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서울시 연립·다세대주택을 대상으로, 5대 생활권별(도심·동남·동북·서남·서북) 실거래 기반의 장기 매매가격지수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2006년부터 2024년까지 이루어진 실거래 73만 2,987건을 대상으로 준로그 헤도닉 모형을 적용해 5대 생활권별 매매가격지수를 산출하고 권역 간 성장 차이를 분석했다. 분석 결과, 도심·동남·서북권은 서울시 전체 평균 상승률을 상회하는 가파른 성장세를, 동북·서남권은 완만한 상승을 보였으며, 2022년 이후에는 전세사기 확산에 따른 거래 위축과 가격 정체가 전 권역 지수에 일관되게 반영되었다. 헤도닉가격지수는 시장의 실거래 평균 상승률과 근접하게 산출된 반면, 한국부동산원 지수는 이를 다소 하회하여, 본 지수가 실제 가격 변동을 보다 충실히 반영함으로써 기존 지수의 평활화 한계를 보완함을 확인했다. 이로써 본 연구의 헤도닉가격지수는 연립·다세대주택 시장의 가격 변동을 권역별로 나누어 보다 정밀하게 파악할 수 있는 도구로 기능하며, 특히 저소득층 및 청년 가구가 주된 주거 유형으로 선택하는 연립·다세대주택 시장에 대한 시의적절한 데이터 제공과 정책 의사결정 지원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This study develops long-term, living-area-specific sales price indices for Seoul’s multi-family housing market across five policy-defined living-area zones (Central, Southeast, Northeast, Southwest, Northwest). Using 732,987 transaction records from 2006 to 2024 obtained from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s disclosure system, the study employs a semi-log hedonic pricing model that controls for regional, locational, building, unit, and temporal attributes. The resulting indices reveal that the Central, Southeast, and Northwest zones’ indices recorded price growth exceeding the Seoul-wide index, whereas the Northeast and Southwest zones’ indices exhibited more moderate appreciation. In the aftermath of the late-2022 Jeonse fraud wave, all zones experienced a pronounced contraction in transactions and a corresponding stagnation of price indices. Relative to the Korea Real Estate Board’s index, our hedonic indices closely mirror actual transaction price movements and mitigate the excessive smoothing characteristic of traditional measures. By capturing submarket heterogeneity within living-area zones, these indices provide an empirical basis for spatially targeted housing policies—particularly for low-income and young adult households, who predominantly choose multi-family dwellings.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