓰고 기본적인 풍물을 연주하는 소박한 연행이었고, 전문(가)농악의 풍물놀이는 기교적이고 세련되었지만 편성이 작고 소박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소위 ‘농악’, 혹은 ‘풍물(굿)’로 획일적인 명칭으로 불리기 전에 각 지역마다 고유의 이름이 있었다. 이런 전통성과 향토성이 반영된 전래의 농악 명칭으로 복원하여야 할 것이다. 이름은 내용을 표현하는 데 그치지 아니하고, 내용을 규제하기 때문이다. 기존의 농악 갈래와 다르게, 갈래의 명확한 기준을 설정하고 갈래짓기를 한 다음 그 갈래들의 변별적 특성을 대비시켜 보았다. 먼저 농악을 그 행위 주체를 기준으로 농민농악과 전문(가)농악으로 나누었다. 그리고 농악을 생성 바탕, 즉 공간을 기준으로 마을공동체를 바탕으로 연행하는 마을농악과 도시사회를 배경으로 결성하여 연행을 하는 도시농악으로 갈래지었다. 농민농악은 농촌마을을 배경으로 전승하고 있어서 공간적인 기준으로 보면 마을농악이 된다. 근대 이후 도시가 발달되면서 그것을 배경으로 성장한 것이 도시농악이다. 도시농악은 전문 농악 치배들로 결성된 경우도 있고, 여러 마을농악의 우수한 치배들이 모여 결성한 경우도 있고, 전문 치배와 마을 치배들이 모여서 성립된 경우도 있다. 시대를 기준으로 전통농악과 현대농악으로 나누었다. 논의가 제대로 이루어기 위하여 갈래짓기를 통하여 다양한 농악이 있음을 인식해야 하지만, 특히 현대 도시에서 생성된 도시농악의 실체를 인정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현대에 걸출한 치배, 즉 명인이 도시농악 형성에 어떤 역할을 하였고, 그들이 어떻게 부각되었는지 알아보았다. 그리고 무형문화재 농악종목 지정 추이를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무형문화재 제도는 농악의 전승에 크게 기여를 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것이 농악의 자유로운 발달에 장애가 되었다는 점도 간과해서는 아니 된다. 예술은 다양하게 발전하여야 한다. 무형문화재로 지정된 농악뿐만 아니라 비지정 농악도, 세계의 여러 지역의 농악도 다 포괄하여 다루어야 농악이 살아있는 민족예술로 제대로 발전을 할 것이다.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