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19세기 말 20세기 초 회화식 지도와 실경산수화의 변화 - 환력(宦歷)의 기록과 선정(善政)의 기념 = The Change of the Pictorial Map and the Topographic Landscape Painting in the late 19th Century and the early 20th Century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1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89-216(28쪽)
KCI 피인용횟수
0
DOI식별코드
제공처
소장기관
This study reconsiders the works, so-called pictorial maps produced since the late 19th century in the new context of art history and examines the historical changes in regard with the landscape painting of the late 19th century. This study focuses on the works produced in the provinces, especially those related to the provincial officials, and aims to expand the methodology of the painting history focusing on the so called unorthodox works.
The first type of paintings are characterized by the patrons, who served as local officials, ordered and produced these works with the intention of recording their careers and experiences.
The second type of paintings were usually produced by unknown provincial painters and contained contents related to provincial officials’ appointment parade or travels. It can be assumed that local lower officials and local people in the area may have produced and presented them tho the provincial officials.
In these works, the function of the map is weakened and the painterly charateristic is more highlighted, and there are elements that are far from the function of the map, such as the celebrating parade of the coming of the provincial officials and the appearance of a scenic landscape.
본 연구에서는 19세기 실경산수화의 새로운 성격과 용도, 화풍을 보여주는 작품들을 고찰하였다. 19세기 중 지방 수령을 역임한 인사들은 자신의 환력을 기록하기 위해서 회화식 군현지도를 제작하고 소유하였다. 조선 말에는 지방의 수령을 위한 선사품으로 지방 인사들이 주문하고, 선사한 회화적인 성격이 강화된 작품들도 등장하였다. 특히 선사품으로 제작된 실경산수화들은 작품 제작의 동기와 목표에 따라 작품의 내용과 소재, 화풍 등이 조절되어서 실경산수화의 새로운 성격과 양상을 전해준다.
지방관의 부임과 순력, 환유 등을 기념하기 위해서 회화를 제작하는 관행은 일찍이 시작되었다. 16세기 중엽 경 제작된 <留營首陽館延命之圖>는 계회도로서 그러한 사례를 보여준다. 이 작품은 황해도 관찰사의 부임시 배행한 향리들이 계를 이루고 이를 기념하기 위해서 제작되었다. 조선 초에 제작된 계회도의 영향도 시사되는 구성과 소재를 보여주는 화면에는 해주읍성과 관아, 관찰사의 부임행렬, 부임행사를 준비하는 장면 등이 재현되어 있어서 차별화된 면모를 드러내었다. 이 작품은 18세기 중엽 경까지 해주 감영에 전해지고 있었음이 확인되는데, 이후 19세기에 관찰사의 행렬이 삽입된 <해주도> 병풍이 제작되는 데에도 영향을 주었을 것이다. <해주도> 병풍의 경우 각종 의장과 향리, 기생들을 대동한 관찰사의 행렬 장면이 자세하게 재현되고, 해주읍성 내부의 관아와 시설보다는 주변의 경관을 더욱 부각시켜 묘사하면서 산수화적인 요소가 강조되는 변화가 일어났다.
19세기 중 지방관을 역임한 관료 자신와 그 주변의 측근 인사가 회화식 지도를 제작하여 사유하였다. <숙천제아도>, <강화지도>, <환유첩> 등에서 확인되는 이러한 경향은 관료로서의 자부심을 시각적인 기록을 통해 기념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 자신이 역임하였던 지역의 경관을 회화식 군현지도로 기록하였는데, 이는 군현지도를 관장하고 활용하였던 수령으로서의 공적 의식과 역할을 암시하는 방식인 것이다.
이후 19세기 말엽 경 지방 수령의 환력을 새로운 방식으로 기념하고 기록하는 변화가 나타났다. 19세기 말경 제작된 <영남명승도> 병풍과 1905년의 <箕城萬人圖> 병풍, 1919년에 제작된 <울산도>는 지방 관료의 통치를 기념하기 위해 제작된 작품들로서 해당 지역의 인사들이 주문, 제작한 작품들이다. 또한 화면에 재현된 장면은 관아와 읍치, 경관을 수록하면서도 지도로서의 기능과 정보보다는 산수경관을 보다 회화적으로 표현하여 감상화로서의 성격과 기능이 부각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작품 제작의 동기와 주체가 변화하면서 일어난 것이며, 그에 따라 표현방식도 변화된 것이다.
이처럼 19세기로부터 20세기 초까지 지방 인사와 향리들이 주체가 되어 지방 관료의 행적을 기록하고 선사한 새로운 유형의 실경산수화가 정착되면서 실경산수화의 외연과 특성이 지속적으로 변화, 확장되어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5-12-30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The Misulsahakbo(Reviews on the Art History) -> Korean Bulletin of Art History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3-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5 | 0.35 | 0.4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3 | 0.42 | 1.045 | 0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