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李基白의 『한국사 시민강좌』 간행과 民族의 理想 실현 지향 = Lee Kibaik's Publication of The Citizens' Forum on Korean History and Orientation to Realization of People's ideals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4
작성언어
-주제어
KDC
900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285-332(48쪽)
KCI 피인용횟수
0
제공처
이기백(1924-2004)이 1987년 『한국사 시민강좌』를 간행하기 시작한 이후 자신이 직접 집필한 게재문과 「독자에게 드리는 글」 등을 통해 누누이 강조한 바는, 2가지 점이었다고 가늠된다. 첫째, 한국사 자체가 자유와 평등을 누리는 사회를 지향하며 전개되어 왔고, 둘째, 한국민족의 이상이 자유와 평등을 추구하는 민주사회의 건설이었다는 사실이 바로 그것이다. 그 자신 스스로 분신(分身)과도 같다고 하였던 『한국사신론』의 1990년 신수판에서부터 이 내용을 이미 반영하였다. 『국사신론』(1961)에서건 『한국사신론』 초판(1976)부터 한글판(1999)까지에서건 일관되게 4월혁명에 관해 최종적으로 서술되었음을 볼 수 있는데, 이 4월혁명의 역사적 의의를 논함에 따라 『국사신론』에서는 '자유'가 꼽아졌고, 『한국사신론』 초판(1967)에서는 '민주주의의 발전'이 자연스레 거론되었음이 분명하다. 그러던 것이 『한국사신론』 개정판(1976)에서부터 '민중의 직접적인 정치참여'의 '대세'가 언급되더니, 신수판(1990)에서부터는 이에 덧붙여 "그리고 이러한 추세가 자유와 평등에 입각한 사회정의가 보장되는 민주국가의 건설로 이어질 것이 기대되고 있다"는 대목이 기술되었다. 이는 결국 이기백이 자신의 지론인 2가지 사실 즉 첫째, 한국사 자체가 자유와 평등을 누리는 사회를 지향하며 전개되어 왔고, 둘째, 한국민족의 이상이 자유와 평등을 추구하는 민주사회의 건설이었다는 점을 보여주는 것이다. 아울러 이러한 지론을 이기백이 일반 시민을 독자로 하는 1987년 『한국사 시민강좌』의 창간을 즈음하여 표방한 후, 1990년 『한국사신론』 신수판에 이미 반영하였으며, 이후 1999년의 『한국사신론』 한글판에서도 그대로 존속시켰음을 입증해준다고 하겠다.
더보기Since his publication of The Citizens' Forum on Korean History(『韓國史 市民講座』) in 1987, there seems to be two points Lee Kibaik(李基白,1924-2004) continued to emphasize through his own writing and "Letter to Readers". First point is that Korean history itself evolved towards society for freedom and equality, and second is the fact that ideal of the Korean people was to build a democratic society in pursuit of freedom and equality. He already reflected such point of view from the new edition of Han'guksa Sillon (『韓國史新論』,A New History of Korea) in 1990, which he deemed as another self. We can see that he significantly and consistently dealt with the April Revolution throughout Kuksa Sillon (『國史新論』,A New History of Our Nation,1961) and the first edition (1976) and Korean version (1999) of Han'guksa Sillon. And it is obvious that in the course of discussing the historic meanings of this April Revolution, he emphasized freedom' in Kuksa Sillon and naturally argued in favor of 'development of democracy' in the first edition of Han'guksa Sillon (1967). And then he mentioned the 'mainstream of people's direct political participation' from the revised version of Han'guksa Sillon (1976) and one step further In Its new edition (1990), he said "I expect this trend will be connected to building of a democracy country In which social justice Is secured based on freedom and equality." This tells us two facts on which he placed his firm conviction: First Is that Korean history I tself evolved towards society for freedom and equality, and second Is the fact that I deal of the Korean people was to build a democratic societyIn pursuit of freedom and equality. At the time of his publication of The Citizens' Forum on Korean History In 1987 for ordinary readers, he started to advocate his conviction as such and reflected It In the new edition of Han'guksa Sillon and then sustained such conviction In Its Korean version.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5-04-26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미등록 -> The Korean Society of History of Historiography | KCI후보 |
2005-04-10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韓國史學史學報외국어명 : The Korean Journal of History of Historiography | KCI후보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7 | 0.47 | 0.6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1 | 0.54 | 1.937 | 0.12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