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범불안 증상 완화를 위한 응용이완 치료프로그램의 효과 = Effects of Applied Relaxation Treatment Program for Relieving Generalized Anxiety Symptoms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345-361(17쪽)
제공처
본 연구는 해외연구에서 효과성이 보고된 응용이완 치료프로그램(Applied Relaxation, AR)을 범불안 증상을 호소하는 성인을 대상으로 실시하여 그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AR은 다수의 증명된 이완기법을 모아서 만든 프로그램으로, 주요 이완기술인 점진적 이완법은 불안에 대해 신체가 근육 긴장으로 반응함을 전제로 하고 있어 생리적 긴장을 줄이고 불안이 유발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범불안장애(Generalized Anxiety Disorder, GAD)에서 걱정스러운 생각, 신체적 감각, 충동 및 행동은 상호작용하여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그 강도가 점점 더 강해진다. AR을 통해 불안의 악순환을 인식하고, 조기에 이완을 적용하여 근육의 긴장을 감소시켜 불안에 대해 다른 방식으로 반응하도록 훈련함으로써 스스로 불안에 대한 반응을 변화시킬 수 있음을 인식할 수 있다. 본 연구를 위해 범불안 수준이 높은 성인 40명을 선별하여 치료집단과 대기통제집단에 각 20명씩 무선할당하였고, 치료집단에는 약 50분으로 구성된 AR을 주 2회, 총 9회기 실시하였다. 각 집단에 펜실베니아 걱정 질문지(Penn State Worry Questionnaire, PSWQ), 상태불안 척도(State-Trait Anxiety Inventory, STAI-I), 걱정 및 불안 질문지(Worry Anxiety Questionnaire, WAQ),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척도(Intolerance of Uncertainty Scale, IUS)를 프로그램 시작 전과 종료 직후, 종결 10일 뒤 시점에 각각 측정하였다. 집단의 각 측정치에 대한 정규성을 검정하기 위해 Shapiro-Wilk Test을 실시한 결과, 모든 측정치에서 정규성을 위반하지 않았다. 또한, 집단 간 사전 동질성을 확인하고자 일원변량분석(ANOVA)을 실시한 결과, 모든 측정치에서 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집단 간 동질성도 확인되었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t검정과 공변량분석(ANCOVA)결과, 프로그램 종결, 종결 10일 뒤 시점에서 치료집단의 모든 측정치에서 유의미한 감소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AR이 걱정과 불안을 비롯한 범불안 증상을 개선할 수 있음을 시사하며, 불안 및 걱정에 대한 통제력을 인식하고 적용가능한 대처기술로 기능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더보기This study verified the effectiveness of Applied relaxation Program(AR) in adults complaining of symptoms of general anxiety, which has been reported to be effective in overseas studies. AR is a program created by combining a number of proven relaxation techniques, and the progressive relaxation method, a major relaxation technique, presupposes that the body responds to anxiety with muscle tension, which can reduce physiological tension and prevent anxiety from being triggered. In Generalized Anxiety Disorder(GAD), worrying thoughts, physical senses, impulses, and actions interact and become stronger over time. Therefore, we can recognize the vicious cycle of anxiety through AR and recognize that we can change the response to anxiety on our own by training to respond to it in different ways by reducing muscle tension by applying relaxation early. For this study, 40 adults with high levels of general anxiety were selected and random assigned 20 people each to the treatment group and the atmospheric control group, and AR consisting of about 50 minutes was conducted twice a week, a total of nine times. For each group, Penn State Concern Questionnaire(PSWQ),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STAI-I), Worry Anxiety Questionnaire(WAQ), and Intolerance of Uncertainty Scale(IUS) were measured before and immediately after the start of the program and 10 days after the end of the program, respectively. As a result of conducting the Shapiro-Wilk Test to verify the normality of each measurement in the group, all measurements did not violate normality. In addition, as a result of conducting ANOVA to confirm prior homogeneity between group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was found in all measurements, so homogeneity between groups was also confirmed. t-test and covariate analysis(ANCOVA)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all measurements in the treatment group at the end of the program and 10 days after the end of the program. These results suggest that AR can improve pan-anxiety symptoms, including anxiety and anxiety, and are significant in that it recognizes control over anxiety and anxiety and functions as an applicable coping technique.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