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후보
통합교육연수의 필요성 및 개선방안에 대한 현장교사의 인식 = Narrative Analysis on Teachers' Perception of the Necessity and Improvement of Inclusive Education Training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7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300
등재정보
KCI등재후보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63-100(38쪽)
KCI 피인용횟수
7
제공처
소장기관
This study was aimed to analyz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on the necessity and improvement measures of inclusive education training through in-depth interview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teachers experienced difficulties as activities in inclusive education were implemented as one-size-fits-for-all for all groups of students. They perceived that inclusive education was not differentiated from special education. They also responded that the special education itself could not effectively support the inclusive education because teachers rarely collaborated or coordinated for curriculum for more inclusive teaching and learning. In order to promote the teachers’ competencies to perform inclusive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design and implement teacher training programs on inclusive education by converging general education and special education together. In addition, in-service training on inclusive education must be assorted, departmentalized, phased and systematized and be done on a regular and mandatory basis.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expanding teachers’ understanding of inclusive education and to triggering further discussions on changes in legal and regulatory framework to establish more supportive environments for inclusive education.
더보기이 연구는 통합교육연수에 대한 초등 통합학급교사와 특수학급교사의 인식을 살펴보고, 그것의 필요성과 개선방안을 심층면담을 통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 및 결론을 간략하게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현장교사들은 통합교육이 모든 학생을 대상으로 같은 교육활동을 한다는 점에 어려움을 가지고 있으며 통합교육개념에 대한 인식은 특수 교육적 차원에 머무르고 있었다. 특수학급은 통합을 지원하는 것이 아닌 통합학급교사를 지원한다는 의존적 성향과 교수·학습 활동을 위한 협력교수 및 교육과정조정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개선방안으로 교사의 통합교육수행능력을 향상시키려면 일반교육과 특수교육이 융화된 통합교육연수 프로그램이 필요하며 통합학급교사와 특수학급교사가 협력교수를 해나가는 것을 바탕으로 세트화, 세분화, 단계화, 체계화 된 연수내용이 사례중심으로 연결되도록 설계되어야한다. 이 연구 결과는 통합교육연수 프로그램에 현장교사들의 요구를 반영하여 교사의 통합교육수행능력을 향상시키고 통합교육이 모든 학생을 위한 교육이라는 인식변화가 현장교육에 직접적 영향을 주며, 학교를 재구조화 할 수 있는 방향으로 제도와 법이 바뀌어 통합교육환경을 변화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7-05-11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 Korean Association for Qualitative Inquiry -> Korean Association for Qualitative Inquiry | KCI후보 |
201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